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Comparison of Sound Pressure Level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t Longitudinal Corridor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4, 2018년, pp.42 - 49  

정정호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이성찬 (영산대학교 건축플랜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축음향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실자에게 비상방송 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 방송음이 명확하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방형 복도를 대상으로 NFSC 202의 기준에 따라 25 m 간격으로 비상 방송용 확성기가 설치되었을 때 건축마감재료 변경에 따라 음압레벨, 음성명료도 지표를 비교분석하였다. 마감재료로 흡음특성이 낮은 재료를 적용한 경우 충분한 음압 레벨은 확보할 수 있었지만, 재실자가 비상 방송음을 알아듣기 매우 어려운 수준의 음성명료도를 보였다. 마감재료로 흡음재료를 적용함에 따라 음성 명료도, 음성 전달 지수는 재실자가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재실자에게 전달되는 음압 레벨이 감소되며 같은 공간 내 레벨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음성명료도를 확보하고자 할 경우 고른 음압 레벨 분포를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 방송용 확성기를 설치간격 조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broadcasting sound generated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speaker is clearly transmitted to the occupant through architectural sound simulation, when the loudspeaker for emergency broadcasting is installed at intervals of 25 m acc...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음향 시뮬레이션 수행시 비상 방송용 확성기의 지향성은 반구형태로 음에너지가 전달되는 조건(반무지향성)으로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과 같은 차폐물에 의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거실등과 같은 공간은 제외하였으며 장방형 복도공간 내에서의 음압분포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상방송설비의 역할은 무엇인가?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지진 등 위급 재난 상황을 건축물내 재실자에게 신속하게 전파하여 효율적인 피난행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재난 상황시 모든 재실자가 비상방송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마감재료로 흡음특성이 낮은 재료를 선택했을 때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건축음향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실자에게 비상방송 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 방송음이 명확하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방형 복도를 대상으로 NFSC 202의 기준에 따라 25 m 간격으로 비상 방송용 확성기가 설치되었을 때 건축마감재료 변경에 따라 음압레벨, 음성명료도 지표를 비교분석하였다. 마감재료로 흡음특성이 낮은 재료를 적용한 경우 충분한 음압 레벨은 확보할 수 있었지만, 재실자가 비상 방송음을 알아듣기 매우 어려운 수준의 음성명료도를 보였다. 마감재료로 흡음재료를 적용함에 따라 음성 명료도, 음성 전달 지수는 재실자가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재실자에게 전달되는 음압 레벨이 감소되며 같은 공간 내 레벨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확한 비상방송내용 전달이 가능한 소리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비상 상황 발생시 재실자는 동시에 피난을 개시하면 많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충분히 비상방송내용이 재실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방송음 또는 경보음이 배경소음 보다 15 dB 이상 큰 경우 재실자에게 배경소음의 영향 없이 잘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National Fire Safety Code 202, "Fire Safety Code for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2017). 

  2. NFPA 72, "National fire alarm code", Quincy, MA, US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2). 

  3. BS 5839 : Part 1 2002,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 for Buildings", London, UK,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2). 

  4. H. S. Yang, J. H. Lee and J. S. Kim, "A Study on the Signal-to-Noise Ratio of Classrooms for Toddlers and School-aged Children at Deaf School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 2, No. 1, pp. 28-32 (2006). 

  5. KS F ISO 3382-1, "Acoustics - Measurement of Room Acoustic Parameters - Part 1: Performance Spaces" (2018). 

  6. KS F ISO 3382-3, "Acoustics - Measurement of Room Acoustics Parameters - Part 3: Open plan offices" (2018). 

  7. B. K. Lee and J. Y. Jeong, "Speech Privacy Evaluation of Open-plan Office by ISO 3382-3", Journal of KIAEBS, Vol. 8, No. 5, pp. 254-26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