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 -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of User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Urban Park - On the 2·28 Memorial Park in Daegu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4, 2018년, pp.11 - 20  

구민아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한예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공원 중에서도 도시화와 환경문제에 있어 가장 중심에 있는 도심공원인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집단별 특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이는 추후 공원관리뿐 아니라, 공원설계, 환경 적합성 예측, 정책 및 프로그램 효율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는 목적으로 한다. 조사 시기와 방법은 2016년 5월 11일에서 26까지 15일간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이용행태분석, 만족도, 이미지평가 설문항목을 도출하여 SPSS를 통해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항목들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인과관계의 요인들이 추출되었고, 만족도와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2.28기념중앙공원은 대부분 항목에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와 선호도를 보였다. 평가결과, 추후 도심공원계획과 설계에 있어서는 만족도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녹지수경 요인과 정돈성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도심공원의 특성상 공원 이용자들도 도심 환경문제를 느끼고 있기에 평가치가 낮은 소음도(3.92), 식물수종(4.09), 공기의 질(4.10), 조용한(4.22)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음 완화와 녹음 확보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of 2.28 Memorial Park in Daegu. The park is located in center of the city.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urban park planning and design, in CB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May 11, to May 26, 201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도시공원 조성계획에서도 지적 호소력과 정신적 영역의 이미지(Simonds, 1999)까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도심공원에 대한 만족도와 이미지에 대해 이용 후 평가를 통한 분석을 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분석해 내고 그것으로 도시공원 중에서도 가장 유동인구가 많고 번화한 중심에 위치한 도심공원의 문제를 파악해 냄과 동시에 도심공원을 지속적으로 계획 관리하여 도시인에게 보다 쾌적하고 가치 있는 삶의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도심공원인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 중에서도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원의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기타 인지도와 집단별 특성에 관해 분석하여 추후 도심공원관리뿐 아니라, 공원설계, 환경 적합성 예측, 정책 및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Friedmann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이용·행태적 측면, 이용 만족도, 이미지 평가를 중심으로 이용 후 평가(POE) 모형을 적용하여 2·28기념중앙공원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내용은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평가지표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도심공원의 만족도와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여 어떠한 평가지표들이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의 진행에 따른다.
  • 본 연구 대상지인 2·28 기념중앙공원은 역사적으로 2·28 학생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곳이기도 하지만, 대구시의 가장 번화한 중심에 위치한 대표적 도심공원임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이용자들의 특성과 이용행태 및 공원시설 환경조건에 대한 만족도 및 이미지 평가를 통해 도시의 한 가운데 조성된 도심공원으로써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공원 개선의 기초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심이란? 현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환경문제로 인해 자연을 필요로 하면서, 도심공원들이 녹지 공간 확보와 더불어 환경문제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도심이란 사전적 의미로 주된 문화, 경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도시의 중심부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도심공원은 현행 법규상의 도시공원 중에서도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번화한 중심부에 조성되어 있는 공원으로 지칭하였다.
이용 후 평가(POE)의 평가기법은? 건설된 구조물이나 외부환경이 인간의 욕구와 가치관을 얼마나 만족시켜 주는 것인가에 관한평가(Jang,1997)로서 설계단계에서 계획수립 시에 고려되는 물리․생태적 측면, 사회․행태적 측면, 시각․미학적 측면의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 평가기법으로는 Robinowitz 평가, Friedmann 평가, 진단적 평가 등이 있다(Eom and Jung, 1992). Robinowitz 평가는 주로 건축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기술적, 기능적, 행태적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며, 진단적 평가는 설계와 관련된 행위, 사회-역사적 맥락 등의 설계자의 의도와 환경의 이용자 분석측면을 비교분석하는 평가이다.
도시를 디자인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기본규칙(Lynch, 1960)은? , 2003). 하지만, 도시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인식과 사람들이 도시의 공간을 경험하는 방식은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기본규칙(Lynch, 1960)이며, 도시공원은 인문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공간을 수용하는 인간의 심리적, 체험적 현상까지도 고려해야만함(Im, 2000)은 물론이다. 또한, 도심공원은 가장 유동인구가 많고 번화한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시공원 중에서도 환경문제와 접근성, 안전성 등의 문제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음으로 그것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J. H.(2009) Basic study about public facility application plan through downtown park environmental colors analysis: Focused on the environment colors analysis about Busan Children's Grand Park landscape image. Journal of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9(4): 269-278. 

  2. Cho, J. K. and M. A. Lee(2014)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ans preferences for the spaces and facilities pf roof-garden of department sto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1): 132-142. 

  3. Eom, B. H. and S. H. Jung(1992)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of the Shincheon Riverside Athletic Park. Hyosung Women's University Community Development Research 1(1):31-46. 

  4. Eom, B. H.(2016)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for centennial plaza in CUD. Journal of National Science of Catholic University in Daegu 14(1): 1-9. 

  5. Feimer, N. R.(1979) Personality and Environment Perception: Alternative Predictive Systems and Implications for Evaluative Judgem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6. Hong, J. W.(2011) Roof garden component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de of Traditional Landscaepe Architecture 14(2): 117-122. 

  7. Im, S. B.(2000) A City Made by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15. 

  8. Institut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 Landscape Institete (1995) Guidlines for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E & FN SOPN. 

  9. Jang, D. S.(1997) A study on post occupancy evalu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nsung Industry College: 223-236. 

  10. Joo, S. H. and S. B. Im(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Korea Institude of Traditional Landscaepe Architecture 31(1): 1-10. 

  11. Joo, S. H.(2008) 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36-47. 

  12. Jung, Y. S. and M. J. Choi(2014) Why the elderly choose downtown parks as daily leisure place?: Focusing on scale and distance effects. Journa of Korea Planning 49(1): 51-62. 

  13. Kim, D. G. and J. M. Moon(2013) User satisfaction in an evaluation of public spac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8: 45-56. 

  14. Kim, J. H., J. E. Son and D. T. Lee(2008) Tempo of music payed in inner city park walking trail and age and sex variations of walking patterns in unrestricted free walkers. Korean Journal of Living Environment 15(2): 233-241. 

  15. Kim, K. H., K. J. Kim, M. S. Choi and M. H. Yun(1997)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Bundang Central Park. Korea Land Corporation. pp. 97. 

  16. Kim, S. B., U. H. Jung, G. J Sim and Y. B. Kim(2003)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xture. Seoul: HacMonsa, pp. 157-158. 

  17. Lee, D. T., J. E. Son and J. J. Kim(2008) Analyses of free walking pattern at inner city park trails according to surroundings, sex and age, and walking compan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15(4): 459-464. 

  18. Lee, H. S., J. Y. Koo and S. W. Kim(2009) A study on visual preferences of urban commercial streetscape in the city: Focus on Sinsa-dong Garosoogil. Journal of Digital Design 12(4): 87-96. 

  19. Lee, K. H.(2003) A study on change of park landscape preference in CBD with special reference to Gugchaebosang-park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 Forest Recreation Society 7(2): 37-42. 

  20.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ss: MIT Press. pp. 2-50. 

  21. Noe, H. K., D. K. Oae and S. B. Kim(2010)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urban arboretum. Agricultural Science Research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37(1): 27-35. 

  22. Park, J. G., R. H. Im, Y. B. Ji and H. J. Sin(2001) A study on the behavior analysis and user satisfaction of city park user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21: 12-152. 

  23. Park, S. A. and M. W. Lee(2012)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project on Geonjisan forest trail Jeonju city,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60-69. 

  24. Park, S. H.(2012)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rban Ecological Park Using Post Occupancy Evalua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pp. 87. 

  25. Seo, Y. J.(2009)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Streetscape Considering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Structure: A Case on Samcheongdong Stree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87. 

  26. Simonds, J. O.(1999) Landscape Architecture: A Manual of Site Planning and Design Third Edition. McGrew-Hill. pp. 9-10. 

  27. Song, J. Y. and J. A. Park(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n-Gang park by analysis of user’s behavior: Focused on Banpo, Yeouido.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de of Korea 14(4): 43-54. 

  28. Yang, S. Y.(2003)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Large Urban Neighborhood Parks.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Kroea. pp. 54. 

  29. http://www.jung.daegu.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