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CNN 기반 한국 지화숫자 인식을 위한 아래팔 근육과 전극 위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arm Muscles and Electrode Placements for CNN based Korean Finger Number Gesture Recognition using sEMG Sign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260 - 267  

박종준 (순천향대학교 의료IT공학과) ,  권춘기 (순천향대학교 의료IT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표면근전도(sEMG) 신호의 응용은 초기에는 단순히 근육 활성도의 유무를 판별하여 On/Off 의 스위치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표면근전도 신호처리와 알고리즘의 발달로 휠체어의 방향 제어는 물론 수화를 인식하는 분야까지 확대되었다. 청각 장애인들의 언어 소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인 수화나 지화는 미학습자와는 소통의 어려움이 존재해왔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수화나 지화를 인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수화나 지화 시연시에 활성화되는 근육의 신호를 활용하여 수화나 지화를 인식하는 방법이 중국 숫자지화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수화나 지화는 일반 음성언어와 마찬가지로 중국 숫자지화와 한국 숫자지화가 다르므로, 중국 숫자지화 시연시에 관여하는 근육이 한국 숫자지화 시연시에는 관여하지 않을 수가 있어,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숫자지화 시연시에 활성화되는 근육의 선정은 표면근전도 신호에 기반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률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표면근전도 신호에 기반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에 대한 연구는 문헌에서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한국수화 또는 한국지화의 인식에 관한 초기 연구로서, 한국 숫자지화를 시연시에 관여하는 아래팔근육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기 위해 숫자 영(0)부터 다섯(5)의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를 대상으로 인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CNN 기반 지화인식 방법에 적용하여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에 대하여 100%의 인식률을 확인함으로써,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제안된 아래팔근육과 전극위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is mainly used as an on/off switch in the early stage of the study and was then expanded to navigational control of powered-wheelchairs and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or finger gestures. There ar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o know and do not kn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연구로 4-채널 표면근전도를 활용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숫자지화별로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아래팔 근육과 전극 위치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한 인식 기법에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숫자지화 전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Fig.
  • 본 연구에서는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숫자지화별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아래팔근육과 해당 전극 위치를 제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기 연구로서 숫자 영(0)부터 다섯(5)까지의 여섯 개의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한 표면근전도 신호를 수집하기위해 4개의 아래팔근육과 4쌍의 전극 위치를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으로 CNN 기법을 적용하여 한국 숫자지화를 정확하게 인식함을 보였으며, 제안된 아래팔근육과 해당 전극의 위치가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표면근전도 신호에 기반 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이 가능하도록 아래팔 근육과 해당 전극 위치를 제안하는 연구로서, 한국 숫자지화 시연에 어려움이 없는 건전한 남성 1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숫자지화 동작수행에 일관된 표면근전도 신호가 나타나도록 한국 숫자지화 동작들에 대한 숙련도를 높이도록 훈련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근육과 해당 전극에서 취득한 표면근전도 신호로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특정 추출의 가능 여부를 살펴보는 초기 연구단계로서, 실험 대상을 1명으로 제한하였다.
  • 본 절에서는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숫자 영(0)부터 다섯(5)까지의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손가락 움직임과 관련되는 아래팔 근육을 살펴보았다. 숫자 영(0)의 지화 시연의 경우, 다섯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접는 모양으로, 손 모양을 만들기 위해 힘을 주는 정도에 따라 손가락 및 엄지손가락의 굽힘근과 폄근들의 활성도가 있지만 낮은 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면근전도 신호의 응용은 어느 분야에 사용되는가? 표면근전도 (sEMG) 신호의 응용은 초기에는 단순히 근육의 활성도 유무를 판별하여 On/Off 의 스위치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표면근전도 신호 처리와 알고리즘의 등장으로 휠체어의 방향 제어는 물론 수화 인식하는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1-11]. 하지만, 청각장애인들의 언어 소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인 수화나 지화는 미학습자와는 소통이 되지 않는 어려움이 항상 존재해 왔다.
얕은 손가락굽힘근은 어느 부위이며 언제 활성화 되는가? ⦁얕은 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아래팔 앞·안쪽근에 위치하며 집게손가락부터 새끼손가락까지의 굽힘에 관여하는 주요 근육으로 숫자영(0)부터 셋(3)의 시연시에 활성화가 된다.
표면근전도 신호 처리와 알고리즘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표면근전도 (sEMG) 신호의 응용은 초기에는 단순히 근육의 활성도 유무를 판별하여 On/Off 의 스위치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표면근전도 신호 처리와 알고리즘의 등장으로 휠체어의 방향 제어는 물론 수화 인식하는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1-11]. 하지만, 청각장애인들의 언어 소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인 수화나 지화는 미학습자와는 소통이 되지 않는 어려움이 항상 존재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S. Kang, "Finger Sign Recognition Technique using sEMG Sensor and Gyro Sensor", Master Thesis, Soongsil University, 2002. 

  2. A. Phinyomark, P. Phukpattaranont, C. Limsakul, "A review of Control Methods for Electric Power Wheelchairs Based on Electromyography Signals with Special Emphasis on Pattern Recognition", IETE Technical Review, Vol.28, No.4, pp.316-326, 2011. DOI: https://dx.doi.org/10.4103/0256-4602.83552 

  3. A. J. Young, L. J. Hargrove, T. A. Kuiken, "Improving Myoelectric Pattern Recognition Robustness to Electrode Shift by Changing Interelectrode Distance and Electrode Configur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59, No.3, pp.645-652, 2012. DOI: https://dx.doi.org/10.1109/TBME.2011.2177662 

  4. F. Tenore, A. Ramos, A. Fahmy, S. Acharya, R. Etienne-Cummings, N. V. Thakor, "Towards the Control of Individual Fingers of a Prosthetic Hand Using Surface EMG Signals", Proceedings of 2007 2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pp.6145-6148, 2007. DOI: https://dx.doi.org/10.1109/IEMBS.2007.4353752 

  5. L. Hargrove, K. Englehart B. Hudgins, "A comparison of Surface and Intramuscular Myoelectric Signal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54, No.5, pp.847-853, 2007. DOI: https://dx.doi.org/10.1109/TBME.2006.889192 

  6. A. J. Andrews, "Finger Movement Classification using Forearm EMG Signals", Thesis of Master's Degree, Queen's University, 2008. 

  7. J. M. Hahne, B. Graimann, K. R. Muller, "Spatial Filtering for Robust Myoelectric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59, No.5, pp.1436-1443, 2012. DOI: https://dx.doi.org/10.1109/TBME.2012.2188799 

  8. L. Pan, D. Zhang, N. Jiang, X. Sheng, X. Zhu, "Improving Robustness against Electrode Shift of High Density EMG for Myoelectric Control throught Common Spatial Pattern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12, No.110, pp.1-16, 2015. DOI: https://dx.doi.org/10.1186/s12984-015-0102-9 

  9. X. Chen, Z. J. Wang, "Pattern recognition of number gestures based on a wireless surface EMG system",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Vol.8, No.2, pp.184-192,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bspc.2012.08.005 

  10. X. Zhang, X. Chen, Y. Li, V. Lantz, K. Wang, J. Yang, "A Framework for Hand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Accelerometer and EMG Sensor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 Part A: Systems and Humans, Vol.41, No.6, pp.1064-1076, 2011. DOI: https://dx.doi.org/10.1109/TSMCA.2011.2116004 

  11. Jong-Jun Park, "Study on sEMG Signal Based Finger Sign Recogni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sis of Master's Degree, Soonchunhyang University, 2017. 

  12. C. Lee, J. Kim, G. Park, J. Byeon, W. Jang, S. Kim, "Implementation of Real-time Recognition System for Korean Sign Language and Finger Gestures",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6, No.2, pp.333-336, 1996. 

  13. H. D. Yang, S. W. Lee, "Automatic Spotting of Sign and Fingerspelling for Continuous Sign Language Recognition", Journal of KISS :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38, No.2, pp.102-107, 2011. UCI: http://uci.or.kr/G704-E00398.2011.38.2.004 

  14. N. H. Kim, "A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Interface System Based on the Finger Gesture Recognizing in Use of Image Proces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15, No.4, pp.935-942, 2011. DOI: https://dx.doi.org/10.6109/jkiice.2011.15.4.935 

  15. J. Lee, Y. Kim, J. Song, K. Han, Y. Hong, "First Step to Korean Sign Language", Nanam Publisher, 2010 ISBN: 978-89-300-8463-5 

  16. Faculty Association of Korea Anatomy and Physiology, "Human Anatomy", Hyunmoonsa Publisher, pp.214-21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