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생활에서 마음이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를 지닌 여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Woman with a Negative Mother Complex Who Wants to be Free From Family Lif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4, 2018년, pp.331 - 345  

심희옥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sandplay therapy case of a woman with a negative mother complex who wants to be free from family life. The goal of the therapy was to make her free from family life by expressing repressed emotions for getting out of a negative mother complex under a free and protected spac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성콤플렉스란 무엇인가? 분석심리학에서 원형은 어느 순간에 인간의 정신발달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여 의식의 내용을 어떤 특정한 형태로 배치하고 그것에서 생기는 작용은 정신 안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감정, 투사나 황홀, 불안, 우울 혹은 자아가 압도되어지는 감정 등으로 나타난다(Han, 1985). 모성콤플렉스는 모성원형의 영향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인데(Kim, 2006), 모성원형이란 인류가 태초부터 모성과 모성적인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경험해온 모든 체험의 근원적 유형이다(Park, 2016). 모성원형은 인간의 무의식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면서 어릴 때는 개인의 어머니 상과 같은 콤플렉스를 이룬다.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가 생기는 경우는 무엇인가? 그러나 우리가 어머니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어머니 같은 헌신적인 돌봄을 못 받으면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를 갖게 된다. 생리와 관련된 문제가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를 가진 여성의 공통된 어려움이다(Kast, 1997).
Turner (2005)이 모래놀이치료에서의 정신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제시한 네 가지 주제는 무엇인가? 이런 주제를 살펴봄으로써 모래상자가 어떠한 과정에 관한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내용주제는 모래상자에 놓은 소품(일상세계의 소품, 고대, 원시문화의 소품, 영적세계를 나타내는 소품, 환상적인 소품, 숫자와 색), 우화나 신화적인 주제, 연금술 같은 변환의 패러다임과 마른 모래나 젖은 모래 사용, 파란 바닥 드러내기 등 모래로 만든 형태 등을 탐색하는 것이다. 두 번째, 공간주제는 모래놀이과정에 포함된 여러 요소 간의 공간적 관계를 살핀다. 세 번째, 동작주제는 모래놀이치료 전체과정뿐 아니라 개개 모래상자를 만드는 동안 소품이나 모래를 흩뿌리거나 하는 움직임 등을 살핀다. 마지막, 정서주제는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의 감정과 정서를 탐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ckroyd, E. (1997). A dictionary of dream symbols (B. J. Kim, Trans.). Seoul: Korea Psychotherapy Institute.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2. Ammann, R. (1991). Healing and transformation in sandplay: Creative process become visible (W. P. Rainer, Trans.). Chicago: Open court. (Original work published 1934). 

  3. Ammann, R. (2004). On resonance. In E. P. Zoja (Ed.), Sandplay therapy: Treatment of psychopathologies (pp. 241-267). Verlag: Daimon. 

  4. Balfour, R. N. (2008). Evolution of sandplay image in healing: A case of childhood sexual abuse of a thirty-six-year-old woman.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7(2), 33-49. 

  5. Bradway, K. (2001). Symbol dictionary: Symbolic meanings of sandplay images.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0(1), 9-110. 

  6. Calabrese, M. (2014). Eleonora: A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a woman in search of her feminine identit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3(2), 45-62. 

  7. Chang, H. S. (2008).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middle-aged woman distressed by husband and childre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1(3), 81-98. 

  8. Chang, H. S. (2009).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self-actualization of an anxious middle-aged woman with low confidenc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2(1), 79-102. 

  9. Chevalier, J., & Gheerbrant, A. (1996). The Penguin Dictionary of symbols (J. Buchanan-Brown, Trans.). London, England: Penguin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82). 

  10. Choi, J. H. (2008).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depressed middle-aged woman. Korean Journal of Sand Play Therapy, 4, 139-166. 

  11. Choi, S. G. (2005).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a mother who lost her Self because of the problems of her son and found the Self. Korean Journal of Sand Play Therapy, 1, 161-180. 

  12. Cooper, J. C. (1978).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New York, NY: Thames & Hudson. 

  13. Eastwood, P. S. (2006). Nine windows to wholeness: Exploring numbers in sandplay therapy. (J. S. Jung, B. A. Kim, & S. Y. Jung,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14. Foks-Appelman, T. (2011). Finding the path the case of anita.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0(1), 135-146. 

  15. Fontana, D. (1998).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A visual key to symbols and their meanings (S. J. Choi, Trans.), Seoul: Munhakdongne.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16. Han, O. -S. (1985). The theory of Jung's mother complex. The Seoul Journal of Psychiatry, 10(1), 97-100. 

  17. Han, O. -S. (1990). Die interpretation eines koreanischen Marchens, "Gold-und Silber Knabe." Shim-song Yon-gu, 5(2), 49-71. 

  18. Jang, M. K. (2017). Analytical psychological sandplay therapy. Seoul: Hakjisa. 

  19. Kang, C. -J. (2008).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fairytale, 'eyes in the sewing box'. Shim-song Yon-gu, 23(1), 20-49. 

  20. Kast, V. (1997). Father-daughter, mother-son: Freeing ourselves from the complexes that bind us. Rockport, MA: Element. 

  21. Kim, J. H. (2006). A study on the mother complex from the view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relation to the mother arche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S. -M. (1998). Jung's psychology and religion. Paju: Dong Myeong. 

  23. Kim, S. -M. (2010). The meaning of dream and its function of compen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70(1), 361-380. 

  24. Margoliash, E. (1998). Rebirth through sand. Journal of Sandplay Therapy, 7(1), 63-87. 

  25. Miles, R. (2012). The gateway: Boundary, entrance and threshold.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1(2), 21-38. 

  26. Neumann, E. (2007). The great mother. (S. H. Park, Trans.). Paju: Sallim. (Original work published 1974). 

  27. Park, B. -C. (2016). A study on C. G. Jung's understanding of complex: Centered on good child compl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Hyupsung University, Hwasung, Korea. 

  28. Park, J. O. (2014). Case study of a woman’s individuation process shown through ancient rites of passage. Korean Journal of Sand Play Therapy, 10(1), 153-185. 

  29. Park, Y. K. (2006).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a depressed middle aged woman. Korean Journal of Sand Play Therapy, 2, 57-87. 

  30. Rhee, M. -S. (2006). A Jungi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fairy tale: A boy who got married to two princesses after dreaming of dragons. Shim-song Yon-gu, 21(2), 205-238. 

  31. Rhi, B. -Y. (1987). Mother imago and mother complex from the Jungian viewpoint. Shim-song Yon-gu, 2, 73-88. 

  32. Rhi, B. -Y. (1998). Analytical Psychology: C. G. Jung's thoughts on mind. Seoul: Ilchokak. 

  33. Rhi, B. -Y. (1999). Shadow: Our inner dark partners. Paju: Hangilsa. 

  34. Shim, H. -G. (2005). The understanding from the analytical psychology about the story of the brother-sister pagodas. The Catholic Theology, 6, 211-247. 

  35. Sim, H. O. (2017).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with a middle-aged woman having difficulty in relationship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3), 303-319. https://doi.org/10.6115/fer.2017.023 

  36. Steinhardt, L. (2009). Following the fisherman image in sandplay therap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8(1), 7-16. 

  37. Turner, B. A. (2005).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Cloverdale, CA: Temenos press. 

  38. von Sibylle, B. -O. (2012). The image of mother in fairy tales. (Y. Lee, Trans.). Seoul: Analytical Psychology Center.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39. Wang, Y. (2017). The little mermaid: Cultural expectations of the feminine.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6(2), 127-135. 

  40. Yoo, J. -H. (1992). Female psychology on the viewpoint of Jungian psycholog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1 (1), 9-15. 

  41. Zappacosta, J. D. (2016). In her own voice: Dora Kalff.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5(2), 11-20. 

  42. Zoja, E. P. (2011). Sandplay therapy in vulnerable communities: A Jungian approach. New York: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