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발전플랜트 배열회수보일러 분배기의 응력 및 피로 평가
Stress and Fatigue Evaluation of Distributor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in Combined Cycle Power Pla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44 - 54  

이부윤 (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발전플랜트 배열회수보일러 고압증발기의 기기인 분배기에 대하여 설계조건과 과도운전조건을 고려하여 응력 및 피로에 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배열회수보일러 튜브군 모델의 해석결과로부터 분배기의 상부에 연결되는 수직 강수관, 하부에 연결되는 수직 급수배관, 열교환기의 입구헤더로 향하는 수평방향의 방사형 배관들에 대하여 노즐하중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구한 노즐하중은 분배기의 상세모델에 대한 설계조건과 과도운전조건의 해석 시에 노즐 단면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사용하였다. 분배기의 상세한 해석모델을 만들고 설계조건의 내압과 노즐하중에 대한 정적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조건에서 최대응력은 수평방향 배관의 노즐 보어에서 발생하였다. 최대응력 위치의 국부 1차 막응력이 쉘과 노즐에서 허용기준보다 작으므로 ASME Code의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열회수보일러에 주어진 8가지 과도운전조건을 고려하여, 분배기의 상세모델에 대하여 열해석을 수행하고, 과도운전 시의 내압, 노즐하중, 열하중에 대한 과도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과도운전조건에서 최대응력은 분배기 상부의 수직 강수관 노즐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ASME Code에 의거하여 수직 강수관 노즐 부위의 피로수명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계산된 누적피로사용계수가 허용기준보다 작으므로 기대수명 동안에 피로파손에 관하여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ss and fatigue of the distributor, an equipment of the high-pressure evaporator for the HRSG, were evaluated according to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VIII Division 2. First, from the results of the piping system analysis model, reaction forces of the tubes connected to the distr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본 연구와 관련된 사항을 위주로 하여 ASME Code에 따른 피로 평가 기준을 요약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배열회수보일러용 압력용기에서 피로수명을 평가하려면 과도운전조건 종류 및 과도운전조건별 연간 사이클 수가 미리 정의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복합발전플랜트 배열회수보일러를 구성하는 대표적 기기인 구형 쉘 형상의 분배기를 선정하여 설계조건과 과도운전조건을 고려하여 응력 및 피로에 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 Benson형 배열회수보일러 고압증발기의 분배기에 대하여 구조건전성 평가 방법과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발전플랜트란 무엇인가? 복합발전플랜트(combined cycle power plant)는 천연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배열회수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에 통과시켜 만들어지는 증기를 사용하여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발전소이다. 복합발전플랜트는 화력발전소에 비해 열효율이 높고, 공해가 적고, 운전을 정지(shutdown)했다가 다시 기동(startup)하는 시간이 짧고, 전력수요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부하변화(load change)가 용이하고, 건설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다.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군 해석결과로부터 분배기에 연결되는 상부의 수직 강수관, 하부의 수직 급수배관, EVA2 입구헤더로 향하는 방사형 수평 배관의 노즐하중을 도출한 결과는?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군 해석결과로부터 분배기에 연결되는 상부의 수직 강수관, 하부의 수직 급수배관, EVA2 입구헤더로 향하는 방사형 수평 배관의 노즐하중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노즐하중은 수직 강수관 노즐에서 가이드가 분배기를 지지하는 방향의 힘이 8,848 N으로 최대이고, 다른 방향의 힘과 모든 장향의 모멘트는 전체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 노즐하중은 분배기의 상세모델에 대한 해석 시에 노즐 단면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사용하였다.
복합발전플랜트의 장점은? 복합발전플랜트(combined cycle power plant)는 천연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배열회수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에 통과시켜 만들어지는 증기를 사용하여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발전소이다. 복합발전플랜트는 화력발전소에 비해 열효율이 높고, 공해가 적고, 운전을 정지(shutdown)했다가 다시 기동(startup)하는 시간이 짧고, 전력수요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부하변화(load change)가 용이하고, 건설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다. 이러한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근래에 들어서 복합발전플랜트의 건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H. Baek, The Monthly Report of Major Electric Power Statistics, Vol. 448, No. 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6. 

  2. V. R. Eriksen,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Technology, Woodhead Publishing, 2017. 

  3.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VIII Division 2: Alternate Rules,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0. 

  4. EN 13445-3:2009, Unfired Pressure Vessels - Part 3: Desig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09. 

  5. T. H. Kim, J. S. Choi, J. S. Han, "Thermal-structural Analysis and Fatigue Life Evaluation of a Parallel Slide Gate Valve in Accordance with ASME B&PVC",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41, No.2, pp.157-164, 2017. DOI: https://dx.doi.org/10.3795/KSME-A.2017.41.2.157 

  6. C. H. Chong, J. I. Song, "Stress Behaviors of Superheater Tubes under Load Change Operation in HRSG,"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28, No.6, pp.33-39, 2008. 

  7. J. B. Kim, S. H. Hwang, Chung J. C., "The CFD Analysis for the Fatigue Life Evaluation of HRSG Bumper", Proc. of KSME Autumn Conference, pp. 1280-1285, 2015. 

  8. S. M. Choi, S. H. Kim, P. I. Kim, S. H. Ko, H. B. Chung, B. G. Han, H. H. Cho, "Effect of Installing Heat Sink to Reduce Thermal Stress on HRSG Casing", Proc. of KSME Autumn Conference, pp. 12A003, 2014. 

  9. C. H. Chong, H. G. Kim, Y. J. Choi, C. S. Lee, J. W. Ha, "Design Life Analysis for HRSG", Proc. of KSME Autumn Conference, pp. 55-60, 2004. 

  10. S. H. Hwang, H. G. Kim, C. Y. Seon, C. S. Lee, B. Y. Lee, "Fatigue Life Evaluation for HP Drum in HRSG According to EN Code", Proc. of KSME Autumn Conference, pp. 506-511, 2010. 

  11. B. Y. Lee, "Evaluation of Stress and Fatigue of High-Pressure Drum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European Code", Trans. Korean Soc. Mech. Eng. A, Submitted, 2018. 

  12. B. Y. Lee, "Evaluation of Safety of Corrosion Fatigue of High Pressure Drum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ing Transient Thermal Stress Analysis", J. Korean Soc. Precis. Eng., Submitted, 2018. 

  13. B. Y. Lee, "Evaluation of Stress and Fatigue Life of Tube Bundle and Header for High-Pressure Evaporator of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Trans. Korean Soc. Mech. Eng. A, Submitted, 2018. 

  14. G. Volpi, M. Penati, G. Silv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for Large Combined Cycle Plants (250 MWe GT Output): Experiences with Different Design Options and Promising Improvements by Once-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Proc. of Power Gen Europe 2005, Milan, 28-30 June, 2005. 

  15. ANSYS User's Manual Version 11, ANSYS Inc., 2007. 

  16.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 Part D: Materials Properties,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0. ISBN: 978-0791832349 

  17. G. B. Richard, J. N. Keith, Shigley's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9th Ed., McGraw-Hill, 2013. 

  18. J. G. Coller, J. R. Thome, Convective Boiling and Condensation, Oxford, 1994. 

  19. S. W. Churchill, "Free Convection Around Immersed Bodies", in G. F. Hewitt (Ed.), Heat Exchanger Handbook, Section 2.5.7, Begell House,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