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시대에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Hospice Nurse on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Era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307 - 315  

여형남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의 의미 가 무엇인지 이해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위치한 일종합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로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업무의 부담감' '성숙해짐', '밀착된 관계형성', '호스피스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에 대하여 그들의 입장에서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말기 암 환자 돌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할 것이며, 그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지지체계 및 행정적 지원체계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escribe in depth the meaning of the hospice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9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1 year in the hospice pal...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uba와 Lincoln [16]의 엄밀성 평가 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및 중립성(neutrality)의 측면을 평가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 의미가 무엇인지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Giorgi[15]의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을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구조화하여 본질적 주제를 도출함으로써 현상학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 의미가 무엇인지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과 교수 1인에게 면담자료 분석과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를 의뢰하였고, 분석한 의미에 관하여 연구자들 간에 지속적인 논의를 함으로써 연구의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자는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에 대한 자신의 가정, 편견, 선 이해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면담 내용을 들으면서 연구자의 선입견이 반영된 진행이 없었는지 지속해서 성찰함으로써 중립성을 확보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돌보고 있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을 규명함으로써 돌봄의 본질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지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 완화간호란? 호스피스 완화간호란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증상들을 돌보는 간호 활동이다[5]. 따라서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들은 암 관련 다양한 증상 및 간호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증 및 신체 증상관리 교육, 의사소통 및 상담, 심리·사회적, 영적 요구 사정 및 중재, 사별 관리 및 심화된 교육 등을 필요로 한다[6].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들에 예상되는 어려움은? 따라서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들은 암 관련 다양한 증상 및 간호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증 및 신체 증상관리 교육, 의사소통 및 상담, 심리·사회적, 영적 요구 사정 및 중재, 사별 관리 및 심화된 교육 등을 필요로 한다[6]. 하지만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과다한 업무량의 부담, 간호 상황에서의 정서적 부담, 호스피스 팀과의 갈등 관계 등으로 인해 현 실정에 맞는 호스피스 완화간호를 제공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7]
웰다잉 이란? 21세기 웰빙(well-being)의 열풍 끝에 요즘은 웰빙의 연장선 혹은 종착역이라 할 수 있는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은 길어졌지만, 건강형태 및 환경구조의 변화로 매년 암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수는 인구 10만 명당 2001년 53,845명에서 2014년 76,611명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세는 앞으로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5. Accessed September 1, 2015. 

  2. National Cancer Center http://hospice.cancer.go.kr/home/contentsInfo.do?menu_no443& brd_mgrno. Accessed September 8, 2015 

  3. H. Y. Park, M. S. Hwang, & Y. H. Kim. (2018). Case-based Learning through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ritical Reflection: Application with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5(3), 153-163. https://doi.org/10.22705/jkashcn.2018.25.3.153 

  4. J. H. Lee, J. I. Park, J. H. Kang, J. H. Youm, D. H. Koh, & K. S. Dwon. (2011). Needs Assessment for the Beneficiarie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Journal of Agric Med Community Health. 36(4), 238-250. http://dx.doi.org/10.5393/JAMCH.2011.36.4.238 

  5. D. S. Kim, H. S. Park, J. A. Kim, J. H. Choi, & M.J. Park. (2012). A study on Nurses, Doctors and Hospice Volunteers's Perception of the Hospice Care and Advanced Directives abou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Global Health & Nursing, 2(2), 82-93. 

  6. V. A. Lambert, & C. E. Lambert. (2008). "Nurses' Workplace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Indian Journal Palliative Care, 14(1), 38-44, http://dx.doi.org/10.4103/0973-1075.41934 

  7. S. A. Sojka. (2009). "Being Present: A nurse's Resource for End-of-Life Communication", Nursing Science Quality, 24(1), 83-85. http://dx.doi.org/10.1177/0894318410391056 

  8. E. J. Park, & M. J. Seo. (2019).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8(4), 230-241. http://dx.doi.org/10.5807/kjohn.2019.28.4.230 

  9. S. Y. Kang, & B. S. Lee.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7(2), 237-251. 

  10. S. M. Park, S. W. Hwang. & K. D. Han. (2018).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1(4), 137-143. http://dx.doi.org/10.14475/kjhpc.2018.21.4.137 

  11. C. S. Leou, K. G. Kim, & J. H. Kim. (2001).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Nurses Working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1), 45-51. 

  12. K. H. Jo, & M. J. Kim. (2001). The perception of Suffering by Hospice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8(1), 35-50. 

  13. J. Y. Kim, & M. S. Kim. (2018). Nurses' Presence with Patients Dying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9(2), 112-130. http://www.qualitative.or.kr 

  14. E. M. Seol, & C. K. Ckin. (2018).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11(2), 1-10. 

  15. A. Giorgi. (2004),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Korean Qualitative Research Center(ed.), Symposium of Nursing College of Ewha Womans Universit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orean Qualitative Research Center. 2004. 

  16. V. A. Lambert, C. E. Lambert. (2008), "Nurses' Workplace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14(1), 38-44, http://dx.doi.org/10.4103/0973-1075.41934 

  17. E. Guba, & Y. Lincoln. (200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Sage, 

  18. M. H. Shin, & S. R. Shin. (2003). Predictors of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3(1), 75-84. 

  19. H. J. Kim, J. I. Gu, J. H. Byun, S. M. Kim, & H. S. Choi. (2012). Nurse's Experience of Changing Role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1). 30-41. 

  20. J. H. Kim, & H. K. Lee. (2012).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5(4), 205-211. 

  21. S. H. Kwon, Y. S. Tae, M. J. Hong, & G. H. Choi. (2015). Hospice Palliative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5(4), 264-275. 

  22. E. Mok, & P. C. Chiu. (2004). "Nurse-patient Relationships in Palliative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5), 475-83. 

  23. H. R, Lee, Y. O. Lee, E. O. Choi, & Y. M. Park. (2007).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Asian Oncology Nursing, 7(1), 26-35. 

  24. K. H. Jo, A. R. Park, J. J. Lee, & S. J. Choi.(2015). The influence of Humanistic Knowledge, Hospice Perception and Spirituality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8(2), 10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