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 이용 실태 조사를 위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성 연구 - 부산시 도시공원을 사례로 -
A Preliminary Study on Usabi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Observing Park Users - Focused on Urban Parks in Busa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4, 2016년, pp.35 - 44  

박근현 (미국 유타대학교 도시계획학과 대학원) ,  박승범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원 이용행태는 주로 이용자 설문이나 행태 관찰을 통해 조사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방식들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응답자나 조사자의 주관에 취약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로 인해 개별 도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공원 이용 실태 조사기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조사를 위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체계적 관찰 기법인 여가활동 관찰 기법(SOPARC)과 비교하여 본 기법의 유용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관찰결과는 SOPARC의 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기법 모두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나타냈다.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방법은 기존 관찰기법들에 비해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고, 정밀한 이용자 수 조사 및 공간 시설 이용패턴 파악에 적합한 장점을 가진 반면, 자세한 이용자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날씨 등 조사 여건의 제약이 많다는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두 기법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원 이용 조사 시 유의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primary tools to study park use are surveys and direct observation. Existing methods, however, are limited in terms of considerable costs in both time and money and the personal bias of respondents or observers. These limitations result in a lack of efficient, reliable, and affordable tools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원 이용 조사에 있어서 직접 관찰 기법과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방법을 서로 비교․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존에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관찰 기법인 SOPARC 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SOPARC 혹은 여가활동 관찰 기법은 공원 이용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고안된 ‘시간표집 기록법(momentary time sampling technique)'이다(Mckenzie et al.
  • 본 연구는 공원 이용 조사에 있어서 기존의 직접 관찰 기법과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기법을 비교하여 그 활용성과 유의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두 기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해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공원 이용 조사에 있어서 기존의 직접 관찰 기법과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기법을 비교하여 새로운 방법의 활용성과 유의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직접 관찰 기법으로는 SOPARC 을 활용한다.
  • 본 연구는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원 이용 실태 조사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기초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우선 관찰구역의 크기가 반경 100미터 정도로 작고, 공원의 규모 역시 대형 공원은 포함하지 않았다.
  • 본 연구를 통해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공원 이용 조사기법이 체계적 육안 관찰과 비교하여 볼 때 신뢰할 만한 결과를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는 수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발견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공원 이용 조사기법이 체계적 육안 관찰과 비교하여 볼 때 신뢰할 만한 결과를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는 수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발견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매 현장 조사 시 조사자가 기록한 조사노트를 활용 하였고, 다른 관찰기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였다.
  • 행태 조사를 위한 직접 관찰 법은 관찰 대상의 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한다 (Han and Yun, 2014).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행경로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사전 비행에 충분한 시간을 들임으로써 공원 이용자들이 무인비행장치의 존재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비행을 보기 위해 움직임을 멈추는 사람의 수가 관찰구역 별로 한 명 내외에 불과하였다.
  • 하지만 무인비행장치는 육안관찰에 비해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 조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실태 조사를 위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미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체계적 관찰 기법인 SOPARC과 본 조사기법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살펴본다.
  • 직접 관찰과 무인비행장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상, 무인비행장치로 촬영한 영상은 SOPARC 기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조사자가 추후에 영상을 보면서 iSOPARC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원 이용자들의 성별, 연령대, 신체활동 수준을 입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원 이용행태를 조사하는 기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공원 이용행태를 조사하는 기법은 크게 이용자 설문조사와 행태 관찰의 두 가지가 있다. 많은 연구들이 공원 이용자 혹은 인근 주민들의 설문을 활용하여 공원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있다(Giles-Corti et al.
공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공원 이용을 활성화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해왔다. 공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공원과의 접근성, 공원의 크기, 시설의 종류와 질, 유지관리, 근린지역의 특성 등이 있다(Cohen et al., 2010; Floyd et al.
공원 이용 실태를 파악할 때 설문을 이용한 조사는 어떠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가? , 2008; LoukaitouSideris and Sideris, 2009). 하지만 이 기법은 충분한 표본 확보가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응답자가 주관적으로 답변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반면에, 직접 관찰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수의 이용자를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Coh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nberger, A., W. Haider and C. Brandenburg(2005). Evaluating visitor-monitoring techniques: A comparison of counting and video observation data. Environmental Management 36(2): 317-327. 

  2. Baran, P. K., W. R. Smith, R. C. Moore, M. F. Floyd, J. N. Bocarro, N. G. Cosco and T. M. Danninger(2014) Park use among youth and adults: examination of individual, social, and urban form factors. Environment and Behavior 46(6): 768-800. 

  3. Cho, C-W and Y-K Chin(1998) The observation of user behaviors of the urban plaza using time-lapse recor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99-212.(조창완, 진양교(1998) Time-Lapse 촬영방법을 이용한 도심 광장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청량리 역광장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99-212.) 

  4. Choi, W. and K. Kim(2013) Uses and functions of squares in a downtown based on the concept of behavior setting: Focused on the Gwanghwamun Squar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1): 109-120.(최우석, 김기호(2013) 행태의 장 개념을 통해 본 도심 내 광장의 이용 및 기능에 대한 연구: 광화문 광장, 서울 광장, 청계 광장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1): 109-120.) 

  5. Chung-Do, J. J., E. Davis, S. Lee, Y. Jokura, L. Choy and J. E. Maddock(2011) An observational study of physical activity in parks in Asian and Pacific Islander communities in urban Honolulu, Hawaii, 2009. Preventing Chronic Disease 8(5): 1-9. 

  6. CIAFEL(2009) iSOPARC for iPad User Documentation. https://ciafel.fade.up.pt/isoparc/doc/iSOPARC.Documentation.pdf 

  7. Cohen, D. A., C. Setodji, K. R. Evenson, P. Ward, S. Lapham, A. Hillier and T. L. McKenzie(2011) How much observation is enough? Refining the administration of SOPARC.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8(8): 1117-1123. 

  8. Cohen, D. A., T. Marsh, S. Williamson, K. P. Derose, H. Martinez, C. Setodji and T. L. McKenzie(2010) Parks and physical activity: why are some parks used more than others? Preventive Medicine 50 Suppl 1: S9-12 

  9. Coifman, B., M. McCord, R. G. Mishalani, M. Iswalt and Y. Ji(2006) Roadway traffic monitoring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IEE Proceeding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153(1): 11-20. 

  10. Floyd, M. F., J. O. Spengler, J. E. Maddock, P. H. Gobster and L. J. Suau(2008) Park-based physical activity in diverse communities of two U.S. cities: An observ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4(4): 299?305. 

  11. Gehl, J. and B. Svarre(2013) How to Study Public Life. Island Press. 

  12. Getzin, S., K. Wiegand and I. Schoning(2012) Assessing biodiversity in forests using very high-resolution image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Methods in Ecology and Evolution 3(2): 397-404. 

  13.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K. Ng, A. Lange and R. J. Donovan(2005)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 Suppl 2): 169?176. 

  14. Han, U. and H. J. Yun(2014) Pedestrian behavior tracking at urban linear tourist sites via direct observation: Focused on Cheonggyeche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124-133.(한울, 윤희정(2014) 직접관찰법을 이용한 도심 선형 여가공간의 보행자 행태분석: 서울시 청계천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5): 124-133.) 

  15. Im, S.(2007)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Seoul: Bomun.(임승빈(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서울: 보문당.) 

  16. Jacobs, J.(1961).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Vintage. 

  17. Kaczynski, A. T., L. R. Potwarka and B. E. Saelens(2008)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f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51-1456. 

  18. Kang, Y-J., Y-S. Kim and S-H Cho(2012) A research on the creative behavior of children's plays in Sangsang Children's Park,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09-118.(강영재, 김요섭, 조세환(2012) 서울시 상상어린이공원의 창의 놀이 행태 분석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5): 109-118.) 

  19. Kim, H-K and S-W Jung(2010) An analysis of the behavior pattern of user for open space in the urban park: Focused on the Seoul Fores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1): 37-44.(김효경, 정성원(2010) 도시공원 내 오픈스페이스 이용자 행태 분석: 서울 숲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11): 37-44.) 

  20. Kim, M., J-S Sung and J. Park(2014) Behavior setting theory draws Choenggyecheon.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4): 33-46.(김무한, 성종상, 박재민(2014) 행태의 장 이론 적용을 통한 청계천의 환경-행태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4): 33-46.) 

  21. Kim, Y-S, D-H Lee and C-Y Park(2006) Servey and analysis of use behavior in children's parks: Focused on housing development area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3): 32-40.(김용수, 이동훈, 박찬용(2006) 어린이공원 이용행태 조사.분석: 대구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3): 32-40.) 

  22. Lang, Joe(1994) Urban Design: The American Experienc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3. Lee, J.(2009)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Paju: Kyoyookbook.(이종승(2009)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4. Lee, J-H and J-A Park(2008) 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parks near stations by the location types in influential subway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9-20.(이주희, 박진아(2008)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9-20.) 

  25. Lee, Y-S, C-H Ahn, D-J Lee and E-B Lee(2011) Analysis on the time and spacial characteristic of citizen outdoor activit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1(2): 83-90.(이연숙, 안창헌, 이동주, 이유빈(2011) 관찰기법을 이용한 도시민의 야외 운동장소 이용특성 분석: 이용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1(2): 83-90.) 

  26. Lin, Y., M. Jiang, Y. Yao, L. Zhang and J. Lin(2015) Use of UAV oblique imaging for the detection of individual tree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4: 404-412. 

  27. Loukaitou-Sideris, A. and A. Sideris(2009) What brings children to the park?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use of park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1): 89-107. 

  28. McKenzie, Thomas L., D. A. Cohen, A. Sehgal, S. Williamson and D. Golinelli(2006) System for observing play and recreation in communities (SOPARC): Reliability and feasibility measure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3(S1): S208-S222. 

  29. Rung, A. L., A. J. Mowen, S. T. Broyles and J. Gustat(2011). The role of park conditions and features on park visitation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8(2): S178-S187. 

  30. Song, J-Y and J-A Park(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n-Gang Park by analysis of user's behavior: Focused on Banpo, Yeouido.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4): 43-54.(송지연, 박진아(2013) 한강시민공원의 이용자 활동 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반포한강공원 여의도한강공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4): 43-54.) 

  31. Torres-Sanchez, J., J. M. Pena, A. I. de Castro and F. Lopez-Granados (2014) Multi-temporal mapping of the vegetation fraction in early-season wheat fields usingimages from UAV.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03: 104-113. 

  32. Vasuki, Y., E. J. Holden, P. Kovesi and S. Micklethwaite(2014) Semi-automatic mapping of geological structures using UAV-based photogrammetric data: An imageanalysis approach. Computers & Geosciences 69: 22-32. 

  33. Whiting, J., L. Larson and G. Green(2012) Monitoring visitation in Georgia state parks using the system for observing play and recreation in communities(SOPARC).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30: 21-37. 

  34. Whyte, W. H.(1980)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s. New York: Project for Public Spaces Inc. 

  35. Yang, S-Y and S-Y Yoo(2016)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Seoul.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7(1): 101-115.(양승열, 유석연(2016) 철도 부지를 활용한 경의선숲길공원 이용행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1): 101-115.) 

  36. Yun, H. J., H. J. Kim and S. H. Shin(2015) Use behaviour and personal distance of the bench users in urban parks: Focused on Yeouido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6): 52-61.(윤희정, 김현주, 신상현(2015) 도시공원 벤치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 여의도 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3(6): 52-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