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플랜트 설비의 비상전원공급을 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연구
Study of a Photovoltaic System as an Emergency Power Supply for Offshore Plant Facilities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32 no.4, 2018년, pp.279 - 286  

최군환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이병호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정노택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부) ,  신규보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eco-friendly energy in the offshore plant system is expanding because conventional generators are operated by fossil fuel or natural gas. Eco-friendly energy, which replaces existing power generation methods, should be capable of generating the power for lighting protection equipment, 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2.3절에서 언급한 기존 고정식 평판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필연적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었던 대형 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Fig. 1(b)와 같은 형태의 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안한다. 해당 구조물은 기존의 구조물에 비해 경량인 점으로 인해 해양플랜트 설비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플랜트 환경에 적합한 보(Beam)를 이용한 구조물과 구형의 태양광 발전단구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고정식 평판 태양광 발전 방식에 비해 가볍고 작아 기존 대형 구조물의 단점이었던 안전성이나 하중으로 인한 문제가 없고 유지보수도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에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하는 방식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안하고 보에 설치할 수 있는 구형 태양광 발전단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개별 패널의 고장 시 교체가 쉬운 장점까지 가지고 있다.
  •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지목되는 친환경 에너지의 생산 비율을 높이는 방안과 CO2 저감에 대한 에너지 생산 및 탄소 배출권 저감 모델을 제시한 것입니다. 이는 해양플랜트설비 친환경 에너지 사업적 모델을 제시한 연구, 실험의 근거로 작성 되었으며, 해양대기 환경개선을 위해 CO2를 저감하는 친환경 에너지의 비율 증가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저감에 대한 에너지 생산 및 탄소 배출권 저감 모델을 제시한 것입니다. 이는 해양플랜트설비 친환경 에너지 사업적 모델을 제시한 연구, 실험의 근거로 작성 되었으며, 해양대기 환경개선을 위해 CO2를 저감하는 친환경 에너지의 비율 증가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실험에 협조해주신 관계기관⋅기업에 감사드립니다.

가설 설정

  • 2(a)와 같이, Type B,C, D는 Fig. 2(b)와 같이) 단면이 정사각형인 보에 등간격,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설치 형태에서는 작용하는 힘도 좌우 대칭이므로 Fig.
  • N은 9, 수평경간은 8m, 패널 사이의 거리 L은 800 mm, 보의 두께는 가로(w), 세로(h) 50mm로 설정하였고 보의 재질은 구조용 강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ASTM A36으로 가정하였으며 해당 물질의 허용 응력σallow는 250MPa이다(Beeret al.,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플랜트 설비는 무엇으로 전력을 수급하고 있나? 해양플랜트 설비는 대부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수급하고 있다. 이는 해양대기오염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의 고장 시 기본적으로 비상용 발전기및 축전용 배터리 등의 가동으로 기간을 보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화협약은 언제부터 발효되었나? 1997년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지구 온난화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였으며, 2005년 2월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한국은 기후변화 협약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어 의무 이행 대상국에서 제외 되었으나, 몇몇 선진국에 의해 멕시코 등과 같이 2008년부터 온 실가스 감축의 자발적인 의무부담을 요구받았으며, 정부는 2015년부터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여 저탄소 기술 개발 촉진,저탄소 산업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Shin, 2015).
태양광 전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 형태가 해양플랜트에 설치하기엔 부적합한 이유는? 비상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하여태양광 전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 형태가 해양플랜트에 설치하기엔 부적합한 것이 사실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정식 평판 태양광 발전 설비는 외형의 특징상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대형의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안전성이나 하중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해수의 염분에 의한 성능저하로 인해 유지보수가 용이해야하지만 기존의 발전시스템은 이 점에서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dullah, M., Ahmed, M., Hasan, K., 2018. Feasibility Study on Hybrid Renewable Energy to Supply Unmanned Offshore Platform. Sustainable Electrical Power Resources through Energy Optimization and Future Engineering, 65-85. 

  2. Beer, F., Johnston, E., DeWolf, J., Mazurek, D., 2009. Mechanics of Materials. 5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Asia), Singapore. 

  3. Choi, H., Byun, I., Lee, N., Lee, S., 2010. The Study on Floated Photovoltaic Solar Energy Application to Dam Reservoi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ymposium, 1267-1268. 

  4. Fox, R., Pritchard, P., McDonald, A., 201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7th Edition, John Wiley & Sons Asia Pte Ltd, Singapore. 

  5. Ha, S., Lee, B., Ha, Y., 2012. Analysis of Wind Pressure Distribution on Solar Collector in according to the Array of Module and the Angle. Proceedings of WEIIK Symposium, 127-132. 

  6. Jeon, J., Kim, K., 2010, An Optimal Decision Model for Capacity and Inclining Angle of Residential Photovoltaic System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59(6), 1046-1052. 

  7. Kang, M., 2016,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Photovoltaic Facilities for Apartment.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470, 55-63. 

  8. Kim, J., Jeong, S., Kim, B., Ha, Y., 2013.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Support of Photovoltaic System. Proceedings of WEIIK Symposium, 61-66. 

  9. Kim, Y., Jeong, K., Lee, J., 2017. Wind Load Analysis for Designing a Tracking Solar Genera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672-680. 

  10. Lee, D., Jeong, S., Kim S., Kim, P., Yang, Y., 2017a. Analysis of Cost Effectiveness on Fishing Trip Cost by Adop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 a Small Fishing Vess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5), 1470-1479. 

  11. Lee, D., Kim, G., Tac, D., Yi, Y., Choi, J., Kim, H., Lee, J., Yoon, S., 2015. Diagnosis of Scoping and Type of Review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Ocean Energy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8(3), 179-188. 

  12. Lee, I., Joo, J., Lee, C., Kim, G., Woo, D., Kim, J., 2017b.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Changes in Agricultural Reservoir Covered with Floating Photovoltaic Solar-Tracking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5), 255-264. 

  13. Oh, K., Moon, B., Lee, K., 2016. Performance Evalua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Eco-environmental Photovoltaic Leisure Ship with Sail-controlling Device With Respect to Solar-Gybrid Generating System.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30(1), 57-67. 

  14. Sahu, A., Yadav, N., Sudhakar, K., 2016.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6, 815-824. 

  15. Sanchez, Y., Oliveira, S., 2015. Exergy Analysis of Pffshore Primary Petroleum Processing Plant with CO2 Capture. Energy, 88, 46-56. 

  16. Shin, K., 2015. New Renewable Energy System Engineering. 1st Edition, Iljinsa,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