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ce Experiences of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808 - 823  

차수연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허준수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이라는 사회적 돌봄 환경에서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시설거주 노인의 질적 돌봄을 위한 가족과 사회의 역할,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그리고 경기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4곳에서 거주하는 남녀 노인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에서 33개의 의미단위, 14개의 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4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상위 구성요소 4개는 「무너진 나의존재」, 「낯선 환경 속에 던져진 삶」, 「불편함과 고마움이 공존하는 새로운 관계」, 「찾고 싶은 나의 삶」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찾고 싶은 나의 삶」이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의 본질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시설입소 준비 프로그램 제공 환경 마련, 다양한 가족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지역사회 거주를 지속할 수 있는 조건 마련,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its meaning of the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LTCFs). It is aimed to find the role of family and society for the qualitative care of elderly living in LTCF and to seek social welfare measures.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6)

  1. 장례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통계청, 2019. 

  2. 김혜영,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제15권, 제2호, pp.255-292, 2014. 

  3. 장경섭, 진미정, 성미애, 이재림,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4. 2018년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2018. 

  5. 2020 상반기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요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2020. 

  6. https://www.law.go.kr/법령/노인장기요양보험법 

  7. 장수정,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제259권, pp.77-89, 2018. 

  9. 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10. 신용석, 김수정, 김정우,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의 시설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내버려진 마음 누그러뜨리기,"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3호, pp.155-182, 2013. 

  11. 석재은, 이기주, "장기요양 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선택과 유지 및 이탈에 대한 영향요인: Aging in Place 지원을 위한 탐색,"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4호, pp.5-42, 2017. 

  12. 김준표, "노인의료복지시설 거주노인 입소과정의 자기결정권과 생활요인에 관한 혼합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64권, pp.153-179, 2020. 

  13. 모선희, 최세영,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가족의 부양부담 변화," 비판사회정책, 제40권, pp.7-31, 2013. 

  14. T. Wu, M. Prina, E. Barnes, E. Matthews, and C. Brayne, "Relocation at Older Age: Results from the Cognitive Function and Ageing Study," Journal of Public Health, Vol.37, No.3, pp.480-487, 2015. 

  15. L. Carstensen, D. Isaacowitz, and S. Charles,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Vol.54, pp.165-181, 1999. 

  16. D. Heliker and A. Scholler-Jaquish, "Transition of New Residents: Basing Practice on Residents' Perspectiv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32, No.9, pp.34-42, 2006. 

  17. J. Cohen-Mansfield, H. Hazan, Y. Lerman, and V. Shalom,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Loneliness in Older-adults: A Review of Quantitative Results Informed by Qualitative Insigh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8, No.4, pp.557-576, 2016. 

  18. A. Casey, L. Low, Y. Jeon, and H. Brodaty, "Residents Perceptions of Friendship and Positive Social Networks Within a Nursing Home," Gerontologist, Vol.56, No.5, pp.855-922, 2016. 

  19. M. Klaassens and L. Meijering, "Experiences of home and institution in a secured nursing home ward in the Netherlands: A participatory intervention study," Journal of aging studies, Vol.34, pp.92-102, 2015. 

  20. S. Melrose, "Reducing Relocation Stress Syndrom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Practical Nursing, Vol.54, No.4, pp.15-17, 2004. 

  21. 유병선, "노인요양시설 가족참여의 현황과 쟁점," 장기요양연구, 제4권, 제1호, pp.6-25, 2016. 

  22. B. Carpenter, "Family, Peer and Staff Social Support in Nursing Home Patients: Contributions to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1, No.3, pp.275-293, 2002. 

  23. 김도연, 김현철, 진정, "농촌지역 노인가구 구성원의 주거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으로의 주거 이동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4권, 제3호, pp.83-94, 2012. 

  24.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855-869, 2010. 

  25.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 제45권, 제4호, pp.64-96, 2011. 

  26. 유선영, 탁영란, "요양시설 입소 노인 가족의 가족참여 요구도에 관한 연구,"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50-158, 2018. 

  27. 김경호, "장기요양보호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양부담과 적응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인문사회21, 제11권, 제3호, pp.69-84, 2020. 

  28. 김선영,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윤리적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제33권, 제4호, pp.761-773, 2013. 

  29. 박성원, 이원재, "FGI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 운영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587-597, 2019. 

  30. 김수정,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돌봄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8권, pp.25-46, 2017. 

  31. 최희경,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가족과 문화, 제22권, 제4호, pp.1-31, 2010. 

  32. 오진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입소노인 가족에 대한 경험,"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6권, pp.1-22, 2012. 

  33. D. Lee, J. Woo, and A. Mackenzia, "A Review of Older People's Experiences with Residential Care Plac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7, No.1, pp.19-27, 2002. 

  34. B. Carpenter, "Family, Peer and Staff Social Support in Nursing Home Patients: Contributions to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1, No.3, pp.275-293, 2002. 

  35. S. Nakrem, A. Vinsnes, and A. Seim, "Residents'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Factors in Nursing Home Care: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8, No.11, pp.1357-1366, 2011. 

  36. 권영림,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1권, 제2호, pp.125-151, 2017. 

  37. 박순영,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적응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관계 모형 구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8. 이민홍, 이상우, "노인요양시설의 문화변화와 거주노인의 삶의 질 관계 연구," 장기요양연구, 제18권, 제1호, pp.40-59, 2020. 

  39. 고진경, 황인옥, 오희영,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입소초기 경험,"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477-488, 2009. 

  40. 윤희숙,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1. H. Park, I. Jang, H. Lee, H. Jung, E. Lee, and D. Kim, "Screening Value of Social Frailty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Frailty and Disa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Aging Study of PyeongChang Rural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6, No.16, pp.2809-2820, 2019 

  42. A. Giorgi,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New York: Harper & Row, 1970. 

  43. Y. Lincoln and E. Guba,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SAGE, 1985. 

  44. 서승희, 김민지,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을 통해 본 모녀관계 경험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161-172, 2018. 

  45. 배진희, 정미순, "노인요양 시설내 학대경험이 이용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호, 제6호, pp.591-599, 2017. 

  46. 심선경,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요양보호사의 공공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20-23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