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Life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 and Risk Fact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594 - 606  

김비 (삼육대학교 중독과학과) ,  김나미 (삼육대학교 중독과학과) ,  박경은 (삼육대학교 중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위험요인인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긍정심리자본, 정신건강, 자기생활관리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생활관리와 긍정심리자본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신건강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경로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매개변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 하위요인들과 자기생활관리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에서는 낙관성과 탄력성이 자기생활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에서는 우울과 충동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n protective factor and mental health as an risk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lf life 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긍정심리자본, 정신건강 및 자기생활관리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충청·부산에 소재한 3개의 대학교에서 266명의 대학생(남: 112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 활관리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위험요인으로 정신건강을 선정하여 이들이 매개변수로서의 기능을 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개선과 자기생활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 실제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전반적인 건강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이르는 경로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대한 위험요인 뿐만 아니라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주는 긍정적 영향 때문에 무조건적인 배제가 아닌 올바른 조절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도 함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중독에 비하여 중독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적인 문제로는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증후군, 대사기능 저하, 수면장애 등의 신체건강과 중독 등으로 대표되는 정신건강이 대표적이며[4], 사회적 문제로는 가족 간의 갈등, 또래 문제, 사이버 폭력 등이 대표적이다[5]. 특히 스마트폰만의 특유한 유용성과 편리성, 접근성은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을 조성하기에 기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중독에 비하여 중독성이 높다. 즉,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심각한 몰입 현상 등에 의해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한 일종의 의존성이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중독이라는 부정적인 결과에 이르게 된다[6].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역기능으로 개인적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역기능은 크게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로 나눠볼 수 있다[3]. 개인적인 문제로는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증후군, 대사기능 저하, 수면장애 등의 신체건강과 중독 등으로 대표되는 정신건강이 대표적이며[4], 사회적 문제로는 가족 간의 갈등, 또래 문제, 사이버 폭력 등이 대표적이다[5]. 특히 스마트폰만의 특유한 유용성과 편리성, 접근성은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을 조성하기에 기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중독에 비하여 중독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대근, 태지호, "스마트폰 이용자의 매개 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제19권, pp.373-394, 2010. 

  2. K. F. Jafarzadeh and P. Pourghane, "College Students' Experienceson Smart Phone Technology Usage: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The Qualitative Report, Vol.22, No.11, pp.2864-2880, 2017. 

  3. 박지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 김보연,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 김지연, 직장인의 일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서울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6.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08-217, 2013. 

  7. 여성가족부, 2017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2017. 

  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2016. 

  9.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67-88, 2013. 

  10. 강혜자,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간의 관계-스마트폰 사용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483-488, 2016. 

  11. 유지돈, 이익선, 양재호, "지역별 스마트폰 중독실태 및 인구, 사회적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3호, pp.51-75, 2014. 

  12. 김서연,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7권, 제6호, pp.103-111, 2017. 

  13. 구민준, 성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4. 성미현, 남혜리,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8권, 제2호, pp.61-70, 2017. 

  15. C. R. Snyder and K. Pulvers, "Dr. Seuss, the coping machine and "Oh, the place you will go."," In C. R. Snyder (Ed.), Coping with stress : effective people and proc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19, 2001. 

  16. C. A. Olsson, L. Bond, J. Burns, D. A. Vella-Brodrick, and S. M. Sawyer,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Vol.2, No.6, pp.1-11, 2003. 

  17. C. S. Carver, C. Pozo, S. D. Harris, V. Noriega, M. F. Scheier, D. S. Robinson, A. S. Ketcham, F. L. Moffar, and K. C. Clark, "How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distress: A study of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67, pp.319-333, 1994. 

  18. 오광수,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행동연구, 제22호, pp.45-65, 2017. 

  19. 문미영,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과 정신.사회건강상태,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 스트레스조사학회, 제24권, 제4호, pp.243-251, 2016. 

  20. 임옥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강민정, 장애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3. 임경자, 황순정, 최미아, 서남례, 변주나, "일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학교건강학회, 제26권, 제2호, pp.124-131, 2013. 

  24. 장정임, 김성봉,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3권, 제2호, pp.447-465, 2015. 

  25. 한주리, 허경호,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제28권, 제6호, pp.138-166, 2004. 

  26. 성윤숙, 청소년의 뉴미디어 이용현황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 pp.1-474, 2006. 

  27. S. S. Aljomaa, M. A. Qudah, I. S. Albursan, S. F. Bakhiet, and A. S. Abduljabbar,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light of some variables,"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61, pp.155-164, 2016. 

  28. 임창우, 청소년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9. 장성화, 박영진,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문화학회, 제67권, pp.313-337, 2013. 

  30. 조준오, 김은정, "예비보육교사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새태유아교육학회, 제14권, 제3호, pp.114-138, 2015. 

  31. Larry D. Rosen, Alex F. Lim, L. Mark Carrier, and Nancy A. Cheever,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ducational Impact of Text Message-Induced Task Switching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Psiclogia Educativa, Vol.17, No.2, pp.163-177, 2011. 

  32. 임창우, 정구철, "청소년 스마트폰 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중독, 제1권, 제1호, pp.67-84, 2016. 

  33.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 척도 개발연구, 2011. 

  34. 김동일, 안현의, "NEO 청소년 성격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77-91, 2006. 

  35. 유현숙, 여성의 인적.사회적.심리적 자본에 관한 실증적 조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6. 정호순, 장윤옥, "청소년의 시간관리능력과 자기생활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인과관계분석," 가정과환경연구, 제47권, 제7호, pp.45-58, 2009. 

  37.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3 권, 제5호, pp.1005-1015, 2012. 

  38. F. Y. Hong. S. I. Chiu, and D. H. Huang,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bile phone addiction and use of mobile phone by Taiwanese university femal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6, pp.2152-2159, 2012. 

  39. 강현임, 이영란, 황주희,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범죄학회, 제7권, 제2호, pp.1-23, 2017. 

  40. 박지현, 박진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85-194, 2017. 

  41. 이진령, 유정선, 허균, "성별,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6권, 제3호, pp.1557-1566, 2014. 

  42. G. J. Emsile and T. L. Mayers, "Depression in child and adolescent: A guide to diagnosis and treatment," CNSDrugs, Vol.11, No.3, pp.181-189, 1999. 

  43. 임영숙, 권기연, 한숙정,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진로결정수준,대학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예술 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7권, 제4호, pp.919-931, 2017. 

  44. 백선숙, 조주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248-256, 2017. 

  45. 고기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제32권, pp.189-216, 2015. 

  46.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47. R. Kraut, S. Kiesler, B. Boneva, J. Cummings, V. Helgeson, and A. Crawford, "Internet paradox revisited,"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8, No.1, pp.49-74, 2002. 

  48. 고기숙, 이면재, 김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 경험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 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501-516, 2012. 

  49. 김병년,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39권, pp.49-81, 2013. 

  50. 고은영, 김은향, "불안과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419-429, 2017. 

  51. M. Mehroof and M. D. Griffith, "Online gambling addiction : The role of sensation seeking, self-control, neuroticism, aggression, state anxiety, and traitanxiety," Cyber Psychology, Behaviorand Social Networking, Vol.13, No.3, pp.313-31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