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표 해양·수산 과학논문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제언
Nomenclature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Analyses of Papers in Two Representative Korean Ocean and Fisheries Science Journals: Present Status and Future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3 no.3, 2018년, pp.125 - 151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최병주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20년간(1998-2017년) 한국해양학회지(바다)와 한국수산과학회지에 실린 한글 논문 중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그 표기 방법을 살펴보았다. 지도에 표기된 바다 명칭들의 형태는 크게 세 가지 - 'East Sea(동해)와 Yellow Sea(황해)',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South Sea(남해)', 'East Sea(동해), West Sea(서해), South Sea(남해)' - 가 있다. 'East Sea'는 모든 논문에서 'East Sea'로 표기된 반면, 'Yellow Sea'는 'West Sea'와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었다. 'Korea Strait(대한해협)' 대신 'South Sea'의 사용 빈도도 높았다. 이 결과는 연구자들이 해안선으로부터 가까운 연안해역을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지리적 방위에 근간하여 부를 때 사용하는 바다 명칭과 주변해에 대한 국제적인 바다 명칭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 해양 수산 연구자들이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표기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구논문 작성 시에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대한 바다 명칭을 서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주변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East Sea(동해)', 'Yellow Sea(황해)', 'Korea Strait(대한해협)', 'East China Sea(동중국해)'로 사용하고, 이들 주변 바다에 포함되어 있는 연안해역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상대적 방위에 근거한 'Coastal Sea off the East Coast of Korea(한국 동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West Coast of Korea(한국 서쪽 연안 바다)', 'Coastal Sea off the South Coast of Korea(한국 남쪽 연안 바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East Korea Coastal Zone', 'South Coastal Zone of Korea', 'West Korea Coastal Zone'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작은 규모의 특정 해역의 경우 해양지명(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을 사용하여 연구해역을 표기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grouped the names attributed to the sea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n maps published in two major Korean ocean and fisheries science journals over the period from 1998 to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The Sea) and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바다 이름표기 특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한 논문 작성 시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지난 20년(1998-2017년)간 ‘바다(The Sea)’와 ‘KFAS’에 실린 한글 논문들 중 지도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바다 이름표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바다 이름표기 특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한 논문 작성 시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해양 ·수산 전문학회지인 한국해양학회지 ‘바다(The Sea)’와 한국수산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FAS)’에 출간된 한글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자들마다 달리 사용하고 있는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바다 명칭 사용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r)을 통해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문서파일로 웹서비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선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 이들 국문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해당 웹사이트에서 내려 받아 이들 중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대해 연구 해역이나 조사 위치 등을 표기한 지도 그림에 바다 이름을 표기한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바다 이름 표기 현황을 살펴보았다. 편의상 이 연구에선 한국해양학회에서 발간한 학회지는 ‘The Sea’로, 한국수산과학회에서 발간한 학회지는 ‘KFAS’로 지칭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다는 무엇인가? 바다는 해저지형이 해수로 채워져 있는 연속된 공간으로서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인접국과 공유하고 있는 바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삼면은 바다와 접해 있기 때문에 국내 연구자들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서쪽에 있는 연안해역을 ‘서해’로, 남쪽에 있는 연안해역을 ‘남해’로 표기하는 데 더 친숙하다. 현재까지 국제사회에서 이들 바다 이름들은 공식적으로 통용되지 않는다(Fig.
국제수로기구에서 1928년 발간한 것은 무엇인가?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4)는 항해 안전과 해양환경 보전을 지원하기 위해 1921년에 설립된 국가 간 자문 기술 기구로서 전 세계 해양과 바다 명칭을 관장하고 있다. IHO (즉, 그 당시 IHB)는 1928년에 처음으로 전 세계 해양과 바다의 명칭과 구역을 정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라는 책자(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28)를 발간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주장에 의해 동해가 일본해로 단독 표기된 이 특별간행물은 S-23 (Special Publication No.
황해는 무엇인가? , 2015).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에 위치한 평균 수심 44 m의 얕은 바다의 이름은 ‘황해(Yellow Sea)’이다. 국내 많은 해양연구들이 황해 전체가 아닌 주로 우리나라 관할해역 내 연안해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 사이에 ‘서해’라는 이름이 관행·관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B.-J., D.-S. Byun and K.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225-242. 

  2. Choo, S.J., 2012. Recent discussions on the naming of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pics of the geographical toponym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 870-883. 

  3. Han, J.Y., 2015. An informetric analysis on the notation of East Sea recorded in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 23-41. 

  4. Han, S.B., 2008. A history of maritime survey on the water around Dokdo by 1970.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November 6-7, 2008, Ansan, Korea, 39-42. 

  5.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28.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1st Edition. 

  6.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37.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2nd Edition. 

  7.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53.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3rd Edition. https://www.iho.int/iho_pubs/standard/S-23/S-23_Ed3_1953_EN.pdf. 

  8.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86.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Draft 4th Edition. https://www.iho.int/mtg_docs/com_wg/S-23WG/S-23WG_Misc/Draft_1986/S-23_Draft_1986_Headings.pdf 

  9.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2002.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4th Edition, Final draft. https://www.iho.int/mtg_docs/com_wg/S-23WG/S-23WG_Misc/Draft_2002/Draft_2002.htm. 

  10. Kang, D.-J., B.-H. Lim, S.Y. Chang, Y.-B. Kim and K.-R. Kim, 2009. Status of naming the East Sea in international scientific journals. Ocean and Polar Research 31: 133-156. 

  11.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5. Oceans and Marine Geographical Names, 543 pp. http://www.khoa.go.kr/kcom/cnt/selectContentsPage.do?cntId31401010. 

  12. Kim, H.Y., 2014. A convergence perspective on the Korea Strait - Border, passage and space.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44: 37-66. 

  13. Park, K., E.M. Chang and M.B. Shim, 2015.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Korea Strait. The Journal of the Hydrographic Society of Korea, 4: 11-17. 

  14. Seo, J.C. and I.H. Kim, 2014. The truth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Gimmyong Publishers, 354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