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pousal Bereavement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379 - 391  

송재현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가족상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를 사별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으며,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에 대해 처음으로 그들의 관점에서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배우자 사별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 7명을 심층면담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 경험은 20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5개의 범주는 '행복했던 결혼생활', '참고 살았던 결혼생활', '남편의 사별', '혼자 살아내야 하는 삶', '희망이 있어 견딜 수 있는 삶'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배우자 사별 경험은 모든 것을 남편에게 의존하던 삶에서 사별 후 스스로 삶의 변화에 적응해 가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내기 위해 노력하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배우자 사별 결혼이주여성이 사별 후 한국사회에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방안 마련과 사회복지 지원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ost their spouse,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empirical perception on the recently newly-focused issue, bereave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their perspective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의 국제결혼 추세는 어떠한가? 한국사회의 국제결혼은 2000년대 이후부터 가시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 급증한 후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국제결혼은 2017년 말 기준으로 전체결혼의 7.9%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71.4%가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으로 나타났다[1].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는 한국사회의 저 출산율과 고령화 문제에 해법[2]을 제시할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부정적인 측면도 발생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증가가 주는 장점은 무엇인가? 4%가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으로 나타났다[1].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는 한국사회의 저 출산율과 고령화 문제에 해법[2]을 제시할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부정적인 측면도 발생한다.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이나 별거, 사별 등으로 인한 다문화가족의 해체가 그 예이다.
다문화가족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이나 별거, 사별 등으로 인한 다문화가족의 해체가 그 예이다. 국제결혼 후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가족 간 불화 및 부부갈등, 한국 문화적응에 대한 어려움, 한국인 남편의 사망 등을 그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그중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은 2009년 이후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여성가족부에서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는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사별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통계청, 2017년 혼인.이혼 통계, 2018. 

  2.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pp.57-80, 2007. 

  3. 홍달아기, 채옥희,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29-741, 2006. 

  4. 양복순, 중년여성의 배우자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5. M. E. Cooley, "Bereavement care. A role for nurses," Cancer Nursing, Vol.15, No.2, pp.125-129, 1992. 

  6. 강인, 최혜경,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과정에서 개인내적 요인들의 중재적 역할," 대한가정학회지, 제36권, 제4호, pp.95-107, 1998. 

  7. 남인숙, "상배(喪配)여성의 상실위기극복과 사회적응 과정," 한국여성학, 제16권, 제2호, pp.175-204, 2000. 

  8. 장희선, 김윤정, "농촌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과정," 한국노년학, 제31권, pp.939-967, 2011. 

  9. 최명민, 김가득, 김도윤, "자살로 사별한 노년기 배우자의 상실경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1호, pp.76-105, 2016. 

  10. C. I. Murray, "Death, dying, and bereavement. Families and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pp.173-194, 1994. 

  11. O. Gilbar and H. Ben-Zur, "Bereavement of spouse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2, No.3, p.422, 2002. 

  12. C. H. Ott, "The impact of complicated grief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t various points in the bereavement process," Death studies, Vol.27, No.3, pp.249-272, 2003. 

  13. 윤동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해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7권, 제2호, pp.37-58, 2013. 

  14. P. Ng, W. C. Ho, A. Tsun, and D. K. Young, "Coping with bereavement of widows in the Chinese cultural context of Hong Kong,"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59, No.1, pp.115-128, 2016. 

  15. C. Saito, "Bereavem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among Japanese immigrant widows: Living with grief in a place of marginality and liminality in the United States," Pastoral psychology, Vol.63, No.1, pp.39-55, 2014. 

  16. K. M. Bennett, Q. Chao, L. Roper, and V. Lowers, "(The deceased has left; the alive has to move on): Experiences of Chinese Widows in the UK," Death studies, Vol.42, No.8, pp.498-507, 2018. 

  17. A. Martin-Matthews, C. E. Tong, C. J. Rosenthal, and L. McDonald, "Ethno-cultural diversity in the experience of widowhood in later life: Chinese widows in Canada," Journal of aging studies, Vol.27, No.4, pp.507-518, 2013. 

  18. 김이선, 마경희, 선보영, 최호림, 이소영, 다문화 가족의 해체 문제와 정책과제,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 연구보고서, 제2권, 2010. 

  19.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제39권, 제1호, pp.195-219, 2006. 

  20.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29권, 제6호, pp.1208-1220, 1999. 

  2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22.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23.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탐구, 제12권, 제1호, pp.49-68, 2003. 

  24.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의 이론,"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동계연수자료, pp.5-22, 2001. 

  26. Y. S. Lincoln and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cation, 1985. 

  27. 박미순, 황선영,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대한케어복지학, 제17권, pp.17-36, 2012. 

  28.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지지와의 관계," 연세교육학연구, 제9권, pp.157-176, 1996. 

  29. 최태일, 주한 외국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0. 박병금,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적응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77-295, 2013. 

  31. 대한변호사협회, 서울가정법원, 다문화가족의 인권 현황과 새로운 법적 쟁점, 세미나 자료집, 2015. 

  32. 박병금, 노필순,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의 가족적응 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1호, pp.250-265, 2014. 

  33. 박경복, 김분한,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경험," 종양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43-153, 2004. 

  34. E. Lindemann,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01, pp.141-148, 1944. 

  35. 이미라, "애도 개념개발-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7호, pp.1119-1130, 2007. 

  36. L. M. Daggett, "Living with loss: Middle-aged men face spousal bereavement,"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2, No.5, pp.625-639, 2002. 

  37. M. E. Lowe and S. E. McClement, "Spousal bereavement: The lived experience of young Canadian widow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62, No.2, pp.127-148,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