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및 산림기본통계를 이용한 산림정보지도 제작
Forest Information Mapping using GIS and Forest Basic Statistic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370 - 377  

박준규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종신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는 산림선진국(독일, 일본, 오스트리아 등)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산림경영, 산림조사 및 산림관리 등 산림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체계적이며, 고도화된 산림관리 방안 수립 및 관련 연구는 부족하고, 실질적이면서 복합적인 분석을 위한 GIS로의 구축도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GIS를 기반으로 산림기본통계자료(2010년, 2015년)를 지도화하여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세부 행정구역별 산림면적, 임목축적, 평균임목축적, 산림률을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된 지도로 제작할 수 있었으며, 시계열적인 변화 또한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산림면적은 고성군, 세종특별시, 철원군, 연천군, 대전광역시 동구,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만 증가하고, 그 이외 지역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목축적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반면, 2011년 산불피해를 입은 울진군을 비롯하여 울릉군,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서울특별시 중구에서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균임목축적은 4개 행정구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산림률의 경우 고성군, 연천군, 공주시, 부산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 서구 등 10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소규모의 행정구역과 더 많은 시기를 대상으로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고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Korea is ahead of the forest sector such as forest management, forest investigation and forest management, which is not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forest advanced countries (Germany, Japan, Austria).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advanced forest management plan and re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적인 산림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산림기본통계자료를 지도화 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복합적인 공간분석의 기본 형태인 GIS 데이터로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고서형태로 제작된 산림기본통계집의 내용 중 행정구역별 산림면적, 임목축적, 평균임목축적, 산림률 데이터를 엑셀데이터로 생성하고, 최신 행정구역 지도와 연계 하여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IS의 활용분야는 무엇인가? GIS는 지리·공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지리적 자료, 인적자원의 통합체로써 최근에는 공간정보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 환경, 국방, 재해, 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4-22].
산림을 관리하고 보존하는것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따라서 산림을 어떻게 관리하고 가꾸고 보전하느냐에 따라 지구 온난화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숲을 잘 가꾸고 보전하면 나무와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7-9].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산림자원조사는 어떻게 조사되어 왔는가? 이후 주요 임업 선진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국가 차원의 조사 및 모니터링 체계 도입하여 구축하고 있다[2-4].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산림자원조사는 1972년부터 실시한 제1차 전국산림실태조사(1972~1976년)를 시작으로 제2차(1978~1980년), 제3차(1986~1992년), 제4차(1996~2005년), 제5차(2006~2010년), 제6차(2011~2015년)에 걸쳐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현재 제7차(2016~2020년)가 진행 중에 있다. 최근에는 1992년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이후 산림정책의 패러다임이 목재생산 위주의 산림경영에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으로 변화됨에 따라 식량농업 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등의 국제기구 및 협약에서 다양한 형태의 산림자원 및 산림환경 통계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적인 산림 환경 추세에 대응하여 우리나라도 현지조사의 효율성 및 조사자료 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D. Seo, J. C. Ku, J. H. Jeong, J. Y. Choi, J. Y. Gwak, S. Y. Lee, N. R. Kim, "Promotion of Local Forestry and Regional Forest Management", p.138, Research Repor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ISBN: 978-89-6013-822-3 (93520) 

  2. K. M. Choi, M. I. Kim, W. K. Lee, H. U. Gang, D. J. Chung, E. J. Ko, B. H. Yun, C. H. Kim, "Estimating Radial Growth Response of Major Tree Species using Climatic and Topographic Condi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5, No.2, pp.127-137, 2014. DOI: http://dx.doi.org/10.15531/KSCCR.2014.5.2.127 

  3. S. W. Choi, Estimating Wildfire Fuel Load of Coarse Woody Debris Using the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in South Korea, Thesis of Master's Degree in Korea University, pp.6-7, 2017. 

  4. J. K. Park, J. S. Lee, "Forest Information Mapping for the Effective Forest Analysis", Proceedings of The Convergent Research Society Among Humanities,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 pp.1749-1752, 2017. 

  5. S. H. Kim, J. C. Kim, S. W. Lee, H. K. Jo, S. A, Seo, J. S. Lim, I. B. Jeong, "Field Survey Guidelines about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Health Monitoring", Document Collection of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Vol. 13, pp. I-III, 2013. ISBN: 978-89-98575-06-9 (93520) 

  6. D. Y. Um, J. S. Lee, "Analysis of Target Area to Construct the Urban Forests for Carbon Offset using GIS in Daeje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12, pp. 621-630,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12.36 

  7. H. J. Lee, Y. B. Chung, "The Domestic Response Strategies for the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System to Greenhouse Gas",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40, No. 3, pp. 83-91, 2017.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3.083 

  8. H. J. Lee, Y. B. Chung, "An Establishment of Greenhouse Gas Information System using Excel Spreadsheets",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40, No. 4, pp. 129-136, 2017.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4.129 

  9. Korea Forest Service, Carbon Dioxide Absorption Source [Internet]. Korea Forest Service [cited 2018 May 5], Available From: http://www.forest.go.kr/ (accessed May 5, 2018) 

  10. H. K. Jo, H. M. Park, "Changes in Growth Rate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Landscape Tre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5, No. 5, pp. 97-104, 2017. DOI: https://doi.org/10.9715/KILA.2017.45.5.097 

  11. Y. H. Kim, "Analysis of Forest Carbon Offset Credits from Forest Management Project based on to th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and the VCS Methodology - Case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Forest Management through Extension of Rotation Age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8, No. 4, pp. 369-375, 2017. DOI: http://dx.doi.org/10.15531/KSCCR.2017.8.4.369 

  12. J. B. Kim, M. H. Jo, T. H. Kwon, I. H. Kim, Y. W. Jo, D. H. Shin, "Construction For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and Aerial Orthophot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7, No. 2, pp. 57-68, 2004. 

  13. C. M. Kim, D. K. Noh, E. J. Jeon, "A Nation-wide Forest Mapping Using GI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pp. 64-66, June, 2004. 

  14. Y. J. Park, C. Yeo, S. M. Lee, "Development of Landslide Risk Estimation Method in Urban Slop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8, pp. 593-602,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8.59 

  15. T. Tedson, "A Study on User Adoption of Advanced ICTs in Uganda : Focused on GIS/GPS Gorilla Tracking System",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9, No. 3, pp. 192-203, 2016. DOI: http://dx.doi.org/10.11627/jkise.2016.39.3.192 

  16. S. M. Cho,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with Satellite Data and GI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10, pp. 613-622,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10.15 

  17. J. W. Jwa, "Service Platform and Mobile Application for Smart Tour Guid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6, No. 6, pp. 203-209, 2016.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6.16.6.203 

  18. H. Choi, "Limitation Rainfall Runoff in the Watershed Fore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7, No. 5, pp. 943-952, 2017.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05.80 

  19. T. D.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Markup Indicator (IMI) Technology for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Using Io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7, No. 3, pp. 129-136,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3.129 

  20. S. J. Kim, C. Y. Jung, "A Study on Lost Child Prevention Service Using LBS and Map Inform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7, No. 6, pp. 181-186,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6.181 

  21. S. J. Cho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totype model of inpant location track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7, No. 6, pp. 203-209,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6.203 

  22. K. Ko, J. Yang, "Industrial Safety Risk Analysis Using Spatial Analytics and Data Min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40, No. 4, pp. 147-153, 2017.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4.147 

  23. Korea Forest Service, Forest Terminology Dictionary [Internet]. Korea Forest Service [cited 2018 May 5], Available From: http://www.forest.go.kr/ (accessed May 5, 2018) 

  24. Statistics Korea, "Forest Basic Statistics 2011 Periodical Statistics Quality Diagnosis Final Report", p.87, Research Report, Statistics Korea, 2011. 

  25. Korea Forest Service, "2015 Forest Basic Statistics", pp.11-12, Research Report, Korea Forest Service,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