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영향 요소별 경관 대비성 평가 - 자연경관에 도입되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
Evaluating the Visual Contrast Rating of the Landscape Impact Factors - A case study for the Buildings in Natural Landscape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4 no.3, 2018년, pp.87 - 96  

최원빈 (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대학교)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cities became bigger and bigger since 1990s, many indiscretely high buildings started to be built in the mountain areas inside a city and in the rural areas in the suburb of each city. To regulate such indiscrete developments, the government prepared for some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 뿐 아니라, 형태, 선, 색, 질감, 규모의 요소들의 대비성 평가를 진행한다는 것에 차별성을 두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나타난 허용 높이 구간에서 경관요소 대비성 평가를 통해 건축물의 높이 변화에 따라 경관요소의 변화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연 경관 심의 혹은 경관 심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시각적 영향 평가(VIA)에서는 토지 이용 및 사용 시 구조물의 시각적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요소로 형태, 선, 색, 질감 규모의 요소로 보고 있으며 형태는 경관과의 부조화 정도, 선은 부조화스러운 모서리와 띠 또는 실루엣 라인, 색은 유의한 차이, 색상, 색조, 채도, 값, 질감은 밀도, 규칙성, 패턴, 규모는 경관내의 큰 규모의 차이로 요소들을 평가하고 있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나타난 경관 평가 시스템들 중에서 대비성 평가를 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에 대비성 평가를 실시하며 객관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토지관리국의 시각자원관리체계(VRM)의 요소인 형태, 선, 색, 질감을 선정하였으며, 시각적 영향평가에서 구조물에 의한 경관의 시각적 판단하기 위한 요소로 뽑혔던 규모까지 선정하여 총 5가지의 경관요소를 선정하였다.
  • 이를 활용하여 경관요소(형태, 선, 색, 질감, 규모)에 대한 대비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비성이란? 본 연구에서의 대비성이란 기존 경관 사진과 건축물이 들어왔을 때의 사진을 보고 느껴지는 경관요소 변화 차이 정도를 뜻한다. 리튼의 시각적 훼손 가능성을 보면 급격하게 대비가 되는 지점 즉, 스카이라인, 능선 같은 모서리 경계부분, 어두운 곳보다 밝은 곳, 혼효림보다 단순림 등이 시각적 훼손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Litton, 1974; Im 1991).
거리에 따라 규모의 요소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경관요소의 회귀식 계수를 살펴본 결과 형태와 선은 계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색과 질감도 서로 비슷한 계수의 값이 나타났다. 규모의 경우 대규모 아파트 단지(근경)일 때 색과 질감과 비슷한 계수가 나타났지만 대규모 아파트 단지(중경)일 때는 형태와 선의 요소와 비슷한 계수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거리에 따라 규모
캐나다 서남부주 산림청의 경관평가 목록은 경관 민감 등급과 경관 상태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캐나다 서남부주 산림청(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의 경관평가 목록(VLI, Visual Landscape Inventory)은 경관상태, 시각적 흡수능력, 조망 조건, 관찰자 평가로 경관 민감 등급을 평가하여 도면에 표기하며 경관 상태 평가는 경관형태, 대상지 훼손, 식생의 색과 재질의 영향을 측정하여 경관의 상태를 측정한다. 또한 시각적 흡수능력 평가를 통해 암석, 토양, 식생의 다양성, 지표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3단계(높음-중간낮음)으로 평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ik, S. I., 2008, Landscape Color Assessment of the Residential Area of Newtowns based on a Theory of Color Harmony, Dept. of Urba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 Choi, Y. and Cho, S. H., 2011, Visual Properties, Affective Appraisals and Comparison Analysis on Urban Landscape Factor, Korea Planning Association, 46(6): 67-77. 

  3.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agement (Dept. IBLM). 1984. Manual 8400-Visual Resource Management. 

  4. Joo S. H., Lee, S. H., The Case Study of Foreign Scenery Inventory Map and the Applicability of Domestic-focused on macro inventory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3): 103-111. 

  5. Im S. B., 1991,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78-81. 

  6. Im S. B., 2008, Urban Landscape Plannig : A Study on the Formation Criteria of Landscape Planning, Jipmoon, 59-90. 

  7. Kang, S. Y., 2014, Research on the Suggestion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s by Considering Industrial Complex Landscape - Focused on Anseong City, Gyeonggi - do Province, Jouran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8(4): 51-62. 

  8. Kim, R. N., 2012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of Building Facede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of Color-Scape: Case Study on the Commercial Corridor of Mapo District in Seoul,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9. Kim, S. E.,,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etscape Color Image on Campus Town Street in Nam-gu, Busan,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0. Kwon, S. H. and Kim, Y. S. 2012.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ityscape Plan in Seoul : Focused on Cityscape & Design Plan in Seoul. Urban Design, 13(5) : 83-103. 

  11. Lee H. J., 2007, A Study on Evaluation of Landscape Factors in Reconstruction of Multi-Family Dwellings, Major in Urban and Real Estate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12. Litton, R. B. 1974. Visual Vulnerability of Forest Landscapes. Journal of Forestry, 72(7) : 392-397. 

  13. Min, T. K., 2017, Landscape management plan of the agricultural village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f color, Major of Rural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al Develop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4. Park, H. C., 200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Schem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A dissetation Subitted in partic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to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15. Park, K. D., Hong, S. P., Roh, H. C., Hwang, J. H., 2012,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Correlation the Landscape Elements of Landscape Types,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7): 129-139. 

  16.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B.C. MOF). 1997. VISUAL LANDSCAPE INVENTORY: Procedures & Standards Manual 

  17. Richard, C. S., James, F.P., John, P. F, 1986, Foundations for Visual Project Analysis, A Wiley-interscience. 

  18. Shin, J. H, 2003,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urban visual landscape planning : Considering size and layout of buildings, Interdisciplinary Doctoral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Shin, J. H., Choi, W. B., Shin, M. J., 2018, Study on the Measuring Landscape Sensitivity of Buildings in Natural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4(2): 59-67. 

  20. Shin, J. H., Shin, M. J., Choi, W. B., 2018, The Method of Selecting Landscape Control Points for Landscape Impact Review of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1): 143-155. 

  21.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al, Forest Service (USDA FS). 1995. Landscape Aesthetics: A Handbook for Scenery Management (Agriculture Handbook Number 701). 

  22. Yeomans, W. C. 1986. Visual impact assessment: changes in natural and rural environment, in R. Smardon, J. Palmer and J. Felleman(eds), Foundations for Visual Project Analysis, John Willey & Sons, New York, Chapter 12: 201-2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