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감시레이다에 대한 지구 대기권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tmosphere on the Space Surveillance Radar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29 no.8, 2018년, pp.648 - 659  

문현욱 (LIG 넥스원(주) 감시정찰연구센터) ,  최은정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  이종현 (알에프코어(주)) ,  염재명 (LIG 넥스원(주) 감시정찰연구센터) ,  권세웅 (LIG 넥스원(주) 감시정찰연구센터) ,  홍성민 (LIG 넥스원(주) 감시정찰연구센터) ,  조성기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  박장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  조중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우주감시레이다에 대한 지구 대기권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기 굴절에 의한 고도 오차 및 주파수별 전리층 시간 지연에 의한 거리 오차를 레이다 고각에 따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상관측소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계절별 특성을 고려한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을 모델링하고, 광선추적법을 이용하여 전파 굴절에 의한 고도 오차를 도출했으며, 주파수에 따른 전리층 거리 오차를 도출하였다. 또한, 해외 우주감시레이다 및 국내 제안된 우주감시 레이다를 토대로 레이다 오차 특성에 따른 레이다 설계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지구 대기권에 의한 우주감시레이다 오차 특성 분석은 향후 우주감시레이다 설계 시 레이다 위치, 레이다 조향 범위 및 주파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oth the altitude error due to the refraction and the range error due to the delay in the ionosphere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radar eleva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atmosphere on the space surveillance radar. To achieve this, the radio refractiv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한국 전파 굴절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별/계절별 굴절도 감쇄율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ITU-R에서 제시한 중위도 여름철/겨울철 표준대기[10]의 굴절도 감쇄율과 비교하였다.
  • 2장에서는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 모델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통해 실환경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 모델링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리층에 의한 지연 시간 모델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지구 대기권에 의한 레이다 오차 도출 모형에 대해 설명하며, 4장에서는 도출한 레이다 오차 특성을 분석하고, 우주감시레이다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오차는 레이다 운용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레이다 요구사항 중 정확도 제원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파라미터를 조정하거나 보상 알고리즘을 통해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 오차 특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레이다 설계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본 논문에서는 우주감시레이다에 대한 지구 대기권에 의한 굴절 오차 및 거리 오차를 도출함으로써 지구 대기권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굴절 오차의 경우 고층기상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국내 기상관측소 중 지역 및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여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radio re-fractivity profile)을 도출하고, 광선추적법을 이용해 실제전파 경로를 계산한 후, 이를 표준 대기 기준으로 레이다에서 보상했을 때 발생하는 고도 오차를 레이다 고각별로 도출하였다.
  • 앞서 우주감시레이다의 외부 환경인 대기권에 의한 굴절 오차 및 전리층 거리 오차 특성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오차는 레이다 운용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레이다 요구사항 중 정확도 제원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파라미터를 조정하거나 보상 알고리즘을 통해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 그러나 전리층에 대한 레이다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특정시간이 아닌 전반적인 특성이 중요하며, 전리층의 총 전자함유량은 천정 방향 기준으로 10−16~10−18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9]. 즉, 위의 총 전자함유량의 범위는 최소값 및 최댓값을 나타내므로 전리층에 의한 오차 범위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총 전자함유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는 천정 방향 기준이므로 레이다 고각이 감소할수록 전파 경로가 증가하여 총 전자함유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3].

가설 설정

  • 그리고 이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을 이용해 광선 추적 모델(ray tracing model)로부터 레이다 고각별 표적 고도까지의 실제 전파 경로를 계산하게 되며, 이로부터 표적까지의 거리가 도출된다. 그러면 레이다는 표적까지의 거리 및 레이다 고각으로부터 표적 고도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 때 실제 대기 상태를 모르는 상태에서 대기 굴절을 보상하기 위해 표준 대기를 가정하여 광선 추적 모델로부터 표적 고도를 추정한다. 그 후 모의 상에서 실제 표적 고도를 알고 있으므로 위와 같이 추정된 표적 고도를 이용해 고도 오차를 계산한다.
  • 표 1은 레이다 및 표적에 대한 입력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레이다 사이트 높이는 100 m로 가정하였으며, 표적물 고도는 우주감시레이다의 주 감시영역인 저궤도영역(low earth orbit: LEO)인 400km로 설정하였다. 레이다 고각은 0°~90°까지 10° 간격으로 설정하였는데, 0° 및 90°는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 영향이 없기 때문에 1° 및 89°로 대체하여 모의하였다.
  • 그러나 표준 대기 또한 실제 대기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h2-h1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에서 표준 대기를 이용해 오차를 보상하였다고 가정하여 h2-h1의 오차를 도출하였다. 거리 오차는 식 (5)를 통해 레이다 고각에 따른 총 전자함유량을 계산하고 식 (3)에 의해 전리층에 의한 시간 지연을 계산 후 빛의 속도를 곱해 거리 오차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 대기 모델은 무엇을 제시하는가? 이러한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을 모델링하는 방법은 크게 표준 대기 모델과 지수 모델이 있다[10]~[12]. 표준 대기 모델은 전 세계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모델로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ecommendation)에서는 세계 연간 표준 대기 및 저위도/중위도/고위도별 여름철 및 겨울철 표준 대기를 제시하고 있다[10]. 이러한 표준 대기는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가 없을 경우 가장 신뢰할만한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을 제공 가능하지만,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전파 굴절도 특성을 모델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전파 굴절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전파 굴절은 고도에 따른 대기 굴절률 변화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전파 굴절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고도별 대기 굴절률(또는 전파 굴절도)을 나타내는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파 굴절도 프로파일을 모델링하는 방법은 크게 표준 대기 모델과 지수 모델이 있다[10]~[12].
우주감시레이다에서 획득하는 표적 정보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주요 외부요인은? 우주감시레이다는 RF(radio frequency) 대역의 전파를 우주로 송수신함으로써 표적의 거리, 고각,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를 통해 표적의 좌표 및 고도를 추정하게 된다. 그러나 우주로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전파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야 하며, 이 때 대류권(troposphere)의 전파 굴절률 변화에 의한 굴절 오차와 전리층(ionosphere)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에 의한 거리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는 우주감시레이다에서 획득하는 표적 정보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주요 외부 요인이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재혁, "우리나라 우주감시기술 중장기 발전방향 제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Issue Paper 2012-05, pp. 3-37, 2012년 5월. 

  2. 김해동, 성재동, 문병진, 송하룡, "우주물체 추적용 레이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커버리지 및 체계 분석," 항공우주기술, 13(1), pp. 142-152, 2014년 7월. 

  3. R. Varaprasad, V. S. SeshagiriRao, and S. V. B. Rao, "Effect of troposphere and ionosphere on C-band radar track data and correlation of tracking parameters," Defence Science Journal, vol. 62, no. 6, pp. 420-426, Nov. 2012. 

  4. J. W. Marini, "Correlation of satellite track data for an arbitrary tropospheric profile," Radio Science, vol. 7, no. 2, pp. 223-231, 1972. 

  5. 권세웅, 이종현, 권양원, 이기원, 김한생, 선웅, "장거리 다기능 레이더에서 기상에 의한 고도 탐지 정확도 영향 분석 연구,"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5(1), pp. 123-129, 2014년 1월. 

  6. 문현욱, 전민현, 김우중, 오성근, 이종현, 권세웅, 윤영중, "레이더에서 고고도 표적물의 고도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한국형 지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3(7), pp. 831-839, 2012년 7월. 

  7. 강맹창, 권세웅, 이종현, 이기원, 선웅, 변강일, 추호성, "장거리 탐지 레이다를 이용한 대기상태 분석,"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8(2), pp. 120-128, 2017년 2월. 

  8. I. M. Ifadis, "A new approach to mapping of atmospheric effect for GPS observations," Earth Planets Space, vol. 52, no. 10, pp. 703-708, 2000. 

  9. Ionospheric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 Methods Required for the Design of Satellite Services and Systems, ITU-R P. 531-13, 2016. 

  10. Reference Standard Atmospheres, ITU-R P.853-3, 1999. 

  11. B. R. Bean, G. D. Thayer, "On models of the atmospheric radio refractive index," in Proceedings of the IRE, May 1959, vol. 47, no. 5, pp. 740-755. 

  12. B. R. Bean, G. D. Thayer, "Central radio propagation laboratory exponential reference atmosphere," Journal Reseach NBS, vol. 63D, no. 3, pp. 315-317, Jun. 1959. 

  13. D. Bilitza, L. A. Mckinnell, B. Reinisch, and T. Fuller-Rowell, "The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today and in the future," Journal of Geodesy, vol. 85, no. 12, pp. 909-920, Nov. 2011. 

  14. S. M. Radicella, "The NeQuick model genesis, uses and evolution," Annals of Geophysics, vol. 52, no. 3-4, pp. 417-422, Aug. 2009. 

  15. Card Index of Radar Sets - Strategic Radar Systems. Available: http://www.radartutorial.eu/19.kartei/01.oth/karte004.en.html. 

  16. J. A. Haimerl, G. P. Fonder, "Space fence system overview," in Proceedings of the Advanced Maui Optical and Space Surveillance Technology Conference, Redhook, NY, Sep. 2015. 

  17. E. Byron, Radar Principles, Technology, Application, New Jersy, Prentice-Hall, 1993. 

  18. 이종현, 최은정, 문현욱, 박준태, 조성기, 박장현, 조중현, "우주감시를 위한 L-band 위상배열레이다 시스템 설계,"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9(3), pp. 214-224, 2018년 3월. 

  19. Space-Track.org. Available: http://www.space-trak.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