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283 - 294  

여형남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박혜인 (대경대학교 간호학과) ,  신정순 (김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이 있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시에 있는 장애인복지관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을 돌보고 있는 어머니 11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 인터뷰와 녹음 테이프를 사용하여 2018년 2월에서 2018년 4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장애진단이 늦어짐을 후회함, 장애자녀 수용이 어려움, 주변의 참기 어려운 시선, 장애자녀로 인한 가족 간의 불화, 장애자녀 양육을 수용하고 전념함, 장애자녀 양육에 지쳐감, 장애자녀를 받아들임. 결론으로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발달장애 아동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정서적 안정을 포함한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의 사회적 접촉기회, 사회적 고립 여부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인 지원을 위한 의료나 복지가 체계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escribe in depth the meaning of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11 mothers who were taking care of child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지체와 반응 부족에서 오는 심리적 문제들이 가정에 야기하는 것은?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지체와 반응 부족으로 인한 실망과 좌절, 지속해서 요구되는 특별한 보살핌, 장기적인 치료와 교육으로 인한 부담감 등을 경험하고, 만성적인 우울과 불안, 분노, 스트레스, 정서적인 불안정, 심리적인 안녕의 결핍과 같은 문제들을 안고 살아간다[8]. 이런 지속적인 심리적 문제들은 부부 적응과 가족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9]. 발달장애 아동의 양육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어렵게 만들어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들의 심리적 고통이 가중되므로,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발달장애 아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발달장애 아동은 초기에는 다른 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점차 성장하면서 타인과의 관계형성 장애, 의사소통 장애, 활동이나 관심이 극히 제한적인 특징이 나타나며, 현재까지는 발달장애의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아서 치료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5].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는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에까지 확대되어[6], 발달장애 아동의 일차적인 양육 책임을 담당하고 있는 어머니들은 비장애아동의 어머니들보다 더 많은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7].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는 무엇인가? 발달장애 아동은 초기에는 다른 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점차 성장하면서 타인과의 관계형성 장애, 의사소통 장애, 활동이나 관심이 극히 제한적인 특징이 나타나며, 현재까지는 발달장애의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아서 치료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5].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는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에까지 확대되어[6], 발달장애 아동의 일차적인 양육 책임을 담당하고 있는 어머니들은 비장애아동의 어머니들보다 더 많은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7].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지체와 반응 부족으로 인한 실망과 좌절, 지속해서 요구되는 특별한 보살핌, 장기적인 치료와 교육으로 인한 부담감 등을 경험하고, 만성적인 우울과 불안, 분노, 스트레스, 정서적인 불안정, 심리적인 안녕의 결핍과 같은 문제들을 안고 살아간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al Korean, 2015 Survey on physical condition of the disabled. https://kostat.go.kr/policy/quality/qt_dl/5/1/index.board?bmode...bSeq 

  2.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672&page1 

  3. M. S. Yoon, "Service Status and Policy Implementation Plan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led in Seoul", Policy Report, no.154, pp.1-17, 2013. 

  4. C. Y. Jeun, M. Seo,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to the Life of Mothers as a Caretaker of Children with a Severe Dis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4, pp.239-249, 2013.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3.13.04.239 

  5. M. Y. Kim, H. Y. Koo, I. S. Kwon, S. O. Kim, T. W. Kim, W. O. Oh, H. O. Yoon, S. Y. Lee, S. E. Jung. "Children's Nursing Series", Seoul : Gunja, 2007. 

  6. L. M. Glidden, F. J. Billings, B. M. Jobe, "Personality, coping style and well-being of parents rea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50, no.12, pp.949-962, 2006. DOI: https://dx.doi.org/10.1111/j.1365-2788.2006.00929.x 

  7. S. Y. Jeong, J. C. Cho, "Original Articles : A Comparative Study on Rearing Stress and Family Function between Mothers who has Autistic and Normal Children", Korean Journal Korean Academic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e, vol.16, no.3, pp.258-266. 2007. 

  8. J. Y. Choi, Y. R. Yang, J. H. Kim.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 no.1. p.1-16. 2004 

  9. S. U. Kim, "Marriage and family": Seoul : Hakjisa, 2006.. 

  10. J. S. K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 burden, depression and self- esteem of mothers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9, no.1, pp 1-17, 2008. 

  11. Y. H. Nam, "The device for parenting burden mitigation of mental retardation children and youth", Journal of Youth Welfare. vol.4, no.1, pp41-58, 2002. 

  12. H. J. Chung, S. S.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on Disability Accepta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7, no.2, pp 69-95, 2013. 

  13. K. I. Han, J. H. Kim. "An Analysis of Child-Rearing Exper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49, pp.277-297. 2007. DOI: http://dx.doi.org/10.20971/kcpmd.2007.49..277 

  14. J. Bradshaw, D. Lawton, "Tracing the causes of stress in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8, no.2, pp.181-192, 1978. DOI: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bjsw.a056938 

  15. P. L. Munhall, C. O. Boyd. Nursing research : a qualitative perspective. Sudbury, Mass. : Jones and Bartlett, 2000. 

  16. P. L. Munhall, Nursing Research Sudbury, MA : Jones & Bartlett Learning, 2012. 

  17. A. Giorgi,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Korean Qualitative Research Center(ed.), Symposium of Nursing College of Ewha Womans Universit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orean Qualitative Research Center. 2004. 

  18. E. Guba, Y. Lincoln,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Sage, 1989.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tudy on people with disablities. 2006 

  20. J. Y. Kim, H. J. Yoon. "A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12, no.3, pp 333-356, 2013. 

  21. K. E. Yeo,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pecial Children" : Seoul : Yangsewon, 2008. 

  22. K. Kamphaus, C. Reynplds. Behavior system for children (2nd ed.). Bloomington, MN:NCS Person, Inc, 2007. 

  23. K. Y. Lee, I. S. Park,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memb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Qualitative Research, vol.8, no.1, pp.21-37, 2007. 

  24. Y. W. Kim, Y. S. Kim. "Curriculum Management Strategies for Quality Educ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Journal of Asia-Pacific Special Education, vol.1, no.3, 2001. 

  25. T. J. Hamner, P. H. Turner,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englewood Cliff, Nj : Prentice-Hall Inc. 1985. 

  26. I. J. Lee, Y. S. Bang, B. Y. Son.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Parenting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9, no.1, pp251-261, 2015. DOI: https://dx.doi.org/10.21184/jkeia.2015.03.9.1.251 

  27. J. H. Kim, "Family and special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ducation" : Seoul : Kyoyookbook, 2002. 

  28. M. S. Choi, "Family involvement and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Seoul Hakjis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