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열합성 공정 변화에 따른 ZnS 나노분말의 구조 특성과 소결체의 광학적 특성
Structural Properties of ZnS Nanoparticles by Hydrothermal Synthesis Process Conditions and Optical Properties of Ceramic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1 no.6, 2018년, pp.392 - 397  

여서영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권태형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김창일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윤지선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정영훈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홍연우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조정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백종후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ZnS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of hydrothermal synthesis. When the molar ratio of Zn to S was 1:1.2,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cubic single phase and a high crystal phase. After the molar ratio is fixed, hydrothermal synthesis was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단일상을 가지는 ZnS 나노분말을 합성하기 위해 원료의 몰비를 조절하고 이후 소결에 적합한 미세구조 확보를 위해 합성시간 변화에 따른 ZnS 나노분말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려 한다. 또한 고온 가압 소결법을 이용한 ZnS 소결체 형성으로 ZnS 소결체의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온 가압 소결법을 이용한 ZnS 소결체 형성을 위해 소결체 형성에 적합한 ZnS 나노분말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ZnS 나노분말을 수열합성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원료의 몰비 및 수열합성 시간을 조절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단일상을 가지는 ZnS 나노분말을 합성하기 위해 원료의 몰비를 조절하고 이후 소결에 적합한 미세구조 확보를 위해 합성시간 변화에 따른 ZnS 나노분말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려 한다. 또한 고온 가압 소결법을 이용한 ZnS 소결체 형성으로 ZnS 소결체의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며 ZnS렌즈를 제조할 때의 단점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ZnS 렌즈를 제조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8].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제조한 ZnS 렌즈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나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군수용이 아닌 민수용으로의 적용 에는 어려움이 있다 [9].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현재 일본의 Sumitomo사에서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대신하여 hot press sintering (HP, 고온 가압 소결)의 방법으로 ZnS 렌즈를 생산하여 양산 중에 있다 [10].
수열합성 공정이란? 이 같은 이유로 구조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다고 알려진 수열합성 공정을 이용한 ZnS 나노분말의 합성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3]. 수열합성 공정은 고온 고압 하에서 수용액을 이용하는 액상합성방법으로 빠른 반응 속도와 좋은 분산성을 가지고 균일한 결정상을 가지는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14]. 수열합성 공정 변수에는 원료의 몰비, 합성시간, 합성온도가 있고 이 조건에 따라 ZnS 나노분말의 형상, 크기,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3].
고온 가압 소결의 장점은?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현재 일본의 Sumitomo사에서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대신하여 hot press sintering (HP, 고온 가압 소결)의 방법으로 ZnS 렌즈를 생산하여 양산 중에 있다 [10]. 화학 기상 증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소결방법으로는 고온 가압 소결, spark plasma sintering (SPS,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이 있는데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은 빠른 공정으로 단시간에 소결한다는 이점은 있지만 내부가 카본으로 되어 있어 오염에 노출이 쉬운 반면 [9] 고온 가압 소결은 비교적 오염에 안전하고 제조공정이 간단 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11,12]. 그러나 고온 가압 소결법으로 형성된 ZnS 소결체의 특성은 ZnS 나노분 말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ZnS 나노분말의 특성 최적화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Chen, L. Zhang, J. Zhang, P. Liu, T. Zhou, H. Zhang, D. Gong, D. Tang, and D. Shen, Opt. Mater., 50, 36 (2015). [DOI: https://doi.org/10.1016/j.optmat.2015.03.058] 

  2. J. S. Hu, L. L. Ren, Y. G. Guo, H. P. Liang, A. M. Cao, L. J. Wan, and C. L. Bai, Angew. Chem. Int. Ed., 117, 1295 (2005). [DOI: https://doi.org/10.1002/ange.200462057] 

  3. X. Fang, T. Zhai, U. K. Gautam, L. Li, L. Wu, Y. Bando, and D. Golberg, Prog. Mater. Sci., 56, 175 (2011). [DOI: https://doi.org/10.1016/j.pmatsci.2010.10.001] 

  4. A. Rogalski and K. Chrzanowski, Metrol. Meas. Syst., 21, 565 (2014). [DOI: https://doi.org/10.2478/mms-2014-0057] 

  5. Y. W. Hong and J. H. Paik, J. Korean Ceram. Soc., 17, 72(2014). 

  6. C. Chlique, G. Delaizir, O. Merdrignac-Conance, C. Roucau, M. Dolle, P. Rozier, V. Bouquet, and X. H. Zhang, Opt. Mater., 33, 706 (2011). [DOI: https://doi.org/10.1016/j.optmat.2010.10.008] 

  7. Y. D. Kim, K. Sonezaki, H. Maeda, and A. Kato, J. Mater. Sci., 32, 5101 (1997). [DOI: https://doi.org/10.1023/A:1018613316157] 

  8. Z. Shizen, M. A. Hongli, R. Jean, M. C. Odile, A. Jean-Luc, L. Jacques, and Z. Xianghua, J. Optoelectron. Adv. Mater., 1, 667 (2007). 

  9. G. Bernard-Granger, N. Benameur, C. Guizard, and M. Nygren, Scripta Mater., 60, 164 (2009). [DOI: https://doi.org/10.1016/j.scriptamat.2008.09.027] 

  10. T. Ueno, M. Hasegawa, M. Yoshimura, H. Okada, T. Nishioka, K. Teraoka, A. Fujii, and S. Nakayama, Sei technical review, No 69. (Sumitomo electric, Osaka, 2009) p. 48. 

  11. S. K. Dutta and G. E. Gazza, Mater. Res. Bull., 4, 791 (1969). [DOI: https://doi.org/10.1016/0025-5408(69)90001-4] 

  12. A. L. Chamberlain, W. G. Fahrenholtz, G. E. Hilmas, and D. T. Ellerby, J. Am. Ceram. Soc., 87, 1170 (2004). [DOI: https://doi.org/10.1111/j.1551-2916.2004.01170.x] 

  13. T. H. Kwon, S. Y. Yeo, C. S. Park, C. I. Kim, Y. W. Hong, and J. H. Paik, J. Sensor Sci. & Tech., 26, 360 (2017). [DOI: https://doi.org/10.5369/JSST.2017.26.5.360] 

  14. G. H. Yue, P. X. Yan, D. Yan, X. Y. Fan, M. X. Wang, D. M. Qu, and J. Z. Liu, Appl. Phys. A., 84, 409 (2006). [DOI: https://doi.org/10.1007/s00339-006-3643-8] 

  15. B. Meyer, Chem. Rev., 76, 367 (1976). [DOI: https://doi.org/10.1021/cr60301a003] 

  16. M. N. Rahaman, Ceramic Processing and Sintering, 2nd ed. (Taylor and Francis, Boca Raton, FL, 2003). 

  17. B. Elidrissi, M. Addou, M. Regragui, A. Bougrine, A. Kachouane, and J. C. Bernede, Mater. Chem. Phys., 68, 175 (2001). [DOI: https://doi.org/10.1016/S0254-0584(00)00351-5] 

  18. A. Kajbafvala, S. Zanganeh, E. Kajbafvala, H. R. Zargar, M. R. Bayati, and S. K. Sadrnezhaad, J. Alloy. Compd., 497, 325 (2010). [DOI: https://doi.org/10.1016/j.jallcom.2010.03.057] 

  19. R. Kugel and H. Taube, J. Phys. Chem., 79, 2130 (1975). [DOI: https://doi.org/10.1021/j100587a014] 

  20. C. Chlique, O. Merdrignac-Conanec, N. Hakmeh, X. Zhang, and J. L. Adam, J. Am. Ceram. Soc., 96, 3070 (2013). [DOI: https://doi.org/10.1111/jace.12570] 

  21. P. Singhal, P. V. Ghorpade, G. S. Shankarling, N. Singhal, S. K. Jha, R. M. Tripathi, and H. N. Ghosh, Nanoscale, 4, 1823 (2016). [DOI: https://doi.org/10.1039/c5nr07605f] 

  22. H. M. Park and J. S. Park,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chool of Research Equipment Engineers, Daejeon, 2013) p. 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