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특성 - 서울시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 by Type of Urban Green Space - focused on Dongdaemun-gu, Seoul, Korea -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4, 2018년, pp.330 - 339  

조예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복지연구과) ,  박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복지연구과) ,  노관평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복지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BTEXS and phytoncides were investigated by type of urban forest. Methods: Four types of urban green space (Hongneung Forest, Mt. Chunjang, residential park, and traffic island) and Gwangneung Forest were selected. Monitoring of phytoncides and BTEXS wa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림, 국·공유지 녹화지, 담장녹화지(주거공원), 도로변녹지(교통섬)를 선정하였다. 또한 동일날짜에 도심지에서 떨어져 있으며 도심 내 산림대비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대형 산림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지인 도시림의 특수성에 대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도시녹지지역(홍릉숲, 천장산), 주거공원(H아파트 단지 내 소공원), 교통섬(청량리역), 도심 외 대형산림(포천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시험림, 이하 광릉숲)을 선정하였다(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한 주요인자로 객관화 및 정량화가 가능한15) 휘발성유기화합물(피톤치드, BTEXS)을 이용하여, 도시녹지유형에 따른 (1) 미기상인자의 특성 및 (2)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도시숲의 기능평가 및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고, 도시숲에서 인체에 유익한 피톤치드를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적용범위를 확대하는데 근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도시면적의 변화 추이는?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2017년 도시면적이 2008년 대비 약 22% 증가하였으며,1) 도시면적의 증가는 도시생태계의 훼손, 도시주거 환경 악화, 도시 내 대기 및 수질오염, 열섬 현상 등의 환경문제 등을 일으키고 도시민의 삶의 질 저하 및 건강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2,3) 최근 도시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숲 확산 운동이 등장하여 정부의 산림정책과 시민단체의 활동으로 진행되고 있으며,4)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09년에 약 11,021 km2이었던 총 도시숲 면적이 2015년 약 12,536 km2까지 증가하게 되었다.
도시면적의 증가가 가져온 문제점은?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2017년 도시면적이 2008년 대비 약 22% 증가하였으며,1) 도시면적의 증가는 도시생태계의 훼손, 도시주거 환경 악화, 도시 내 대기 및 수질오염, 열섬 현상 등의 환경문제 등을 일으키고 도시민의 삶의 질 저하 및 건강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2,3) 최근 도시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숲 확산 운동이 등장하여 정부의 산림정책과 시민단체의 활동으로 진행되고 있으며,4)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09년에 약 11,021 km2이었던 총 도시숲 면적이 2015년 약 12,536 km2까지 증가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른 도시숲의 긍적적인 효과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녹지공간은 도시의 열섬현상을 감소시켜 인간의 열 스트레스 저감에 도움을 주고,7,8) 인지기능 발달,9) ADHD 비율 감소,10) 면역체계 기능향상,11)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12,13) 등의 생리적인 건강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 및 정신적인 복지와 행복이 녹지공간과 긍정적인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4) 또한 숲은 피톤치드, 음이온, 경관 등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치유인자가 풍부 하다고 알려져 왔으며,15,16) 특히 식물 자체에서 발산하는 휘발성 물질인 피톤치드는 항균, 항염, 항암, 면역증진, 스트레스 조절 등 인체에 다양한 건강증진 효과를 주는 물질로써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Cadastral statistics annual report.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28 [accessed 25 Jun 2018]. 

  2. Douglas E and James P. Urban Ecology: An introduction, 1st e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Group; 2014. p. 500. 

  3. Kim JC, Lee CB, Cheon TH and Jang YJ. A study about the impact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changes by urban development on human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0; 19(1): 15-28. 

  4. Choi SJ, Oh CH. A study on the change of korea forest policy and urban forest movement.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2015; 25(1): 34-35. 

  5.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s on the status of urban forest.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2016. p. 6-23. 

  6. Korea Forest Service. Basic plan for urban forests.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2013. p. 20. 

  7. Jeong MA, Park SJ. Analysis of human thermal responses in accordance with the green space types in the city of seoul -focused on dongdaemun gu-.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6; 19(4): 317-323. 

  8. Lafortezza R, Carrus G, Sanesi G, Davies C. Benefits and well-being perceived by people visiting green spaces in periods of heat stres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009; 8(2): 97-108. 

  9. Dadvand P, Nieuwenhuijsen MJ, Esnaola M, Forns J, Basagana X, Alvarezpedrerol M, et al. Green space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primary schoolchildr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5; 112(26): 7937-7942. 

  10. Amol E, Dadvand P, Forns J, Lopez-vicente M, Basagana X, Julvez J, et al. Green and blue spaces and behavioral development in Barcelona school-children: the BREATHE project.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14; 122(12): 1351-1358. 

  11. Li Q, Morimoto K, Kobayashi M, Inagaki H, Katsumata M, Hirata Y, et al. Visiting a forest, but not a city, increases human natural killer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cancer protein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2008. 21(1), 117-127. 

  12. White MP, Alcock I, Wheeler BW, Depledge MH. Would you be happier living in a greener urban area? A fixed-effects analysis of panel data. Psychology Science. 2013a; 24: 920-928. 

  13. Kwon CW, Lee J, Kim GW, Joung DW, Choi WH, Lim HJ, et al. KFRW-P12: The urban forest visits effect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human body (targe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ity living area). Proceeding of the 2014 meeting of the korea forest society. 2014; 358-358. 

  14. Volker S, Kistemann T. Developing the urban blue: Comparative health responses to blue and green urban open spaces in Germany. Health & Place. 2015; 35: 196-205. 

  15. Jo YS, Park SJ, Jeong MA, Lee JH, Yoo RH, Kim CM, et al. Analysis of phytoncide concentration and micrometeorology factors by pinus koraiensis stand dens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8; 44(3): 205-216. 

  16. Lim CH, Song CH, Kang BR, Lee WK, Park SB, Lee SJ.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condition and forest therapy effec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4; 18(1): 85-97. 

  17. Lee SJ, Yoo SM, Ham BY, Lim CH, Song CH, Kim MI, et al.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of urban forest for water supply and climate mitig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17; 33(6-2): 1119-1137. 

  18. Park BJ. Present and future of forest therap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011; 21(2): 3-5. 

  19. Park SJ, Lee JH, Yoo RH, Kim JJ, Lee YH, Park CW, et al. Characteristics and healing effects of forest healing factors. Research report 15-12.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p. 44-47. 

  20. Lim YY, Lee MH, Jeon SB, Yang KS, Jeong HE, Oh KJ.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deodorant by adding a metal oxide to the essential oils. Clean Technol. 2011; 22(2): 96-105. 

  21. YM Choi.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data collection duration on prospective atmospheric dispersion evalu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of NPP.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22. Lee JH, Renate BA. Understanding the healing function of Urban forest in german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1; 15(3): 81-89. 

  23. Min KW, Lee KS, Park OH, Yoon KJ, Kim DS, Park SI, et al. A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greenway park in Gwang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5; 41(3): 171-181. 

  24. Paralovo SL, Borillo GC, Barbosa CGG, Godoi AFL, Yamamoto CI, Souza RAF, et al. Observations of atmospheric monoaromatic hydrocarbons at urban, semi-urban and forest environments in the Amazon region. Atmospheric Environment. 2016; 128: 175-184. 

  25. Kim KJ, Kim JC and Lim JH. Comparison of anthropogenic and natural VOC concentrations in the forest ambient a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005; 8(3): 132-136. 

  26. Choi YJ, Oh SI, Kim KH. Continuous measurements of aromatic VOCs in a mid-eastern region of seoul during winter 2002/2003.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3; 19(5): 491-502. 

  27. Lee JS, Choi YR, Kim H, Eo SM, Kim MY.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HVOCs) at roadside, tunnel and residential are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1; 27(5): 558-568. 

  28. Cho HY, Cho SH, Kim EA, Kim BG, Park SH, Kang SK. A survey on the status of using styrene in Korea.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2008; 18(4): 310-317. 

  29. Lee YK, Woo JS, Choi SR, Shin ES. Comparison of phytoncide(monoterpene) concentration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5; 41(4): 241-248. 

  30. Lerdau M, Guenther A, Monson R. Plant production and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ioScience. 1997; 47(6): 373-383. 

  31. Lee DH, Kim MH, Seo HJ, Min GW, Kim SH, Seo KY, et 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rpene and meteorological factors at artificial coniferous forest of Mt. moodeung.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2; 21(10): 1221-1234. 

  32. Kang DJ, Kim KW. Effects of temperature and wind velocity on phytoncide concentratio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2; 15(1): 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