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시대에 초기청소년들의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135 - 143  

임재숙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과 서울학습도움센타) ,  구본숙 (안양YMCA 가정폭력상담소) ,  조옥선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융 복합시대에서 초기청소년들의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있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초기청소년 225명을 대상으로 우울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및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청년들의 자아존중감은 우울감과 자살생각 간에 있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청년들의 삶의 만족도는 우울감과 자살생각 간에 있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기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현장에 적용하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path analysis model for depressi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많은 자살생각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등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임을 제시하고 있다[4-7].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다른 연구에서 밝혀내지 않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의 결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초등학교 4, 5, 6학년에 해당하는 초기청소년의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해서 관련변인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모형은 초기청소년들의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좀 더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29]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초기청소년의 우울로 인한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가 우울과 자살생각간에 있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Baron & Kenny[29]의 분석결과를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 요인이 어떻게 작용 하며, 또한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가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에 있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기청소년들의 우울감을 낮추어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다른 연구에서 밝혀내지 않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의 결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초등학교 4, 5, 6학년에 해당하는 초기청소년의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해서 관련변인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초기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가?
  • 첫째 초기청소년의 우울감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청소년의 우울로 인한 자살생각의 관계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가 우울과 자살생각 사이에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 검증한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1단계에서 통제변수는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단계에서 우울감은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3단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에 부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4단계에서 삶의 만족도는 자살생각에 부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경로 분석한 결과 우울감과 자살생각 사이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의 특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자아존중감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여러 적응상의 어려움을 갖게 되고 심하면 자살행동에까지 이르게 되어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아동 자살에 대한 자살의 위험성을 약화시키는 개인차원의 긍정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5,16].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삶에 대한 불만족, 불행감이 높아져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자포자기하게 만들어 되돌릴 수 없는 길에 접어들게도 하는데[17], 자살위험에 있거나 이미 자살을 시도하였던 청소년에게서 자아존중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살 생각 간에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으며[18], 자살과 자아존중감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자살생각이 많을수록 자아긍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19,20].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자살생각과 관련된 중요한 또 다른 심리적인 변인은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에 대한 가치감이며 자신의 수용 및 존중을 의미한다[13]. 아동기에는 가족과 주변환경 및 의미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긍정적인 경험은 자아존중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2017). Annual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http://www.kostat.go.kr/ 

  2. S. C. Hong, S. C. Hong, M, D. Kim, Y. E. Jung, C. I. Lee, Y. S. Kwak, H. J. Kim, W. M. Bahk, B. H. Yoon, J. H. Shin, & M .Y. Hyun. (2014).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5(2), 79-84 

  3. S. B. Moon & S. Park. (2012). A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aged Children's Suicide Ideation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2), 75-86. 

  4. H. J. Shin, I. J. Chung, S. A. Lee, H. Y. Lee & J. Y. Park. (2014).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s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ce. Jeneral of school social work., 27, 25-50. 

  5. J. S. Park & J. W. Moon. (2005).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7, 105-131. 

  6. D. Y. Lee, G. H. Jung & H .Y. Seo. (2017). Suicidal Idea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2), 136-145. 

  7. M. J. Song. (2013).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Death and Life Satisfaction on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 23-42. 

  8. J. M. Burns & G. C. Patton. (2000).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Youth Suicide: A Risk Factor-Based Approac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4(3), 388-407. 

  9. C. Tennant. (2002). Life Events, Stress and Depression: A Review of Recent Finding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6(2), 173-182. 

  10. J. K. Kang, S. N. Jeon & H. K. Shin. (2013). The Influence of Self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527-536 

  11. W. K. Kim. (2014).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in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Youth. Studies on Korean Youth., 25(3), 199-231. 

  12. S. A. Kim. (2009). Effects of Childhoo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iddle School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3), 5-27. 

  13. J. W. Lee & K. H. Kang(2014).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5(4), 69-74 

  14. S. H. Jang & M. A. Lee. (2010). Study on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Focusing on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Effects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8), 27-55 

  15. Y. N. Lee. & S. R. Shin. (2016). A Study on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Child Suicidal Ideation.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60, 189-216. 

  16. S. S. Kim & J. H. Jeong. (2016). The Effects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Children'Suicidal Ide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2), 257-267. 

  17. C. S. GU & D. H. Kim. (2006). The Effect of Adolescent's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 on Suicide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8), 225-256. 

  18. Y. H. Jang & J. H. Song. (2011).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Childhood Abuse on the Self-Esteem and Suicidal thought in the Adolescence Period. Institute of Policy Science. 20(2), 80-104. 

  19.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9 

  20. Y. J. Kim & C. H. Lee.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39-547 

  21. Y. T. Chang. (2017).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on Life Satisfaction of Forest Recreation Resource User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Typ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219-227 

  22. C. L. Proctor, P. Linley & J. Maltby. (2009). Youth Life Satisf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583-630. 

  23. H. Y. Chun, Y. J. Song & M. R. Lee. (2014). A Clustering Study of the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Levels of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3), 71-92. 

  24. W. M. Reynolds. (1988). SIQ,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7-30. 

  25. M. S. Shin. (1992). (An)empirical Study of the Mechanism of Suicide: Validation of the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6. M. M. Weissman & B. Z. Loke. (1975).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ste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ournal Epidemiol, 102(5), 430-431. 

  27.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Inc. 

  28. N. M. Hong. (1999).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 University. 

  29.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6), 1173-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