$\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Pharmacopuncture in Korea. Methods : We searched Korean research database by using keyword 'Pharmacopuncture', 'Bee venom'. Korean research databases wer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Research Inform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약침요법과 관련된 전반적 연구를 정리하였고 질환별 분류를 통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쉽도록 정리된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침요법이란? 약침요법은 침구요법과 약물요법이 결합된 신침(新鍼)요법의 일종으로서, 한의학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한의의료기술이다1). 이는 한의사가 환자의 질병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변증하여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체표 반응지점이나 경혈점에 약물을 주입하는 의료행위를 말하는데, 이때 약물은 특정 한약에서 정제하여 추출한 것으로 한다1).
국내의 약침요법은 언제 누구에 의해 소개되었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수천 년 한의학 역사의 출발점이 되는 중국의 마왕퇴 한묘에서 출토된 백서에서도 여러 치료법 중 하나로 벌이 지니고 있는 독을 추출한 뒤 환부나 경혈점에 흡수시키는 방법이 언급되고 있다1). 국내의 약침요법은 1960년대 남상천 선생의 「經絡」을 통하여 처음 소개가 되어 현재 한의약의 주요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2). 이 약침요법의 명칭은 수침요법, 경혈주사요법, 혈위주사요법, 유효점주사 등 여러 가지 용어로 사용되다가, 1990년 대한한의학회의 분과학회인 대한약침학회에서 용어를 ‘약침요법’으로 통일시켜 사용함으로써 명칭이 확립되었다3).
약침요법 관련 연구에서 비임상연구는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그 결과 연구를 크게 임상연구와 비임상연구로 구분하였다. 임상연구는 증례보고와 그 외의 임상연구로 분류하였고, 비임상 연구는 문헌연구, 동물연구, 기타 비임상 연구로 분류하였다. 이 후에 연구 방법별 출판된 연도에 따른 연구를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임상연구는 KCD-7의 22개 대분류체계(A-Z코드)를 이용하여 질환별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science committee, pharmacopuncturology institute. Pharmacopuncturology. Second Edition. Seoul : Elsevier Korea. 2011 : 3-5, 9-17, 28-9, 45, 229-41. 

  2. Nam SC. Meridian I. Shinil Culture History. 1967;7-31. 

  3. Lee MH, Son IC. Introduction to the Aqua - Acupuncture Therapy and problems.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8;15(2):511-518. 

  4. Park JK, Kim KH. A Survey on Uncovered Service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stitution.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7;21(3):43-50. 

  5. Lee JY, Han YJ, Kim JH, Kim YJ, Kwon KR. Type analysis of Pharmacopunctur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6;9(3):147-54. 

  6. Baik SI, Ahn JC, Kim YJ, Kim HS, Kwon KR. Type Analysis of Pharmacopunctur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6;23(6):19-27. 

  7. Kim MK, Seo HR, Ha HJ, O TY, Jeon DH, Li YC, Lee JE, Lee EJ, Oh MS. Systematic Review of Soyeom Pharmacopuncture Therapy for Pa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7;27(3):95-105. 

  8. Gu JH, Kim ES, Park YC, Jung IC, Lee EJ. A Systematic Review of Bee Venom Acupuncture for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7;27(3):47-60. 

  9. Lee JE, Lee CH, Lee EJ, Lee JM, Oh MS. Systematic Review of Bee Venom Therapy for Traumatic Injury.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6;26(3):67-77. 

  10. Cho DC, Lee JH, Kim CG, Jung WS, Moon SJ, Park TY, Lee JH. Narrative Review of Clinical Trial on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3;23(3):73-82. 

  11. Lee JH, Jo DC, Moon SJ, Kong JC, Park TY, Ko YS, Song YS, Lee JH. Narrative Review of Clinical Trial on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i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2;22(3):79-88. 

  12. Kang YJ, Lee IS, Cho HS, Lee SH, Bae GM. The Use Criteria and Appropriateness of 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 Focused on Emmeniopathy.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1;24(4):126-149. 

  13.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Pharmacopuncture therapy procedure(II). Seoul: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2000:13-62. 

  14.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for Korean Acupuncture Society.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Middle). Gyeonggi-do paju: Jibmoondang. 2008:408. 

  15. Park BK, Cho JH, Son CG.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s with Herbal Acupuncture(Pharmacopuncture)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journal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al. 2009;30(5):115-126. 

  16. An SU. A reference to the original source of herb-acupuncture in methods.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997;1(1):87-102. 

  17. Lee GE, Kim SH, Kim MS, Oh EG. Knowledge and Attitudes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n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Review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7;20(3):287-304. 

  18. Kim HJ, Chang SY, Lee EY. Clinical Study on Effect of Herbal acupuncture therapy on shoulder pain.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5;8(2);47-52. 

  19. Youn YS, Park WS, Ha IH, Lee JS, Shin HD.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8;18(1):153-161. 

  20. Kim KW, Lee MJ, Jun JY, Lim SJ, Lee CH, Kim HS, Ha IH. The Comparitive Study on the Effect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and Bee Venom Pharmacopuncture Treatment of Patient Diagnosed as Cervical Disc Hermiation Based on the MRI after Traffic Accident: A Retrospective, Case Series Observational Study.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4;31(1):43-50. 

  21. Choi YJ, Kim JH, Yoon KJ, Yeo IH, Lee CK, Lee EY, Roh JD. Comparative Study of BUM Pharmacopuncture and Soyeom Pharmacopunture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with Postauricular Pain.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2;29(5):31-37. 

  22. Seo JC, Lee YK, Lim SC, Jung TY, Han SW. A Case of Radial Nerve Palsy Treated with Additional Scolopendrae Corpus Herbal-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5;8(2):91-95. 

  23. Kim SB. Pharmacopuncture therapy of strok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997;1(1):126-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