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에서 위험물 운송 중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성에 관한 연구
Risk Analysis of Transporting Hazardous Substances in Harbor Using Modeling Program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32 no.4, 2018년, pp.272 - 278  

윤수경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윤자연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한지윤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정승호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use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is growing and chemical accidents have increased. Nowadays,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ublic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chemicals hav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만에서 BTX 물질 중 벤젠과 톨루엔의 누출사고를 가정하여 피해영향범위 및 개인적 위험도(IR)를 구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BTX 물질은 사고 발생 우려가 높고, 사고가 발생하여 흡입할 경우 급성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이며, CA결과 ERPG-2 농도보다 높게 나오는 것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BTX 물질은 대기 중으로 배출 시 광화학반응(Photochemical reaction)에 의하여 오존 등을 생성함에 따라 자체의 환경영향 및 2차 반응에 의한 위험이 존재한다. 더불어 항만이라는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바다의 기상적인 상황이나 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에 의해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5m/s, 5m/s로 가정하였으며, 특히 이 경우는 컨테이너의 일종인 탱크테이너를 단일 용기로 가정하여 전량누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소량 누출일 경우는 RIVM(Reference manual Bevi risk assessments)에 따라 30m3이 누출된다고 가정하였다. 이 때 온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범위는 크게 다르지 않아 이를 낮과 밤의 풍속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 4hr/척을 구하였다. 연간환적수(N)는 해양 수산부의 부산 지방 해양수산청의 2016년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f0를 구하고(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이를 외부 충격으로 인한 대량 누출, 소량 누출 두 가지의 경우로 가정하여 최종 사고 빈도는 대량누출의 경우 0.0325, 소량누출의 경우 0.065를 적용하여 IR(Individual risk)을 구하였다. 더불어 인구 및 인구밀도는 국가통계포털(KOSIS, 2017)을 통하여 부산 남구의 인구밀도와 낮, 밤에 따른 주간인구와 상주인구를 각각 따로 적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Table 7, Table 8에 명시하였다(NFPA, 2017).
  • , 2016)를 외부 충격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대량 누출과 소량 누출의 경우로 나누어 Contour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대량 누출의 경우는 KOSHA의 최악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위험물컨테이너의 일종인 탱크테이너에서의 누출상황을 가정하였으며 이와 비교하기 위한 소량 누출일 경우는 RIVM에 따라 30m3의 양이 누출된다고 가정하였다.
  • , 1998). 이론상으로 20ft 컨테이너에는 약 20톤까지 적재할 수 있기에 KOSHA Guide의 최악의 누출 시나리오(NICS, 2016)에 적용하여 대량누출의 경우 20톤의 BTX 물질이 10분 전량 누출되고, 기상 조건 역시 위의 기술지침에 따라 상온 상압(25℃, 1기압)에서 밤, 낮의 풍속은 각각 1.5m/s, 5m/s로 가정하였으며, 특히 이 경우는 컨테이너의 일종인 탱크테이너를 단일 용기로 가정하여 전량누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소량 누출일 경우는 RIVM(Reference manual Bevi risk assessments)에 따라 30m3이 누출된다고 가정하였다.
  • 위험물은 보통 전용부두를 통하여 산적 형태로 이동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밀접해 있는 항만에서 위험물 누출 시의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험물 컨테이너 형태로 항만으로 운송되는 경우로 가정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 항만 중 전체 컨테이너 처리물량의 76.9%를 차지하는 부산항에서의 영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관리법이 적용받지 않는 곳은 어디인가? 국내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물질관리법 및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 방법에 관한 법률 등 이에 관련된 법 체계를 강화하여 화학물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사용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화학물질관리법상에서 항공, 철도, 선박은 제외되어 있어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태이다.
해상으로 운송되는 화학물질이 유통되는 장소는 어디며, 장소의 지리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많은 종류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질마다 각각 다른 조건 (온도, 압력, 기상 등)에서 다른 방식의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 항만에서는 많은 위험물이 유통되고 있는데, 이러한 위험물의 취급장소가 주거지역과 근접해 있어 사고 발생 시 위험을 키울 수 있는 요인들이 많다(Kim et al, 2016).
사고대비물질이란 무엇인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에 의하면 “사고대비물질”이란 급성독성, 폭발성 등이 강하여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사고 대비 및 대응 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정도의 치명적인 물질이다. BTX 물질은 사고대비물질이며 동시에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에 해당되는 물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AIHA), 2016.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s. 

  2.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2014. IMDG Code. 

  3. Kang, M.J., 2014. Planned Check / High Potential Tank Container Market. Monthly Maritime Korea, 488. 

  4. Kang, S.J., Lee, I.M., Moon, J.Y., Chon, Y.W., 2017. Risk Analysis of Ammonia Leak in the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21(1), 43-51. 

  5. Kim, K.S., Son, C.Y., Shin, H.I., Lee, M.S., 1998. Structural Design of Cargo Handling System for the Yellow Sea Area.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13(2), 18-25. 

  6. Kim, S.S., 2015.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in Ports. Monthly Maritime Korea, 502. 

  7. Kim, W.S., Choi, N.Y.H., Kim, D.H.,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Dangerous Goods in Korean Ports. Korea Maritime Institute(KMI), 2016-12. 

  8.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KOSHA), 2017. Material Safety Data Sheet, Benzene, Toluene, Xylene. 

  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7. Statistical System. [Online] Available at [Accessed Sep 20, 2017]. 

  10. Lees, F.P., 1996.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nd Edition, Butterworths-Heinemann. 

  11. Martins, M.R., Pestana, M.A., Souza, G.F.M., Schleder, A.M., 2016.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Loading and Offloading Liquefied Natural Gas(LNG) on a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FSRU).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43. 626-653. 

  12.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Statistical System. [Online] Available at [Accessed Sep 20, 2017].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Final Report of the 3rd Chemical Distribution Survey. 11-1480000-000909-01.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Loading and Unloading of Dangerous Goods Container in Port(Manual). 

  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Statistical System. [Online] Available at [Accessed Sep 21, 2017]. 

  16.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NFPA), 2017. Standard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Hazards of Materials for Emergency Response. NFPA 704. 

  17.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NICS), 2015. ALOHA Guidelines. 2015-2. 

  18.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NICS), 2016. Technical Guidelines for Selecting Accident Scenarios. 4. 

  19. Oak, J.M., Kawg, Y.M., Hong, M.S., Jung, S.H., 2017. A Study on Safety Distance of Toxic Gas Leak Accident Using Hazard Model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83-89. 

  20. Reference Manual Bevi Risk Assessments(RIVM), 2009. Module C Modeling the Specific Bevi Categories. 3.2. 

  21. Uijt de Haag, P.A.M., Ale, B.J.M., 2005. Guidelines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CPR 18E, Purple Book, RVIM. 

  22. Woo, Y.J., Lee, C.J., 2016. A study of Emergency Response for the Leakage Accid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in a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6), 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