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교육정책 키워드 기반 소셜미디어 분석
Social Media Analysis Based on Keyword Related to Educational Policy Using Topic Modeling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9 no.4, 2018년, pp.53 - 63  

정진명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Kyungpook National Univ.) ,  박영호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 ,  김우주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Yonsei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기능이 ICT 기술의 발전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는 환경으로 급격하게 변해 왔으며, 그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즉, 일반 대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 사회 경제 변화에 대한 여론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여론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선거활동과 같은 정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서 대중들의 의사를 파악하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정치 영역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분야 정책과정에서 소셜미디어 기반 여론을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정책 중 소프트웨어교육에 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서의 주요 토픽과 토픽별 출현 확률, 토픽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컴퓨터 교육 시간'토픽이 전체의 43.99%를 차지하였으며, '프라임 사업 선정' 토픽이 36.81%, '인공지능 프로그램'토픽이 7.94%의 출현 확률을 나타내어, 대중의 소프트웨어교육 정책에 대한 주요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토픽 추세 및 연관성 있는 토픽간의 트렌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주제의 정책이라도 교육과정의 시기와 정책의 대상에 따라 유연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ditional mass media function of conveying information and forming public opinion has rapidly changed into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and opinions are shared through social media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nd such social media further strengthens its influence. In o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은미․이주현(2011)은 매스미디어에서 생산한 뉴스와 트위터에서 회자되는 뉴스의 빈도 경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새로운 뉴스미디어로 서의 트위터에 대하여 논하였으나, 대중들에게 회자되는 내용의 공공의제 혹은 정책의제 반영에 대하여 연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픽 모델링기법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 기반 여론을 분석이 정책의제 설정과 정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장에서는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토픽 모델링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4장에서는 토픽 모델링 결과를 설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정책과정 지원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교육 정책에 대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미디어 변화 환경을 반영하여 소셜미디어 상의 여론의 정책과정에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육정책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여론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들로부터 교육정책 키워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제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문서 내 저자의 특정 토픽에 대한 빈도와 그 관심 주제들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정책과정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 마지막으로 토픽모델링 추세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볼 수 있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주요 토픽들의 비중이 어느 정도 인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토픽이 감소하는 추세인지 증가하는 추세인지, 즉 어떠한 토픽들이 소셜미디어 상에서 관심을 받고 있으며, 관심이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정책 의제에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본 연구의 결과인 (그림 4)의 내용을 토픽 군집별로 비교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 (2011)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선에 대한 트윗 멘션 기반을 분석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을 규명하고 있다[15]. 신문 기사와 같은 매스미디어 자료에 대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강범일외(2013)는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신문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분석 통해 언론 매체별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매체간 발생하는 입장 차이를 밝혀내고자 하였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스미디어의 기능이 ICT 기술의 발전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기능이 ICT 기술의 발전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는 환경으로 급격하게 변해 왔으며, 그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즉, 일반 대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 사회 경제 변화에 대한 여론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여론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선거활동과 같은 정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토픽 모델링이란? 토픽 모델링은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방대한 문서에서 중심 주제를 발견해내는 알고리즘으로 발견한 주제에 따라서 수집한 문서를 구조화할 수 있다[10][11]. 토픽 모델링은 문서의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토픽들의 확률적인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클러스터링 결과 토픽의 군집별 출현 확률 및 트렌드는 어떻게 되는가? 아래의 그림에서 x축은 위의 K-means 클러스터링 결과로 나눠진 각 군집의 타이틀을 의미하며 y 축은 각 그룹이 출현 할 확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라임 사업 선정” 군집은 전체 7개의 그룹 중 출현 확률이 36.81%가 되며 “인공지능 프로그램” 군집은 7.94%의 출현 확률을 나타낸다. “국내 SW 교육 시간” 군집이 43.99%로 가장 높은 출현확률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in-Myeong Chung, Woo-Joo Kim, Chan-dong Koo,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for ICT Policy Agenda in Education," pp. 4,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Service(KERIS), 2016. http://lib.keris.or.kr/search/detail/CATLAB000000012076?briefLink/searchA/lab?briefTypeL?stKWRD_A_siTOTAL_A_q%EB%B9%85%EB%8D%B0%EC%9D%B4%ED%84%B0 

  2. Jin-hyong Lee, "Proliferation and Trend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Communication &Radio Spectrum, Vol. 44, 2012. https://www.kca.kr/open_content/bbs.do?actdetail&msg_no10462&bcdradiotrends&keyfieldbbs_title&keywordSNS 

  3. A. Livne, M. Simmons, E. Adar, and L. Adamic, "The Party is Over Here : Structure and Content in the 2010 Election," Proceedings of 5th ICWSM(2011). https://www.aaai.org/ocs/index.php/ICWSM/ICWSM11/paper/viewFile/2852/3272 

  4. You-Jung Hong, Joo-Seong Hwang, "Social Media vs. Mass Media in the Policy Agenda-setting Process : The Case of the Gwangju Inhwa School Incident(Dogani)," Broadcasting & Communication, Vol. 16, No. 1, 2015.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268584 

  5. Hyun-jae Yu, Ji-eun Song, "Investigation into the Styles of Articles Regarding Suicide by Different Media: Comparison of the Styles between Internet Media and Newspap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2, pp. 427-467, 201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899750 

  6. Russell Neuman, W.Guggenheim, Lauren Mo Jang, S. Soo Young Bae, "The Dynamics of Public Attention: Agenda-Setting Theory Meets Big Data", Vol. 64, No 2, pp. 193-214, 2014 https://doi.org/10.1111/jcom.12088 

  7. Eun Mee Kim, Ju Hyun Lee "The Diffusion of News through Twitter and the Emerging Media Ecosystem,"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5, No. 6, pp. 152-180, 201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757395 

  8. Jin-myeong Chung, Ki-young Yoo, Chan-dong Koo, "A Study on Social Media Sentiment Analysis for Exploring Public Opinions Related to Education Policies", Vol 24, No 4, pp. 3-16, 2017.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3578607 

  9. Jin-Ho Choi, Dong-Sub Han,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gendas between Politicians' Twitters and traditional News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11, No. 2, pp. 501-532, 2011. 

  10. D.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 of the ACM, Vol. 55, No. 4, pp. 77-84, April. 2012. https://doi.org/10.1145/2133806.2133826 

  11. M. Steyvers and T. Griffiths, "Probabilistic Topic Model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 Analysis. Edited by T. K. Landauer, D. S. McNamara, S. Dennis, W. Kintsch. NJ: Erlbaum, 2007. http://173.236.226.255/tom/papers/SteyversGriffiths.pdf 

  12. T. Griffiths, & M. Steyvers,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1, pp. 5228-5235, 2004.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13. S. Gerrish, and D. Blei, "A Language-based Approach to Measuring Scholarly Impact,"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p. 375-382, 2010.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182.4459&reprep1&typepdf 

  14. Jung-ha Hong, Jae-Woong Choe, "Exploring the Thematic Structure in Corpora with Topic Modeling,"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Vol. 30, pp. 239-275, 2017.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3507933 

  15. Jung-hwan Bae, Ji-eun Son and Min Song, "Analysis of Twitter for 2012 South Korea Presidential Election by Text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3, pp. 141-156, 2013. http://dx.doi.org/10.13088/jiis.2013.19.3.141 

  16. Beom-il Kang, Min Song, and Wha-sun Jho, "A Study on Opinion Mining of Newspaper Texts based on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47, No. 4, pp. 315-334, 2013.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21458 

  17. Sang-Min Park and Byung-Won On, "Latent topics-based product Reputation Mining,"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Vol. 23, No. 2, pp. 39-70, 2017. http://dx.doi.org/10.13088/jiis.2017.23.2.0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