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ess between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Defense Mechanis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524 - 534  

김선희 (제주특별자치도 육아종합지원센터) ,  김진선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  고선영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여성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적극적인 대처방식의 촉진을 위한 개입 변인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여성 만 35세~59세 400명 이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자아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첫 번째, 역할스트레스는 적응적 방어기제를 제외한 미성숙 방어기제, 자기억제적 방어기제,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는 역할스트레스 및 일상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미성숙 방어기제의 경우에는 문제중심대처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정서중심대처 및 소망추구적 사고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방어기제 유형 중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적응적 방어기제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 소망추구적 사고 대처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나,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에는 조절효과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는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ress that middle-aged women experience and their coping methods and to present intervening variables to promote active cop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0 middle-aged women from 35 to 59 years old living in S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어기제의 활용과 사용정도는 부정적 상황에서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도 가능하게 한다[27].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중년기 여성들이 사용하는 자아방어기제가 실제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기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특정 자아방어기제유형의 조절 역할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자아방어기제유형의 조절효과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드물다.
  • 지금까지 자아방어기제유형의 조절효과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기여성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식 사이에서 각 유형의 자아방어기제가 어떤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자아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자원이란 무엇인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자원은 개인이 자신의 심리적 고통이나 상황에 대한 통제감을 얻으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17].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들은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한다[18].
중년기여성들이 겪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갖는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여성 만 35세~59세 400명 이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자아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첫 번째, 역할스트레스는 적응적 방어기제를 제외한 미성숙 방어기제, 자기억제적 방어기제,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는 역할스트레스 및 일상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미성숙 방어기제의 경우에는 문제중심대처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정서중심대처 및 소망추구적 사고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방어기제 유형 중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적응적 방어기제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 소망추구적 사고 대처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나,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에는 조절효과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인생주기에서 비중이 가장 큰 중년기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생주기에서 비중이 가장 큰 중년기여성은 가정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사회 각 분야에서도 중추적 시기로서 인생의 황금기라고 볼 수 있는 한편, 앞으로 다가올 노년기에 대한 준비기간이다[1]. 우리가 중년기에 대한 연구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생애 후반기로 갈수록 뚜렷해지는 개인차가 중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개인마다 처하게 되는 스트레스도 다양하고 이에 대한 적응 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S. D. Nam, The prediction model of mid-life women's family stress and mental health. Unpublished Doctoral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8. 

  2. Y. K. Lee, An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middle-aged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nd effectiveness of a mindfulnes enhance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8. 

  3. K. M. Ho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s crisis and christian counseling", The Gospel and Praxis, 25(spring), pp.217-244, 2012. 

  4. N.J.Lee, A Study of Participation Needs in Social Activities to Cope with Mid-Aged-Women's Crisi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Wonkwang University, Lksan Korea, 2005. 

  5. S. Y. Lee, The effect of preparation and crisis on the satisfaction of married lif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81, pp.29-46, 2014. 

  6. C. R. Jeon, Research on Life-structure Change and Neurosis of Mid-life Transition Women in the View of Christian Counseling.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012. 

  7. Y. S. Song, Path model analysis of stress, coping method, quality of life and spiritual maturity of middle age christian women. Unpublished Dodtoral thesi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orea. 2009. 

  8. W.L. Jeo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for Middle-Aged Women to Overcome the Empty Nest Syndrom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2013. 

  9. J.H.Jeong, Perceived equity, rol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mother salescle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3. 

  10. J.W. Son,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in Middle-aged Women Have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2015. 

  11. Y. J. Cho,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stress of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perceived cri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006. 

  12. N.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9. 

  13. R. S. Lazarus,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14. A.G.Billings, R.H.Moos,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2), 1, pp.39-157, 1981. DOI: https://dx.doi.org/10.1007/BF00844267 

  15. K. H. Kim, G, G. Chun, Development of a life stress and coping scal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1. Korean journal of clinical sychology, 12(2.), pp197-217, 1993. 

  16. J. H. Lee, E, H. Le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Health, 5(2), pp. 287-303, 2000. 

  17. B, A. Fleming, J. E. Singer, Toward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stress. Jouran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pp.404-421, 1984. DOI: https://dx.doi.org/10.1037/0022-3514.46.4.939 

  18. B. E. Compas, V. L. Malcarne, K. M. Fondacaro,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in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3), pp. 405-411, 1988. DOI: https://dx.doi.org/10.1037/0022-006X.56.3.405 

  19. K. S. Hwa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go defense mechanisms and parent's ostering attitude perceived by youth on 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006. 

  20. B, K. Byu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styles and the children's defense 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004. 

  21. S. Erickson, S. Feldman, H. Steiner, Defense reactions and coping strategies in normal adolesc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8, pp. 45-56, 1997. 

  22. W. S. Kim,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defense mechanism and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004. 

  23. C. Brenner, Defense and defense mechanisms. Pschoanalytic Quarterly, 50, pp. 557-569. 1981. 

  24. M. P.Leiter, Coping pattern as predictors of burnout :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p. 123-144, 1991. DOI: https://dx.doi.org/10.1002/job.4030120205 

  25. D. L Segal, F. LnCoolidge, H. Mizuno, Defense mechanism differences between younger and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Aging and Mental Health, 11(4), pp. 415-422, 2007. DOI: https://dx.doi.org/10.1080/13607860600963588 

  26. J. W. Kim, Defense mechanism maturity study. Unpublished Doctoral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003. 

  27. Y. H. Oh, A study on adaption of college students.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 Annual Conference, pp. 513-530. 1993. 

  28. L. M. Martire, M. A. P. Stephens, A. Townsend, Centrality of women's multiple roles: beneficial and detrimental consep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y and Aging, 15, pp. 148-156, 2000. 

  29. A DeLongis,, J. C. Coybe, G Dakof, S. Folkman, R. S Lazarus, The relationship of daily hassles, uplifts, and major life events to health status. Health Psychology, 1(2), pp. 119-136, 1982. 

  30. C. H. Kim, Relationship of the daily hassle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ategies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7, 1, pp. 44-69, 1995. 

  31. J.Y. Park,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type A & B ego-identity and stres coping.Unpublished Master's thesis, 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95. 

  32. M Bond, S. T.Gardner, J. Christian, & J. J. Sigal, Empirical study of self-rated defense styles. Archieves of Generak Psychiatry, 40, pp. 333-338, 1983. DOI: https://dx.doi.org/10.1001/archpsyc.1983.01790030103013 

  33. S. H. Cho. A validational study of korean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The K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20(8), pp. 203-224, 1999. 

  34. I. A. Kim,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tyle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Mechanism: Focusing on the Relation Trait-Anxiety, Mo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Defense Mechanism.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6(1), 51-67, 2008 

  35. D. Ihilevich, G. C. Gleser, Defense mechanism: Their dassification corelate and measurement with the defense mechanism inventory. Owosso, M.I.: DMI Assoc, 1986. 

  36. P. Cramer, Defense mechanisms in psychology today: Further processes for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55(6), 637-646, 2000. DOI: https://dx.doi.org/10.1037/0003-066X.55.6.637 

  37. G. E. Vaillant, Ego mechanisms of defenxe: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rchers.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2. 

  38. J, W. Kim, Defense mechanism maturity study. Unpublished Doctoral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003. 

  39. J. C. Perry, Logitudinal studies of Presonality disorders.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suppl. Spring)63-85, 1993. 

  40. S. Willick, The defense. In B. Moore & B. Fine(Eds.), Psychoanalysis the major concept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95. 

  41. J. H. Kim, Perceived Stress Factors and Coping Style Depression. Unpublished Dctoral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987. 

  42. B. A. Lim, Study on the Difference of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Methods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Flight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Korea, 1997. 

  43. S, J.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ping patterns of middle of one's life and an emotional cri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2. 

  44. R. S.Lazarus, &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45. J. H. Lee, E, H. Lee, The Moderating effect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Health, 5(2), 287-303, 2000. 

  46. A. G. Billings, R. H. Moos,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4), pp.877-891, 1984. DOI: https://dx.doi.org/10.1037/0022-3514.46.4.877 

  47. G. Caplan, Mastery of stress: psychosocial aspect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8(4), pp. 413-420, 1981. 

  48. C. S. Carver, C. Pozo, S. D. Harris, V. Noriega, M, F. Scheier, D. S. Robinson, & K. C. Clark, How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distress: a study of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pp. 375-390, 1993. DOI: https://dx.doi.org/10.1037/0022-3514.65.2.375 

  49. A. T. Ebata, & R. H. Moos, Coping and adjustment in distressed and healthy adolescent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2(1), pp. 33-54, 1991. DOI: https://dx.doi.org/10.1016/0193-3973(91)90029-4 

  50. D. Osowiecki, B. ECompas, Psychological adjustment to cancer: Control beliefs and coping in adult cancer pati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5,. pp. 483-499, 1998. 

  51. J. Suls, B. Fletcher, The relative efficacy of avoidant and non-avoidant coping strategies: A meta-analysis. Health Psychology, 4, pp. 249-388, 1985. 

  52. C. Brenner, Defense and defense mechanisms. Pschoanalytic Quarterly, 50, 557-569, 1981 

  53. M. P. Leiter, Coping pattern as predictors of burnout :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123-144, 1991. DOI: https://dx.doi.org/10.1002/job.4030120205 

  54. S. Erickson, S. S. Feldman, H. Steiner, Defense reactions and coping strategies in normal adolesc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8, 45-56, 1997. 

  55. S. Soldz, & G. E. Vaillant, A 50-year longitudinal study of defense use among inner city men: A validation of the DSM-IV defense axi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6, 104-111, 1998. DOI: https://dx.doi.org/10.1097/00005053-199802000-00006 

  56. G. E. Vaillant, heoretical hierarchy of adaptive ego mechanis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4, 107-118, 1971. 

  57. G. E. Vaillant, M.,Bond, C. O. Vaillnt, An empirically validated Hierarchy of defense mechanis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 786-794, 1986. DOI: https://dx.doi.org/10.1001/archpsyc.1986.01800080072010 

  58. S, J. Lee, The Effects of Positive Illusions and Defense Mechanisms o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12. 

  59. J, W. Kim, Defense mechanism maturity study. Unpublished Doctoral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003. 

  60. G. E., Ego mechanisms of defenxe: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rchers.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