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에서 어로기술발달에 따른 어획성능지수 변동
Change of fishing power index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offshore squid jigging fishery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4 no.3, 2018년, pp.224 - 230  

오택윤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  서영일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차형기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조현수 (군산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전공) ,  안영수 (경상대학교 실습선운영관리센터) ,  이유원 (부경대학교 실습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quid is one of the important fisheries resources in Korea. Therefore, squid has been designated and managed as a target species of total allowable catch (TAC) since 2007, but the catch amount is gradually decreas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 of relative fishing power index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 어획의 주요 어업 중의 하나인,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의 적절한 어획노력량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어업에서 어선, 어구 및 어로설비 발달에 따른 어획성능지수의 변화에 대하여 추정하고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에 대하여 적절한 어획노력량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에서 어선, 어구, 어로설비 및 항해계기발달에 따른 어획성능지수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연근해에서 어획되는 살오징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근해에서 어획되고 있는 오징어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살오징어는 분류학적으로 살오징어목(OrderTeuthoidea), 살오징어과(Family Ommastrephidae)에 속하는 두족류로 북서태평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우리나라 동, 서, 남해를 비롯하여 동중국해의 북부해역과 일본 전 해역에서 주로 채낚기어업과 트롤어업에 의해 어획된다(Kim et al., 2011).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의 어획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항목은 무엇인가?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의 어획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항목은 크게 어선, 어구, 어로설비, 항해계기로 분류하고, 어선에서는 총톤수와 선속을, 어구에서는 채낚시의 종류와 수량을, 어로설비에서는 집어등의 종류 및 용량(kW), 자동조획기 수, 어군탐지기를, 항해계기에서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plotter로 정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 중 어선 크기(총톤수) 및 선속과 관련 있는 마력수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Statistics,2016)을 이용하였다.
근해오징어채낚기어업에서 어선, 어구, 어로설비 및 항해계기들은 어떻게 발달해왔는가? 어선척당 톤수는 어선의 대형화추세에 근사시킨 값을 이용하여 1970년 5.0톤, 1980년 30.0톤, 1990년 60.0이었고, 1990년대부터는 국가통계포털의 전체톤수를 어선척수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2000년 41.0톤, 2010년 37.1톤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낚시는 1960년대에는 낚시채로 대나무, 오동나무를 주로 이용한 겹 낚시를 사용하였으나, 1980년대 어구도감에 따르면 1975년 이후부터는 플라스틱 낚시채(청녹색)를 이용한 겹낚시가 자동조획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어로장비의 보급률 및 첨단화에서 자동조획기 사용은 1970년대 초로 추찰되며, 어군탐지기는 1980년대 초부터 흑백어군탐지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1990년대부터 컬러어군탐지기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는 컬러어군탐지기가 활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측위장치는 로란C가 1980년대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하다가 1990년대 중반부터 GPS가 보급되기 시작하여 혼용되다가 2000년 이후부터는 GPS plotter가 일반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HC and Choo HD. 1993. Fishing efficiency of squid jigging in relation to the variation of fishing lamp power.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48, 179-186. 

  2. An HC, Bae BS, Lee KH, Park SW and Bae JH. 2013. Operating performance of squid jigging vessel using the LED and Metal halide fishing lamp combination. J Korean Soc Fish Technol 49, 395-403. (http://dx.doi.org/10.3796/KSFT.2013.49.4.395) 

  3. Arakawa H, Choi SJ, Arimoto T and Nakamura Y. 1998. Relationship between underwater irradiance and distribu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under fishing lights of a squid jigging boat. Fish Sci 64, 553-557. 

  4. Bae JH, An HC, Kim MK, Park HH and Jung MS. 2014. Simulation of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in coastal squid jigging vessel using the LED and metal halide fishing lamp combination. J Korean Soc Fish Technol 50, 511-519. 

  5. Bae BS, Jeong EC, Park HH, Chang DS and Yang YS. 2008.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to LED light. J Korean Soc Fish Technol 44, 294-303. 

  6. Bae BS, Park BJ, Jeong EC, Yang YS, Park HH, Chun YY and Chang DS. 2009.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fish-luring system using the air-cooled LED lamp for jigging and angling boat. J Korean Soc Fish Technol 45, 85-95. 

  7. Chang JW. 1976. Fishery Mechanics. Taehwa Printing, Busan, Korea, 188-189. 

  8. Cho K, Lee CI, Hwang K, Kim SW, Park JH and Gong Y. 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Fish Res 91, 281-290. 

  9. Choi SJ and Arakawa H 2001.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of hooks and underwater illumination in squid jigging boat. J Korean Fish Soc 34, 624-632. 

  10. Choi SJ. 2002. Relationship between the boat sizes, light source output for fishing lamps and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coastal squid jigging fishery of Japan. J Korean Fish Soc 35, 644-653. 

  11. Choi SJ. 2009. Characteristics of spectral irradian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and operating method for fishing lamps with combined light source. Korean J Fish Aquat Sci 42, 711-720. 

  12. Fitzpatrick J. 1996. Technology and fisheries legislation. In: Precautionary approach to fisheries.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No. 350, Part 2, FAO, Rome, 191-199. 

  13. Inada H, Arimoto T, Nagashima N and Iida K. 2010. Light fishing: Re-innovation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Kouseisha-kouseikaku Corporation, Tokyo, Japan, 1-174. 

  14. Jo HS, Oh TY, Kim YS and Moon DY. 2006. Transmittance properties of fishing lamp in distant-water squid jigging vessel. J Korean Soc Fish Technol 42, 228-233. 

  15. Kasahara S. 1978.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and on the techniques 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Bull Fish Res Lab 29, 179-199. 

  16. Kim BK and Lee CK. 1981. A characteristic of conditions of oceanographic and catch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27, 41-57. 

  17. Kim JJ, Lee HH, Kim S and Park C. 2011. Distribution of larva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267-275. 

  18. Lee SD, Son YS and Kim YC. 1985. A study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r eastern waters of Korea.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36, 23-28. 

  1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oceans & fisheries. Statistics by type of fishery and species (Marine fisheries). Retrieved from http://www.mof.go.kr/article/list.do?menuKey396&boardKey32. Accessed 30 May 2018. 

  20. Murata M. 1989. Population assessment, management and fishery forecasting for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Marine invertebrate fisheries: their assessment and management, 613-616. 

  21.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NFRDA). 1967. Fishing gear of Korea (No. 2). Asung Printing co., Busan, Korea, 389-391. 

  2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NFRDA). 1989. Modern fishing gear of Korea. Yemoonsa, Busan, Korea, 89-96. 

  23.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ul Graphics, Busan, Korea, 82-86. 

  24.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2004.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Busan). Hangul Graphics, Busan, Korea, 158-159. 

  25.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2008. Fishing gear of Korea (revised edition). Hangul Graphics, Busan, Korea, 82-86. 

  26. Park BH and Hue JB. 1977. Distribution, migration and fluctuation of the catch conditions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18, 85-100. 

  27. Park JH, Choi KH and Lee JH. 1992.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Eastern Korea Sea. Bull Korean Fish Soc Technol 28, 327-336. 

  28. Sakurai Y. 2006. How climate change might impact squid populations and ecosystems: a case study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GLOBEC, 33-34. 

  29. Statistics. 2016. Fishing fleet statistics i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Accessed 27 Sep 2016. 

  30. Yamashita Y, Matsushita Y and Azuno T. 2012. Catch performance of coastal squid jigging boats using LED panels in combination with metal halide lamps. Fish Res 113, 182-189. (doi:10.1016/j.fishres.2011.10.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