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입소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에 관한 연구
Expected Family Involvement of Family of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3, 2018년, pp.150 - 158  

유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탁영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cted family involvement of family members of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design with a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Expect Family Involvement Questionnaire Sc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반해 가족참여의 필요성이나 가족 참여가 요양시설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연구도 거의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의 요양시설에서 다양한 측면으로 제공되는 활동에 대해 가족 관점에서의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가족참여를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참여 요구도를 확인하고 노인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탐색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요양시설 입소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를 높이며 가족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요양시설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가족참여 요구도를 확인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 요양시설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요양시설 내에서 가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 ‘노인에게 문제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족에게 연락하여 조언을 구함’, ‘요양시설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함’의 순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Friedemann 등[14]이 개발한 요양시설에서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를 번안하여 2곳의 요양시설에서 112명의 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국외에서 대두되고 있는 인간중심돌봄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인 가족참여 개념을 소개하며 가족의 관점에서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하였다는 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과 노인의 가족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가족의 평균연령이 52.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들이 요양시설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가족참여 요구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는 서술적 탐색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참여 요구도를 확인하고 노인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참여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탐색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요양시설 입소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를 높이며 가족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가족참여의 종류는? 1990년대에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요양시설에서 가족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가족참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4,15].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가족참여의 종류로는 요양시설 방문, 노인과의 연락, 노인에 대한 일차적 간호 제공, 요양시설에서 치료나 간호에 대한 의사결정 등 다양하다[2-4,16]. 요양시설에서 가족참여를 통해 노인, 가족, 직원, 시설에 다차원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9,16].
요양시설의 시설장과 직원이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는 가족참여가 초래하는 결과는? 하지만 요양시설의 시설장과 직원이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는 가족참여는 가족과 간호사를 포함한 요양시설 직원들 갈등의 원인이 된다[9,18]. 이는 결국 가족의 스트레스와 시설에 대한 불만의 증가, 직원의 이직률 상승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된다[18,19]. 따라서 간호사를 포함한 직원들은 환자 가족을 동반자로 인식해야 하며 장기요양시설 내에서의 가족의 요구가 반영된 가족참여를 격려해야 한다[13,18].
요양시설에서 가족참여란? 요양시설에서 가족참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돌봄에 가족을 참여시켜 인간중심돌봄(person-centered care)을 실현하고자 하는 간호 철학을 근간으로 한다[1]. 요양시설에서 가족참여는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가족이 노인과의 지속적인 관계와 친밀감을 유지하고자 하는 가족들의 바람이며 노인의 회복에 대한 희망, 부모에 대한 도리의 표현, 돌봄의 질의 향상, 가족으로서의 관계 지속을 위해, 죄책감에 대한 표현이다[2,3]. 요양시설에서 가족참여는 노인의 개인적 요구에 대한 배려와 가치 존중, 노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 노인의 요양시설에서 삶의 질과 안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ise L, White D. The family's role in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consideration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004;42(5):12-20. https://doi.org/10.3928/02793695-20040301-06 

  2. Puurveen G, Baumbusch J, Gandhi P. From family involvement to family inclusion in nursing home settings: A critical interpretive synthesis. Journal of Family Nursing. 2018;24(1):60-85. https://doi.org/10.1177/1074840718754314 

  3. Reid RC, Chappell NL. Family involvement in nursing homes: Are family caregivers getting what they want?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017;36(8):993-1015. https://doi.org/10.1177/0733464815602109 

  4. Petriwskyj A, Gibson A, Parker D, Banks S, Andrews S, Robinson A. A qualitative metasynthesis: Family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for people with dementia in residential aged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2014;12(2):87-104. https://doi.org/10.1097/XEB.0000000000000002 

  5. Joling KJ, Van EL, Vetrano DL, Smaardijk VR, Declercq A, Onder G, et al. Quality indicators for community care for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2018;13(1):e0190298.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90298 

  6. Adelman RD, Tmanova LL, Delgado DD, Dion S, Lachs MS. Caregiver burden: A clinical review. JAMA. 2014;311(10):1052-1060. https://doi.org/10.1001/jama.2014.304 

  7. Choe EH. A study on strategic proposal for improving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6system of long-term care (LTC).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401-419.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and Number of Users, Facilit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Apr 18]. Available from: https://kosis.kr/search/search.do. 

  9. Sury L, Burns K, Brodaty H. Moving in: Adjustment of people living with dementia going into a nursing home and their famili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3;25(6):867-876. https://doi.org/10.1017/S1041610213000057 

  10. Robison J, Shugrue N, Porter M, Fortinsky RH, Curry LA. Transition from home care to nursing home: Unmet needs in a home-and community-based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2012;24(3):251-270. https://doi.org/10.1080/08959420.2012.676315 

  11. Levine C, Halper D, Peist A, Gould DA. Bridging troubled waters: Family caregivers, transitions, and long-term care. Health Affairs. 2010;29(1):116-124. https://doi.org/10.1377/hlthaff.2009.0520 

  12. Mignani V, Ingravallo F, Mariani E, Chattat R.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of their family members toward advance care planning discussions: A systematic review and thematic synthesi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7;12:475-484. https://doi.org/10.2147/CIA.S128937 

  13. Holmgren J, Emami A, Eriksson LE, Eriksson H. Intersectional perspectives on family involvement in nursing home care: Rethinking relatives' position as a betweenship. Nursing Inquiry. 2014;21(3):227-237. https://doi.org/10.1111/nin.12046 

  14. Friedemann ML, Montgomery RJ, Maiberger B, Smith AA. Family involvement in the nursing home: Family-oriented practices and staff-family relationship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7;20(6):527-537. 

  15. Friedemann ML, Montgomery RJ, Rice C, Farrell L. Family involvement in the nursing hom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99;21(4):549-567. 

  16. Roberts AR, Ishler KJ. Family involvement in the nursing home and perceived resident quality of life. The Gerontologist. 2017;0(0):1-11. https://doi.org/10.1093/geront/gnx108 

  17. Powell C, Blighe A, Froggatt K, McCormack B, Woodward-Carlton B, Young J, et al. Family involvement in timely detection of changes in health of nursing homes residents: A qualitative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1-2):317-327. https://doi.org/10.1111/jocn.13906 

  18. Gaugler JE. Family involvement in residential long-term care: A synthesis and critical review. Aging & Mental Health. 2005;9(2):105-118. https://doi.org/10.1080/13607860412331310245 

  19. Chisholm L, Zimmerman S, Rosemond C, McConnell E, Weiner BJ, Lin FC, et al. Nursing home staff perspectives on adoption of an innovation in goals of care communication. Geriatric Nursing. 2018;39(2):157-161.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7.08.001 

  20. Koren MJ. Person-centered care for nursing home residents: The culture-change movement. Health Affairs. 2010;29(2):312-317. https://doi.org/10.1377/hlthaff.2009.0966 

  21. Donnelly NA, Hickey A, Burns A, Murphy P, Doyle F.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carer stress on subsequent institutionalisation of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PloS One. 2015;10(6):e01282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28213 

  22. Davis JD, Hill BD, Pillemer S, Taylor J, Tremont G. Guilt after placement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to assess caregiver emotional functioning following nursing home placement. Aging & Mental Health. 2018;8:1-5. https://doi.org/10.1080/13607863.2017.1423029 

  23. Tsai HH, Tsai YF.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family caregivers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Taiwa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3;48(7):1145-1152. https://doi.org/10.1007/s00127-013-0652-8 

  24. Han DH, A Qualitative study on Care resources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7;22(2):355-377. https://doi.org/10.13049/kfwa.2017.22.2.7. 

  25. Stone LJ, Clements JA. The effects of nursing home placement on the perceived levels of caregiver burde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2009;52(3):193-214. https://doi.org/10.1080/01634370802609163 

  26. Shippee TP, Henning-Smith C, Gaugler JE, Held R, Kane RL. Family satisfaction with nursing home care: The role of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resident quality-of-life scores. Research on Aging. 2017;39(3):418-442. https://doi.org/10.1177/0164027515615182 

  2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and Number of Users, Facilit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Apr 18]. Available from: https://kosis.kr/search/search.do. 

  28. You SY, Tak YR. Family involve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s in nursing home: A phenomenological study. Korea Social for Wellness. 2018;13(2):365-377. https://dx.doi.org/10.21097/ksw.2018.05.13.2.3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