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ve Models and Indicators for Diagnosis of Urban Visual Landscape - Focusing on Seoul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09년, pp.78 - 86  

김승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시스템 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관계획 수립에 앞서 해당 도시의 주요 경관자원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토대로 도시경관의 수준을 진단하여 향후 수립되는 경관계획의 방향설정에 기여하고자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 전체의 경관을 다루고 있는 경관계획 관리 연구사례의 경관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거시적 경관 구성요소 중 수치화가 가능한 요소를 대상으로 물적지표를 추출하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경관미 값을 평가하여 경관미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물적지표를 독립변수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회귀모델과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경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며, 수치화가 가능한 데이터들로서 범용화가 가능한 통계량으로 서울시 통계DB를 참고하여 공원전체면적률, 공원시가지면적률, 1인당 공원면적, 녹지전체면적률, 녹지시가지면적률, 녹지율, 하천전체면적률, 하천시가지면적률, 개발제한구역전체면적률, 개발제한구역시가지면적률, 상업지역전체면적률, 상업지역시가지면적률, 공업지역전체면적률, 공업지역시가지면적률, 공장용지전체면적률, 공장용지시가지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 광로 연장비율 등 총 18개의 물적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 통계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된 회귀모델의 공통적인 독립변수로 도출된 녹지전체면적률, 공원전체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 단지 개소를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최종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셋째, 녹지전체면적률, 공원전체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 단지 개소의 표준화계수를 토대로 경관미 값에 녹지전체면적률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는 경관미 값과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관계획 관리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물적지표의 추가개발과 대상지 추가조사로 더욱 종합적인 경관미 예측모델과 평가지표 개발이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seems to besome problems in the urban visual landscape as a result of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public has begun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visual resources, and the necessity for visu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현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혹은 정량적 평가지표나 기준 개발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경관계획 사례 및 지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객관적이며, 동시에 범용화가 가능한 지표를 추출하여 통계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정량적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또한, 경관미 예측모델Ⅱ의 독립변수로 도출된 녹지전체면 적률, 공원전체면적률,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를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최종 평가지표로 채택하고자 한다.
  • 이 외에 도시생태현황도의 현존식생에 따른 녹지율과 1인당 공원면적, 공장용지면적, 20층 이상 아파트단지 개소 등을 물적지표에 포함하였는데, 이는 유사한 성격의 통계량일지라도 경관미 값을 가장 잘 설명해줄 수 있는 물적지표의 선정을 위해 가능한 많은 물적지표를 추출하고자 함이며, 통계적 유의성이 떨어지는 물적지표는 통계분석을 통해 제거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정량적 지표 외에도 정태일과 오덕성(2004)의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심리적 반응에 대한 연구, 주신하와 임승빈(2003)의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에 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는 도시경관을 정성적 방법으로 평가하여 정량적 도시경관 평가방법을 보완하는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경관 관련지표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도시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 마련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적용하여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도시경관의 발전은 경관법 제정으로 제도적 틀은 마련되었으나, 지자체의 획일적인 경관계획이 관행처럼 이어져 도시고유의 특성 보존과 정체성 형성이 가능한 경관계획 수립이 절실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계획수립에 앞서 해당 도시의 주요 경관자원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토대로 도시경관의 수준을 진단하여 향후 수립되는 경관계획의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경관의 개념은 어디서 최초로 시작되었는가? 도시경관의 개념이 최초로 시작된 미국과 유럽의 경관관련 제도는 이미 성숙된 단계에 이르렀으며, 도시기본계획과 도시설계의 전반적인 내용 속에 깊이 스며들어 그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김한배, 2003).
미국의 토지관리국에서는 도시경관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미국은 토지관리국(BLM, Bureau of Land Management)에서 사용하는 VRM(Visual Resource Management)으로 도시경관을 분석하며, 이는 주로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토지를 시각적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보존하고 이용하려는 차원으로 경관을 관리하는 경관관리체계를 말한다(BLM, 1995). 유럽도 이미 오래전부터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성범(2002) SPSS로 배우는 데이터 분석과 활용. 서울: 길벗 

  2. 김두운(2008) 동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도시가로경관 관리지표의 허용범위 연구: 건축물 형태 및 배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 74-83 

  3. 김승주(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석(2002)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5. 김용수, 박찬용(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5): 117-129 

  6. 김한배(2003)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10): 213-230 

  7.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한강연접지역 경관관리 방안 연구 

  9. 서울특별시(2000) 새서울 우리한강 기본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 서울특별시(2000)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보전계획. 서울시립대학교 

  11. 서울특별시(2003) 서울의 주요 하천변 경관개선 방안 연구 

  12. 신지훈(2003) 도시 경관계획 지표 연구: 건축물 규모 및 배치지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정형, 이여경(2008)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29-240 

  14.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5.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6(1): 5-18 

  16. 임승빈, 신지훈(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57-166 

  17. 임승빈, 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9): 153-161 

  18. 정재희(2000)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로경관의 평가: Virtual Reality를 이용한 실험. 한국조경학회지 28(5): 15-25 

  19. 정태일, 오덕성(2004) 지구단위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심리적반응. 한국조경학회지 32(3): 76-90 

  20.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2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1995) Visual Resource Management Manual 8410 and 843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22. Institut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 Landscape Institute(1995) Guidelines for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E& FN SPON 

  23. Stamps Ⅲ. A. E.(1997) Some streets of San Francisco: Preference effects of trees, cars, wires and build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24: 81-93 

  24. Stamps Ⅲ. A. E.(2000) Psychology and the Aesthetic of the Built Environment.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http://www.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