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로변 작업자와 도로교통 업무 경찰관의 안전의복 착용실태 및 그 소재와 착용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urrent Wear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Warning Clothing for Road Cleaner and Traffic Worker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4, 2018년, pp.347 - 360  

박순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urveyed 223 road workers between 2017 July-August about wearing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basic data to develop safety clothing that enhances visibility of motion and comfort while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urrent warning clothing owned by road cl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여기서도 반사안전조끼(2등급) 착용만 법정 의무로 규정하고 있어 국제기준에서 3등급에 해당하는 안전의복에 관한 법적 의무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 규정에 준함은 물론 나아가 ISO 20471 규정에 부합되는 도로교통 안전의복의 설계와 시작(試作)을 하기에 앞서, 현재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착용하고 있는 안전의복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점과 착용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안전의복 개선 연구에 반영하고자 한다.
  • 따라서 국제규격에 준하여 등급별로 세분화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한 안전의복에 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성인용 안전의복을 연구하여 도로교통 상의 인명피해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제1단계로 도로변 작업자인 환경미화원과 도로상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관의 안전의복에 대한 인지 정도와 착용실태를 먼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국제기준 디자인 가이드라인(ISO 20471, 2013; JATRAS, 2016; JIS T 8127, 2015; JSAA, 2017)을 참고로, 활동 시의 시인성과 착용감을 고려하고, 선호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단순히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것을 작업이나 운동할 때 또는 일반인이 활동할 때 착용 가능한 안전의복 설계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
  • 그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국제기준 디자인 가이드라인(ISO 20471, 2013; JATRAS, 2016; JIS T 8127, 2015; JSAA, 2017)을 참고로, 활동 시의 시인성과 착용감을 고려하고, 선호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단순히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것을 작업이나 운동할 때 또는 일반인이 활동할 때 착용 가능한 안전의복 설계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도로교통상의 업무 수행자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전의복의 실태를 조사하고 시인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점을 파악하여 안전의복 체계와 질을 높이는데 반영하고 안전 의복 착용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성인용 안전의복을 연구하여 도로교통 상의 인명피해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제1단계로 도로변 작업자인 환경미화원과 도로상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관의 안전의복에 대한 인지 정도와 착용실태를 먼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국제기준 디자인 가이드라인(ISO 20471, 2013; JATRAS, 2016; JIS T 8127, 2015; JSAA, 2017)을 참고로, 활동 시의 시인성과 착용감을 고려하고, 선호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단순히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것을 작업이나 운동할 때 또는 일반인이 활동할 때 착용 가능한 안전의복 설계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도로교통상의 업무 수행자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전의복의 실태를 조사하고 시인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점을 파악하여 안전의복 체계와 질을 높이는데 반영하고 안전 의복 착용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궁극적으 로 도로점용 및 도로변 작업자와 업무수행자 또는 도로교통 이용자가 보행·횡단할 때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의복을 국제기준을 고려한 소재와 디자인으로 설계하여 궁극적으로는 시인성과 착용감이 향상된 고품질의 안전의복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에서의 안전의복 규격은 어떠한가? 세계는 구미지역의 선진국과 유라시아의 일본, 러시아, 중국 등이 최근으로 올수록 도로교통 규정에 안전의복에 관한 규격을 포함하여 국제 표준에 부합되는 복장을 하도록 규정하고 도로교통 사고를 줄이는데 힘써왔다(Yoshii, 2017). 특히 일본에서는 여 기에 도로상의 작업자뿐만 아니라, 어린이, 노약자 등 교통약자와 일반 보행자에게도 적용하는 규정을 마련하고(JSAA, 2017), ISO 20471 (2013)에서는 착용에 있어 법적으로 강제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주행하는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시성을 개선한 안전의복 개발 현황은 어떠한가? 안전의복을 시인성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사람의 시력은 주간 보다 야간이 약 50% 저하되고, 동체시력은 정지시력에 비해 30% 정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Do, 2015). 그러므로 최근 국내에서는 재귀반사소재의 부착으로 해양, 교통, 야간작업, 어린이 야외 활동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LED를 적용하여 가시성을 높인 의복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Han et al., 2013; Kim, 2010; Lee, 2010; Shin & Lee, 2013).
교통사고를 예방하는데 실효성 있는 안전의복은 무엇인가? 일반도로는 물론 통학로 안전의 범위에, 자동차의 통행을 억제하는 도로시설 외에 개인적 차원의 신체보호를 위한 재귀반사 소재가 부착된 안전의복과 보조의류 또는 보호구 등을 포함시켜 착용하도록 규정, 권장해야 교통사고 취약국이라는 이미지를 벗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개, 폭우 등의 기상악화시나 야간 등 필요할 때에는 휴대가능하고 탈착이 용이하며 효과가 검증되고 있는 안전의복을 착용하는 것이 도로시설 개선보다 용이하고 실효성이 더 있을 것 으로 추정된다(Kang & Choi, 2016). 이에 본 연구자는 궁극적으 로 도로점용 및 도로변 작업자와 업무수행자 또는 도로교통 이용자가 보행·횡단할 때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의복을 국제기준을 고려한 소재와 디자인으로 설계하여 궁극적으로는 시인성과 착용감이 향상된 고품질의 안전의복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SI/ISEA 107-2015. (2015). American National Standards for high-visibility apparel and accessories. Retrieved October 15, 2017, from https://safetyequipment.org/ansiisea-107-2015. 

  2. Do, H. C. (201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river's visual behavior in road se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bat University, Daejeon, Korea. 

  3. ORAFOL. (1999). Visibility clothing for non-professional use. Test methods and requirements. Retrieved August 17, 2015, from http://www.orafol.com/rs/europe/en/en-1150. 

  4. Han, H. J., Park, H. J., & Jeon, E. K. (2013). User acceptance of a light-emitting diode vest for police office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5), 834-840. http://dx.doi.org/10.5805/SFTI.2013.15.5.834 

  5. Huh, J. K. (2006). A study on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cleaner uni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471). (2013). High visibility clothing-Test methods and requirement. Retrieved August 17, 2015, https://www.iso.org/standard/42816.html 

  7. Japan Safety Appliances Association (JSAA). (2017). Standard fo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for general users. April 12, 2018, from http//jsaa.or.jp. 

  8. Japan Traffic Safety Education Association (JATRAS). (2016). Standard for children's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Retrieved September 22, 2017, from http://www.jatras.or.jp. 

  9. JIS T 8127. (2015). Japanese national standard - High-visibility warning clothing. Retrieved September 22, 2017, from http://kikakurui.com/t8/T8127-2015-01.html. 

  10. Kang, I. H., & Choi, B. H. (2016). Traffic safety and warning clothing. Seoul: Cheongmoongak. 

  11. Kim, M. H. (2010). A Study for developing the prototype of LED-safety ves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3), 488-498. 

  12.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KOTSA).(2017a). Review of visibility enhancement of personal safety clothing for pedestrian safety. Retrieved March 8, 2018, from www.kotsa.or.kr. 

  13.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KOTSA).(2017b). Survey on Awareness and Actual Wearing Situation of Personal Safety Clothing. Retrieved March 8, 2018, from http://www.kotsa.or.kr. 

  1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 (2017). Revised warning jacket appendix 24. Retrieved April 29, 2017, from http://web.kats.go.kr 

  15.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7). 2014-2016 traffic accident survey Retrieved March 8, 2018, from http://www.ex.co.kr. 

  16.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2016). Comparison of traffic accidents in OECD nations, from http://www.koroad.or.kr. 

  17. Korean Standards Service Network. (KS K ISO 20471)(2016). High visibility clothing-test methods and requirements. Retrieved October 6, 2016, from http://www.kssn.net 

  18. Lee, H. W. (2016, November, 10). Improve quality of life...R&D out of the lab-participation in actual buyers, science for 'People' rather than technology...Social Problem Solving R&D. Junggi Economy, Retrieve March 30, 2017, from www.junggi.co.kr. 

  19. Lee, H. Y. (2010). Evaluation of the functionality and visibility of commercial high-visibility clothing for nighttim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9(6), 1053-1062. http://dx.doi.org/10.5934/KJHE.2010.19.6.1053. 

  20. Park, S. J. (2017, October). Analysis of the current wearing status, point of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of warning clothing for road workers and traffic worker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convention of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Korea. 

  21. Park, S. J., Shin, J. S., & Chung, M. H. (2003). The analysis of actual state of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uniforms for burning waste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8), 992-1003. 

  22. Shin, H. Y., & Lee, J. H. (2013). A study on the logo design for clothing in application of the flexible optical fiber with three-color of LED light sour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 (4), 482-490. http://dx.doi.org/10.5850/JKSCT.2013.37.4.482. 

  23. Yoshii H. O. (2017). High visibility clothing. Tokyo: Mamukai books gallery. 

  24. http://www.reflomax.com.kr.(2017). "retroreflective materials". 

  25. http://www.toray.com.jp.(2018). "Brianstar $^{(R)}$ " : ISO20471 : 2013 High visibility clothing - Test methods and requiremen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