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서부 해안 지역 염지하수 특성 및 관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ine Groundwater and Its Well Development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7 no.8, 2018년, pp.677 - 688  

조은일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고택균 ((주)한가람) ,  이민규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감상규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inimize salt water intrusion into freshwater aquifers and limit the development of freshwater aquifer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excavation depth of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The study site was mostly basaltic lava, which was mainly composed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서부 해안지역의 관정을 대상으로 염지하수 부존 특성을 조사한 후, 염지하수관정 개발 시 담수 대수층으로의 염수 침입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굴착심도 선정함으로서 담수 대수층 개발을 제한하여, 양질의 염수지하수만을 채수할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특별자치도의 양식어업 환경의 특징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양식어업 환경은 제주도 지역의 지형 특성상 내만이 없고, 태풍 및 계절풍 등의 영향으로 바다에 이루어지는 해면양식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제주지역의 해양환경을 보면, 청정지역의 해수와 년 중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는 염지하수가 풍부하고 특히 해안의 지하의 대수층에는 비교적 고염분이 함유된 염지하수가 부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Park, 1994). 이러한 염지하수는 연중 17oC내외로 거의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고 있어 여름철 고수온기와 겨울철 저수온기에 자연해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육상양식장의 사육생물 성장에 적합한 적정 수온으로 맞춰줄 수 있어 육상양식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Chun and Rho, 1991).
제주도 염지하수의 용도는? 그러나 제주지역의 해양환경을 보면, 청정지역의 해수와 년 중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는 염지하수가 풍부하고 특히 해안의 지하의 대수층에는 비교적 고염분이 함유된 염지하수가 부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Park, 1994). 이러한 염지하수는 연중 17oC내외로 거의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고 있어 여름철 고수온기와 겨울철 저수온기에 자연해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육상양식장의 사육생물 성장에 적합한 적정 수온으로 맞춰줄 수 있어 육상양식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Chun and Rho, 1991).
제주도의 염지하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최근에는 제주도 대정읍 지역을 포함한 서부지역에서도 많은 염지하수 개발이 이루어지며 다수의 양식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가뭄 시에는 해수의 유입으로 많은 담수 지하수 관정에서 염소이온농도가 기준치인 250 mg/L을 초과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동부지역에 비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Le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 J. C., Rho, S., 1991, Salinity tolerance of eggs and juvenile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J. Aquaculture, 4, 73-84. 

  2. Kim, B. S., Hamm, S. Y., Lee, C. M., Ok, S. I., Cha, E. J., Ko, Y. S., 2011, Features of regional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 Geol. Soc. 47, 263-276. 

  3. Kim, J. Y., Oh, Y. K., Ryu, A. P., 2001, Study on the salinization in groundwater of eastern area of Cheju Island. J. Environ. Sci. Intern., 10, 47-58. 

  4. Kim, K. Y., Shim, B. O., Park, K. H., Kim, T., Seong, H., Park, Y. S., Koh, G. W., Woo, N. C., 2005, Analysis of hydraulic gradient at coastal aquifers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Econ. Environ. Geol., 38, 79-89. 

  5. Kim, S. S., Kim, D. K., Son, P. W., Lee, C. H., Ha, D. S., 200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the coastal saline groundwaters in Jeju Island, J. Aquaculture, 16, 15-23. 

  6. Lee, J. Y., Lee, G. S., Song, S. H., 2007, An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nitoring wells in Jeju Island, J. Korean Earth Sci. Soc., 28, 925-935. 

  7. Lee, S. H., 2008, Characteristic of hydrogeological and grounwater occurrence in the western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Korea. M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8. Ok, S. I., Hamm, S. Y., Kim, B. S., Cheong, J. Y., Woo, N. C., Lee, S. H., Koh, G. W., Park, Y. S., 2010, Characteristics of aquifer system and change of groundwater level due to earthquake in the western half of Jeju Island, Econ. Environ. Geol., 43, 359-369. 

  9. Park, G. S., 1994,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coastal of Cheju Island. M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0. Water Resource Headquarter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2, Sourcebook II of geological columnar sect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812-966. 

  11. Waterworks and Sewerage Headquat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6, http://jeju.go.kr/jejuwater/ index.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