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내 묵논습지 생물서식 특성 및 관리방안 -북한산국립공원 울대습지를 대상으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bandoned Rice Paddy Field Wetlands in Mountain - In Case of the Uldae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4, 2018년, pp.11 - 23  

유소연 (국립산림과학원) ,  허명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of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 in mountainous areas and to suggest a management strategy for stable food chain formation and biodiversity enhancement. The study site is located in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묵논습지인 북한산국립공원 울대습지의 물리적 환경, 생태적 특성 및 출현 생물종 간 유기적 관계특성을 파악하고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에서 실시한 울대습지 보전사업 내용을 검토하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지 내 묵논습지 출현 예상종들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 대해 파악하였는데, 야생조류는 먹이, 번식⋅취식장소, 은신처 유무에 따라 출현종에 차이가 있었으며, 양서류는 대체로 수위, 경사, 습지면적, 개방수면 등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국립공원 울대습지 내 생물서식특성을 종합하고 울대습지 조성 및 관리내용을 검토하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습지 내 다양한 분류군 생물종 출현을 위해서는 출현종들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서식종들이 선호하는 서식환경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울대습지와 유역권 내 식생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역권 내 식물상 및 현존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상 조사결과 대체로 습윤지성 토양이나 적윤지성 토양에서 생육하는 종이 관찰되었으며 대표종으로 부들, 긴흑삼릉, 가래, 버드나무 등이 관찰되었고 습지 일부지역에서 창포가 관찰되었다.
  • 습지 내 다양한 분류군 생물종 출현을 위해서는 출현종들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서식종들이 선호하는 서식환경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최소 유역권 내 생물서식환경 특성과 종간 관계를 파악한 후 생태적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안정된 먹이사슬 형성과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교육 장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잠자리목 출현현황 파악과 야생조류 및 잠자리목 유충의 먹이로서 안정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조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결과 총 2문 4강 11목 24강 35종이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논습지의 의의는? , 2003). 논에서 경작이라는 인위적 행위가 중단됨에 따라 습지가 발생되어 새로운 생태계가 형성된 묵논습지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야생 생물 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아 보존 및 복원해야 한다(Lee, 2006; Lee and Moon, 2011). 복원된 묵논은 습지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이 높아졌으며, 특히 양서류 서식처로서 높은 가치가 있고 (Han et al.
논의 최근 경향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습지인 논은 제 10차람사르 총회에서 습지 생태계로 주목받게 되었고 특히 생물 서식처로서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쌀 증산 정책 변화와 농촌인구 노령화, 낮은 경쟁력 등으로 인해 휴경 지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은 심화될 것으로 보여진다(Kang et al., 2003). 논에서 경작이라는 인위적 행위가 중단됨에 따라 습지가 발생되어 새로운 생태계가 형성된 묵논습지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야생 생물 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아 보존 및 복원해야 한다(Lee, 2006; Lee and Moon, 2011).
묵논습지의 가치는? 논에서 경작이라는 인위적 행위가 중단됨에 따라 습지가 발생되어 새로운 생태계가 형성된 묵논습지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야생 생물 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아 보존 및 복원해야 한다(Lee, 2006; Lee and Moon, 2011). 복원된 묵논은 습지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이 높아졌으며, 특히 양서류 서식처로서 높은 가치가 있고 (Han et al., 2005) 향후 교육, 경관 등 측면에서 가치 있는 대상지이다. 또한 야생동물 휴식과 잠자리 제공 및 생물다양성 증진에 효과가 있고 (Francisco et al., 2001) 홍수저장 및 조절, 교육및 레크레이션 공간 등 생태계서비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Lee and Moon, 2011). 묵논습지는 사회적 변화로 인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환경적인 조건만 유지된다면 야생동물의 휼륭한 서식처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miral, A. N.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Guid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19, 188pp. 

  2. City of Seoul. 2006. Observation and Management Countermeasures of Ecological Change in Jingwannae-dong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Seoul(Third year). City of Seoul, 114p (In Korean) 

  3. Cheoi JW. 2009.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Biotope Type by Sui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Ph.D. Thesis of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306p (In Korean) 

  4. Francisco, C., R. Jose, H. Oliver and M. Margarita. 2001. Restoration of Wetlands from Abandoned Rice Fields for Nutrient Removal and Biological Community and Landscape Diversity. Restoration Ecology 9(2) : 201-208. 

  5. Han BH?Kim JY?Bae JH and Kim DW. 2005. A Study on Ecosystem Restoration of Unused Rice Field in Sinbong-Neighborhood Park Yong-in City. Conference Paper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05(2) : 153-156 (In Korean) 

  6. Hong SK?Kang HJ?Kim ES?Kim CH?Lee EJ ?Lee JC?Lee JS?Lim BS?Jeong YS and Jeong Hl. 2005. Ecological Restoration Engineering. Life Science, 174p (In Korean) 

  7. Jeong KS. 2007. Odonata of Korea. Ilkonguyooksa, 512p (In Korean) 

  8. Jeong KS. 2012. The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Korea. Econature, 272p (In Korean) 

  9. Kang BH?Sim SI and Ma KH. 2003.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1) : 53-59. (In Korean) 

  10. Kim GS?Han BH and Cheoi JW.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According to Wetland Structure in the City. Spring Conference Paper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09(3) : 108-110. (In Korean) 

  11. Kim JS and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 Peninsula. Dolbegae, 688p (In Korean) 

  12.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a. The 1s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in Bukhansan National Park (2013-2022). Korea National Park Service, 416p (In Korean) 

  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b. Basic Design of Uldae Wetland Preservation Project in Bukhansan Dobong. Korea National Park Service, 40p (In Korean) 

  14. Lee CS?Park HS?Yoo YH and Hong SK. 1998. A Study on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Natural Science Journal 10 : 29-43. (In Korean) 

  15. Lee EY 2006. A planning for substitute habitats by the biological habitat types in urban area.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89p (In Korean) 

  16. Lee EY and Moon SK. 2011.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4(1) : 35-42. (In Korean) 

  17. Lee JH?Jang HJ and Seo JH. 2011. The Encyclopedia of Korea Amphibians and Reptil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56p (In Korean) 

  18. Lee TB. 1980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990p (In Korean) 

  19. Lee WS?Koo TH and Park JY. 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Foundation, 320p (In Korean) 

  20. Park SH. 1995. Naturalized Plant Primary Color Book in Korea. Ilchokak, 372p (In Korean) 

  21. Shin KS. 2007. Study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Practices for Derelict Paddy Field: In case of Derelict Paddy Field the Geumto Mt. Pangyo in the City of Seongnam.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Gachon University, 60p (In Korean) 

  22. Shim JH. 2001. A Frog Singing Life. The Other World, 271p. (In Korean) 

  23. Wittaker R. H.?S. A. Levin and R. B. Root. 1973. Niche, Habitat, and Ecotope. The American Society of Naturalist 107(955) : 32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