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adeable stream에서 하천차수에 따라 보(weir)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eirs on Fish Assemblage according to Stream Order in Wadeable Stream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2, 2020년, pp.148 - 155  

김정희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윤주덕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박상현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백승호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김규진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하천차수로 구분하여 보의 유·무가 어류군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3차와 4차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5, PERMANOVA). 보의 유·무에 따라 총 출현 종수, 총 출현 개체수, 종 풍부도와 같은 요인들이 차이를 나타냈으며, 외래종, 고유종, 보호종 개체수의 경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IMPER 분석을 통해서 어류군집 차이에 주로 기여하는 종을 분석한 결과 해당 차수의 하천에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피라미(Zacco platypus), 참갈겨니(Zacco koreanus), 돌고기(Pungtungia herzi)와 같은 보편종으로 확인되었다(contribution>5%). 이들 종은 모두 보가 있는 지점에서 평균 상대풍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로 인해 변화된 환경이 이들 종에 대해서 주요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범위에서 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의 관리를 위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irs on fish assemblages in wadeable streams (Stream order 1st~4th).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se effect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s in stream size.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fish assemblages in third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이러한 연구는 전반적인 보와 어류군집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의 wadeable stream (4차 하천 이하)을 대상으로 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라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차수(stream order)별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 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하천차수로 구분하여 보의 유·무가 어류군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3차와 4차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차이가 확인되었다(P<0.
  • 본 연구는 전국 범위에서 한국의 하천에 건설된 보가 어류군집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하천에서 보의 유·무에 따라서 어류 군집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나, 이러한 폭넓은 정보를 보 관리를 위한 세부적인 정책을 마련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 2011).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보가 어류 이동을 차단하고 어류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Porto et al., 1999; Lucas et al.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하천차수로 구분하여 보의 유·무가 어류군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3차와 4차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5, PERMANOVA). 보의 유·무에 따라 총 출현 종수, 총 출현 개체수, 종 풍부도와 같은 요인들이 차이를 나타냈으며, 외래종, 고유종, 보호종 개체수의 경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IMPER 분석을 통해서 어류군집 차이에 주로 기여하는 종을 분석한 결과 해당 차수의 하천에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피라미(Zacco platypus), 참갈겨니(Zacco koreanus), 돌고기(Pungtungia herzi)와 같은 보편종으로 확인되었다(contribution>5%). 이들 종은 모두 보가 있는 지점에서 평균 상대풍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로 인해 변화된 환경이 이들 종에 대해서 주요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범위에서 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의 관리를 위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weir)와 댐(dam)을 건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은 하천 및 강에서 용수를 활용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보(weir)와 댐(dam)과 같은 많은 인공구조물을 건설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보는 하천 및 강에서 가장 많이 건설되어 영향을 주고 있는 구조물이다(Pof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derson, M.J., R.N. Gorley and K.R. Clarke. 2008. PERMANOVA+ for PRIMER: Guide to Software and Statistical Methods. PRIMER-E, Plymouth, UK. 

  2. Brown, J.J., J. Perillo, T.J. Kwak and R.J. Horwitz. 2005. Implications of Pylodictis olivaris (flathead catfish) introduction into the Delaware and Susquehanna drainages. Northeastern Naturalist 12: 473-484. 

  3. Cha, S.B., J.U. Seong, J.O. Kim and J.C. Park. 2015. Evaluation of fish migration ratio at the fishway constructed in wei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 229-236. (in Korean) 

  4. Cumming, G.S. 2004. The impact of low-head dams on fish species richness in Wisconsin USA. Ecological Applications 14: 1495-1506. 

  5. Doyle, M.W., E.H. Stanley, C.H. Orr, A.R. Selle, S.A. Sethi and J.M. Harbor. 2005. Stream ecosystem response to small dam removal: lessons from the Heartland. Geomorphology 71: 227-244. 

  6. Eitzmann, J.L. and C.P. Paukert. 2010. Longitudinal differences in habitat complexity and fish assemblage structure of a Great Plains River.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63: 14-32. 

  7. Fagerlund, U.H.M., J.R. McBride and E.T. Stone. 1981. Stress-related effects of hatchery rearing density on coho salmo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10: 644-649. 

  8. Gorman, O.T. and J.R. Karr. 1978. Habitat structure and stream fish communities. Ecology 59: 507-515. 

  9. Helms, B.S., E.E. Hartfield, D.C. Werneke, J.W. Feminella and M.M. Gangloff. 2011. The influence of low-head dams on fish assemblages in streams across Alabama.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30: 1095-1106. 

  10. Holcomb, J.M., R.B. Nichols and M.M. Gangloff. 2016. Effects of small dam condition and drainage on stream fish community structure. Ecology of Freshwater Fish 25: 553-564. 

  11. Horwitz, R.J. 1978. Temporal variability patterns and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stream fishes. Ecological Monographs 48: 307-321. 

  12. Im, D., H. Kang, K.H. Kim and S.U. Choi. 2011. Changes of river morphology and physical fish habitat following weir removal. Ecological Engineering 37: 883-892. 

  13. Islam, M.S. and M. Tanaka. 2004. Impacts of pollution on coastal and marine ecosystems including coastal and marine fisheries and approach for management: a review and synthesis. Marine Pollution Bulletin 48: 624-649. 

  14.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 of Korea, Kyo- Hak Publishing, Seoul, Korea. 

  15. Langeani, F., L. Casatti, H.S. Gameiro, A.B.D. Carmo and D.D.C. Rossa-Feres. 2005. Riffle and pool fish communities in a large stream of southeastern Brazil. Neotropical Ichthyology 3: 305-311. 

  16. Lee, J.W., J.H. Kim, S.H. Park, K.R. Choi, H.J. Lee, J.D. Yoon and M.H. Jang. 2013. Impact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on the population of Korean native fish,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 370-375. (in Korean) 

  17. Lucas, M.C., D.H. Bubb, M.H. Jang, K. Ha and J.E.G. Masters. 2009. Availability of and access to critical habitats in regulated rivers: effects of low-head barriers on threatened lampreys. Freshwater Biology 54: 621-634. 

  1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19. Marion, C.A., M.C. Scott and K.M. Kubach. 2012. Fish community response to dam removal in Twelvemile Creek, Pickens County, South Carolina. In: Extended Abstract. 2012. South Carolina Water Resources Conference, Columbia Metropolitan Convention Center, USA. 

  20. Matthews, W.J. and H.W. Robison. 1988. The distribution of the fishes of Arkansas: a multivariate analysis. Copeia 1988: 358-374. 

  21. McCormick, M.A. 2012. Effects of small dams on freshwater bivalve assemblages in North Carolina piedmont and coastal plain streams. Doctoral Thesis. Appalachian State University, Boone, NC, USA. 

  22. Miranda, R., J. Oscoz, P.M. Leunda, C. Garcia-Fresca and M.C. Escala. 2005. Effects of weir construction on fish population structure in the River Erro (North of Spain).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1: 7-13. 

  23. MOE/NIER. 2008.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24. Nelson, J.S., T.C. Grande and M.V. Wilson. 201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25. Penczak, T. and A. Kruk. 2000. Threatened obligatory riverine fishes in human-modified Polish rivers. Ecology of Freshwater Fish 9: 109-117. 

  26. Penczak, T. and R.H.K Mann. 1990. The impact of stream order on fish populations in the Pilica Drainage Basin, Poland. Polskie Archiwum. Hydrobiologii 38: 243-261. 

  27. Peter, A. 1998. Interruption of the river continuum by barriers and the consequences for migratory fish. In: Jungwirth, M., S. Schmutz and S. Weiss (eds), Fish Migration and Fish Bypasses, Fishing News Books, Oxford. UK. 

  28. Poff, N.L., J.D. Allan, M.B. Bain, J.R. Karr, K.L. Prestegaard, B.D. Richter, R.E. Sparks and C. Stromberg. 1997. The natural flow regime: a paradigm for rive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ioScience 47: 769-784. 

  29. Porto, L.M., R.L. McLaughlin and D.L.G. Noakes. 1999. Lowhead barrier dams restrict the movements of fishes in two Lake Ontario streams.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19: 1028-1036. 

  30. Poulet, N. 2007. Impact of weirs on fish communities in a piedmont stream.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3: 1038-1047. 

  31. Schlosser, I.J. 1990. Environmental variation, life history attribute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tream fishe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ssess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14: 621-628. 

  32. Singer, E.E. and M.M. Gangloff. 2011. Effects of a small dam on freshwater mussel growth in an Alabama (USA) stream. Freshwater Biology 56: 1904-1915. 

  33.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38: 913-920. 

  34. Thoni, R., J. Holcomb, R. Nichols and M.M. Gangloff. 2014. Effects of small dams on sunfish (Perciformes: Centrarchidae) assemblages in North Carolina piedmont and coastal plain stream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43: 97-103. 

  35. Yoon, J.D., J.H. Kim, M.S. Byeon, H.J. Yang, J.Y. Park, J.H. Shim and M.H. Jang. 2011. Distribution patterns of fish communitie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gradients in Korean streams. Annales de Limnologie -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