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원도서관의 대국민서비스 개방에 따른 이용자요구 분석연구
A Study on User Needs for Public Access to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3, 2018년, pp.215 - 246  

곽승진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법원도서관은 사법부를 대표하는 법률전문도서관으로서 국내 외 다양하고 유익한 법률정보를 수집하여 대국민서비스확대 제공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18년 후반에는 고양시로 이전하여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하고 대출서비스를 포함하여 법률특화분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및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이용자 및 법률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공간구성, 장서배치를 포함한 법원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법률종사자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국내외 법률 자료 제공역할을 높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들을 위한 장서구성에 대해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간 인식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정보원의 유형에서 이용자 집단은 일반 주제도서 및 잡지류를, 전문가 집단은 법률관련 전문도서 및 판례/판결정보, 연구보고 등 주로 전문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원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된 도서관의 이용 의향은 이용자는 80%에 이르고 있어서, 도서관에서 제공할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진다면 도서관은 매우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law library representing the Department of Justice,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ollect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egal information and aims to become more publicly accessible. In 2018, after its relocation to Goyang, Korea, the library has initiated check-out services to citizen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양시 도서관별 장서를 조사 및 분석하고 고양시민의 선호하는 장서구성 파악을 바탕으로 법원도서관에 맞는 장서 구성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고양시 공공도서관 자료는 주제별 도서 및 향토자료, 비도서인 시청각자료, 전자자료인 전자저널, 전자도서, 연속간행물 등으로 구분해서 조사했으며, 전반적으로 대다수의 주제 장서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은 마두도서관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 기존 사법연수원 청사로 이전하는 법원도서관은 전국에 위치한 법원 도서관(실)의 중심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전국 법원도서실의 장서 현황을 파악하여, 추후 법원도서관의 장서정책 수립 시 전국 법원 도서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전국법원의 총 장서량은 2,017,051권으로 나타났으며, 사법연수원 도서실의 장서는 총 140,797권으로 나타났고, 국내서, 일서, 서양서의 장서를 총합한 소계는 1,376,867권으로 나타났으며, 각실용 도서는 640,184권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 도서관을 이전하거나 리모델링하거나 또는 새롭게 건립하게 될 때 장서구성, 공간배치, 보존서고, 제공할 서비스 내용 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장서개발이나 이용자 성향 및 요구분석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법원도서관의 역할변화에 관한 것이다. 전문가 집단이 이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역할변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두 집단 모두 법률종사자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국내외 법률 자료 제공역할을 높게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법원도서관이 서초동에서 고양시로 이전하게 되고, 게다가 역사상 최초로 법원도서관을 일반인에게 개방하게 됨에 따라 법원도서관에 대한 일반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실상 전문도서관을 일반인에게 개방하는 것이 인력이나 예산, 자료의 전문성 유지 등의 여러 가지 문제로 쉽지는 않지만 법률 지식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접점을 넓이기 위해 법률도서관을 개방하는 것은 그 시사하는 의미가 매우 크다고 본다.
  •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및 이용자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의 설문 조사·분석을 통해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이용자 및 법률전문가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이 이전하게 될 고양시에 위치해 있는 공공도서관 총 17개 가운데, 어린이도서관을 제외한 1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고양시 공공도서관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법원도서관이 기존의 고양시 공공도서관이 가지고 있지 않은 차별화된 방향성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예산, 시설, 설비, 인력 등의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국가도서관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7년 공공도서관 통계정보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도서관 개방을 통한 법원도서관의 효율적 대국민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및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이용자 및 법률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공간구성, 장서배치를 포함한 법원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도서관 개방을 통한 법원도서관의 효율적 대국민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및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이용자 및 법률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공간구성, 장서배치를 포함한 법원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용자의 요구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였고, 둘째,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장서정책을 수립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성향과 요구에 부합하는 열람실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셋째, 고양시 내 공공도서관과 차별된 장서구성과 열람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최근의 사회적 환경의 변화나 정보기술의 발전, 그리고 법원도서관의 개방이라는 새로운 변화 앞에서 법원도서관의 역할이나 장서구성 등에 대한 기대는 어떤지, 그리고 이용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의견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청사이전에 대한 인식과 이전된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것이다. 일단 청사이전 사실을 모르는 이용자가 80%, 전문가가 50%에 이르는 등 상당히 높은 비율이며, 이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향후 이용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원도서관의 이용대상은 어떠한가? 법원도서관의 이용대상은 내부 이용자로 관련 법률전문가가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아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일반 이용자에게 개방되어왔다. 따라서 소장하고 있는 장서는 주로 법률전문도서이며, 일반인을 위한 장서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법원도서관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는 현재 이용자와 미래 이용자는 누구인가? 또한, 법원도서관이 새롭게 구성되는 법원도서관의 효율적 공간배치를 포함하여 주변 공공도서관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용자의 요구와 미래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일반 국민에게 개방되지 않았던 상황에서의 이용자는 법률관련 전문가가 될 것이며, 미래 이용자라면 법원도서관이 위치하게 될 지역의 주변 시민 및 주변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될 것이다.
법원도서관은 무엇인가? 법원도서관은 사법부를 대표하는 법률전문도서관으로서 국내 외 다양하고 유익한 법률정보를 수집하여 대국민서비스확대 제공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18년 후반에는 고양시로 이전하여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하고 대출서비스를 포함하여 법률특화분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yeonggi Province. 2014. A Study on the poli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 of library collection in Gyeonggi-do. Gyeonggi-do: Gyeonggi Province. 

  2. Kwak, Seung-Jin, Noh, Younghee and Shin, Jae-Min. 2017.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3): 7-25. 

  3.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Sejong: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4.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4. National Library of Kore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5. Noh, Younghee et al. 2017. "A Study on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Measure for Chungnam Representative Library." Journal of Social Science, 28(1): 235-264. 

  6. Lee, Lan-Ju. 2016. "An Exploratory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291-312. 

  7. Lee, Yong-Jae, Park, Kyung-Seok and Kim, Bo-In. 2012.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P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133-150. 

  8. Chung, Jae-Young. 2012.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333-352. 

  9. Cheon, Hye-Sun, Lee, Jeong-Mi and Kwak, Seung-Jin. 2013. "Spatial Configuration Suggestions Based on Interpretation of Library Programs: A Study on Operations Plan i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363-387. 

  10.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7. 2017 Korean Library Yearbook.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1. Hwang, Hyejeong and Kim, Giyeong. 2015.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1): 245-264. 

  12. Bailin, K.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Journal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59. 

  13. Linda K. D. and Shiyi, X. 2017. "Standards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an Academic Library: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ibraries."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87(S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