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시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4, 2018년, pp.25 - 42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Chunghyocheon stream, Gyeongju-si. The survey of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The number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주시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하천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여 건전한 하천유지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충효천의 식물상을 복원 전과 후를 비교분석하여 복원 후식물상 변화에 대해 파악하였으며, 관리방안을 간략하게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희귀식물인 꽃창포는 식재종이지만 수변경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덩굴식물의 주기적인 제거가 있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생태하천으로의 복원은 하천생태계의 형태와 속성이 전과 달리 변화된 것을 의미하며, 변화된 생태계를 파악하기 위해선 사후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이러한 측면에서 하천생태계의 중요 요소인 식물상 조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주시의 대표적인 하천복원지역인 충효천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하천복원에 의해 변화된 하천생태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하천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하천의 형태와 기능 변화는? 우리나라 하천은 1980년대 재해방지 및 토목 적 기능 위주로 진행되어 방재하천 또는 정비하천, 1980년대 중반부터 하천의 친수성 향상과 하천오염의 해소를 위한 공원하천, 1995년 이후 생물서식처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해 자연형 하천 또는 생태하천으로(Choe et al., 2010) 형태와 기능이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흐름은 개발의 관점이 아닌 보전의 관점으로 하천에 대한 시각이 변화된 것을 의미하며, 주로 도시하천이 대상이 되었다.
하천이 도시를 관통하며 생긴 특징은? 이러한 흐름은 개발의 관점이 아닌 보전의 관점으로 하천에 대한 시각이 변화된 것을 의미하며, 주로 도시하천이 대상이 되었다. 대부분 하천은 도시를 관통하며, 그 주변으로 인구와 경제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상시 교란과 간섭이 발생되며, 아직도 하천정비와 같은 토목공사로 인해 지속적으로 훼손과 복원이 반복되고 있어 환경변화가 심한 생태계이다.
하천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하천식물이란? 또한 하천생태계는 여울, 소, 정수 및 유수역, 수변림 등의 생물 서식공간이 있으며, 그 속에 다양한 생물종이 있는데 하천식물도 이에 포함된다. 하천식물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건생식물 등 다양한 생활형과 종류가 있어 독특한 식물상을 구성하고 있으며, 하천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그리고 하천식물은 동물의 산란 및 은신처 제공,유속조절, 오염물질 제거 등 하천생태계의 근본이 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o HJ?Woo HS?Lee JW and Cho KH. 2008.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J. Wetlands Res. 10(3): 111-124. 

  2. Cho YH?Kim JH and Park SH.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Seoul: GEOBOOK. (in Korean) 

  3. Choe IH?Han BH and Ki KS. 2010.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Kor. J. Env. Eco. 24(6): 723-734. 

  4. Choi JK?Choi MY and Choi CB. 2015. Follow-up monitoring & adaptive management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tream-focused the Hakui stream in Anyang City-. J. Korean Env. Res. Tech. 18(6): 85-95. 

  5. Choi, IW?Seo DC?Kang SW?Lee SG?Seo YJ?Lim BJ?Park JH?Kim KS?Heo JS and Cho JS. 2012.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encies of pollutants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4): 642-648. 

  6. Guh JO?Lee DJ?Kuk YI and Chon SW. 2008. Water and Ruderal Plant Flora of Korea. Seoul: Haksuljungbocenter. (in Korean) 

  7. Gyeongju City. 2013. Working Design Report 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of Chunghyocheon. Gyeongju City, Gyeongju. (in Korean) 

  8. Han MS?Moon HK?Park SY?Kim YW and Son SG. 2011. Effects of cytokinins, GA and IBA on in vitro propagation of Vitex negundo var. insic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53-58. 

  9. Han SH and Yun CW. 2017. Vascular plant for Hangjeukbong to Jungbong in subalpine of Deogyusan National Park.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1(2): 73-90. 

  10. Kang SH?Kim HG and Koo BH. 2007. A study on changing of flora between pre and post of restoration in Cheonggyechon Stream.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3): 8-13. 

  11. Kim CH and Myung H. 2008. A 4-year follow-up survey of flora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5): 25-37. 

  12. Kim HG and Koo BH. 2010.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Cheonggyecheon restoration. J. Korean Env. Res. Tech. 13(6): 107-115. 

  13. Kim HJ?Kim SH and Kim SY. 2006. Changes in water quality, flora and vegetation of Cheonggye Stream before, during and after its restoration. Kor. J. Env. Eco. 20(2): 235-258. 

  14. Kim JH?Kim SJ?Kim SY and Lee BY. 2014. Floristic study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Korean J. Pl. Taxon. 44(2): 136-163. 

  15. Kim JH?Lee EH and An KG. 2007.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Korean J. Limnol. 40(3): 370-378. 

  16. Kim SN and Lee JS. 2003.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environment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J. Kor. Flower Res. Soc. 11(1): 21-35. 

  17. Kim YH?Kil JH?Hwang SM and Lee CW. 2013.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 in Korea. Weed Turf. Sci. 2(2): 138-151. 

  18. Kim YS. 2009. Hydrophytes flora of seven swamp inland in Korea. Flower Res. J. 17(1): 52-61. 

  19.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0.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Seoul.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2. Lee KB?Kim CH?Kim JG?Lee DB?Park CW and Na SY. 2003. Assessment of water purification plant vegetation for enhancement of natural purification in Mankyeong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 153-165. 

  23. Lee KB?Kim CH?Lee DB?Kim JG and Park CW. 2004.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Dongjin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3(1): 34-40. 

  24. Lee SH?Cho KH and Lee WJ. 2016.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3): 189-200. 

  25. Lee SW?Yun EY and Kim JK. 2014. Comparison trends of animal and plant ecosystems before and after stream restoration.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5(4):255-262. 

  26.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Seoul: Hyangmunsa. (in Korean) 

  27. Lee YH?Kang BH?Na CS?Yang GY?Min TG and Hong SH. 2011. Herbal flora and succession of stream under management conditions after its restoration-case study of Yangjaecheon in Seoul-. Kor. J. Weed Sci. 31(1): 49-70. 

  28. Lee YM?Park SH?Jung SY?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2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Seoul: Kyo-Hak Publishing Co., LTD. (in Korean) 

  30. Lim JC?An KW?Lee CW?Lee JH and Choi BK. 2016. Distribution patterns of hydrophytes by water depth distribution in Mokpo of Upo wetland. Korean J. Environ. Ecol. 30(3): 308-319. 

  31.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3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34. Oh HK and Beon MS. 2011. Vegetation sectional view and flora in the Sinpyeong stream(Imsil), Churyeong stream(Jeongeup). J. Korean Env. Res. Tech. 14(2): 59-81. 

  35. Oh HK?Sagong JH and You JH. 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ryong-si, Korea. Kor. J. Env. Eco. 25(4): 479-489. 

  36. Park IH?Jang GS?Cho KJ and Ra JH. 2009.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local streams-in case of local streams in Namwon-. J. Korean Env. Res. Tech. 12(6): 153-163. 

  37.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in Korean) 

  38. Sculthorpe CD. 1967.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London: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39. Shin DH and Cho KH.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Korean J. Ecol. 24(5): 273-280. 

  40. Song IG and Park SJ. 2013. Flora of Gonggeom-ji wetlands protection area(Sangju-si, Gyeongsangbuk-do).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5(2): 203-214. 

  41. Yang HM. 2011. Comparison of seasonal nitrogen removal by free-water surface wetlands planted with Iris pseudoacorus L. J. Korean Env. Res. Tech. 14(1): 121-132. 

  42. Yang HM. 2014.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133-148. 

  43.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44. Yoon HS?Kim GY?Kim SH?Lee WH and Yi GC. 200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hydrophytes in the West Nakdong River, South Korea. Korean J. Ecol. 25(5): 305-313. 

  45. You JH?Ahn YS and Lee CH. 2012. Flor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Binae marsh, Namhan River. J. Korean Env. Res. Tech. 15(4): 6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