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Emergency Broadcast Equipment in the Apartmen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4, 2018년, pp.60 - 68  

오소영 (건일엠이씨) ,  조현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영주 (서울시립대학교 방재공학과) ,  이민주 (한국시설안전공단 건축시설성능실)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주택의 복잡한 평면 구조와 향상된 벽간 차음성능으로 인해 화재상황의 전달 및 인지가 어려워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 평면 형태를 대상으로 소방시설 중 비상방송설비의 명료성에 대한 실태분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피난방송의 명확한 인지를 위한 음성명료도 개선 방안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현장측정 결과 72, 84, 101 Type 모두 국내 경보설비기준인 90 dBA를 R1 지점에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2 Type의 L1 지점(거실) 79.8 dBA를 제외하고는 모든 측정지점에서 출입문을 열었을 때와 닫았을 때 모두 NFPA 기준 75 dBA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침실의 출입문 개구 상태를 기준으로 국내 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된 1 m 이격지점에서 90 dBA 이상을 만족시 각 침실에서 NFPA 기준인 음압레벨 75 dBA와 CIS 0.7을 만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complicated plan structure of the apartment units and the improved room-to-room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and recognize the fire situation by emergency broadcast equipment. In this study, speech intelligibil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for three types o...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 평면 형태를 대상으로 소방시설 중 비상방송설비의 명료성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3개 Case의 평면에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측정지점에서의 음압레벨 및 음성명료도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측정지점의 경우 앞서 현장 측정지점과 동일한 위치에서 진행하였다. 아울러 세대 내의 방문은 실생활 패턴을 고려해 개방된 상태를 가정하여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명료도란? 음성명료도는 스피치를 사람들이 얼마나 알아듣느냐하는 것을 수치화한 것이다. 음압의 크기(Loudness)로만규정하는 ‘들리는 정도(Audible)’인 가청도(Audibility)와 ‘음성의 인지력으로 알아들을 수 있는(Intelligible)‘인 명료도(Intelligibility)와는 구분을 할 필요성이 있다.
공동중택에서 화재시 인명·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공동주택 화재는 주거공간의 구성에 있어, 구조의 복잡성과 실내 장식물 및 주거 전자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화재 위험요소가 높아져 화재시 인명·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안전처 화재통계연감에 의하면 2015년 건축구조물 화재건수는 26,303건으로 전체 화재건수의 59.
화재 발생시 경보를 알리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피난 경로 안내방송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3%)으로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 인지를 위한 상황을 조사한 결과 피난시간부족 및 화재 발생사실 인지지연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체 사망원인의 40%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Fire Data System, "2015 Fire statistics annual repor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5). 

  2. H. G.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Adequacy of Acoustic Equipments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nd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in Apartm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39-40 (2014). 

  3. E. S. Baek, "A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ire Alarm Sound in Building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5, pp. 153-160 (2009). 

  4. S. H. Moon, "A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According to Priority Alert Metho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pp. 76-77 (2016). 

  5. M. J. Lee and M. J. Kim, "Sound Attenuation and Audibility of Fire Alarm Signal in Korean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A Case Study",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Vol. 27, No. 5, pp. 690-705 (2018). 

  6. M. J. Lee, "A Field Measurement Study on the Sound Attenuation of Fire Alarm Signals in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21, No. 1, pp. 51-61 (2014). 

  7. M. J. Lee and M. J. Kim,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an Improved Design for Audibility of Fire Alarm Sound in a University Dormitory",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0, No. 3, pp. 280-289 (2013). 

  8. Y. S. Lee and D. H. Lee, "A Study on Sound Level of the Fire Alarm System in the Fact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6, pp. 179-184 (2012). 

  9. International Electric Code 60849, "Sound Systems for Emergency Purposes" (1998). 

  10. National Fire Alarm Code, "Speech Intelligibility", Ch.18 Notification & Annex D (2013). 

  11. National Fire Safety Code 201, "Emergency Alarm System" (2016). 

  12. National Fire Safety Code 203, "Automatic Fire Alarm System" (2016). 

  13. NFPA 72, "National Fire Alarm Code 2013 Edition" (2013). 

  14. K. Y. Chen and C. H. Wang, "Support Vector Regression with Genetic Algorithms in Forecasting Tourism Demand", Tourism Management, Vol. 28, No. 1, pp. 215-22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