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개비자나무 자생지 생육환경 및 식생구조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Cephalotaxus koreana Naka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4, 2018년, pp.384 - 395  

김영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김준선 (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갑연 (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문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산림소득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개비자나무 6개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생육환경을 구명하여 합리적인 유지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개비자나무 자생지는 온난대 낙엽활엽수림에 속하며 해발고 148~835 m, 경사 $12{\sim}32^{\circ}$로 나타났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토양 산도는 pH 4.7~5.9로 약산성을 나타냈고, 유기물함량 5.72~15.99%, 양이온치환용량 $14.1{\sim}19.9cmolc/kg^{-1}$로 유기물 유입이 활발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치환성양이온 $K^+$, $Ca^{2+}$, $Mg^{2+}$ 함량은 각각 0.25~0.48 cmolc/kg, 0.79~6.68 cmolc/kg, 0.31~1.73 cmolc/kg으로 나타났다. 식생조사 결과 상층식생 우점종은 충주 적보산에서 떡갈나무, 쪽동백나무, 괴산 보개산에서 고로쇠나무, 느티나무, 거창 금원산에서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 구례 지리산에서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광양 백운산에서 느티나무, 갈참나무, 해남 두륜산에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로 집단 간 공통으로 우점하는 수종은 발견되지 않았고, 낙엽활엽수 중 참나무류가 우점하여 피음도가 높은 계곡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는 0.854~1.234, 균재도는 0.654~0.933, 우점도는 0.067~0.346으로 나타나 다수의 종이 균일한 상태를 이루는 성숙한 임분으로 나타났다. 종구성 및 환경요인과 개비자나무의 생육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종다양도와 균재도는 개비자나무의 수고, 직경 및 우점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성숙한 임분과 상층수목의 분포가 개비자나무에게 유리한 생육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wild habitats of Cephalotaxus koreana, and offers the basic information for habita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the wild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bet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개비자나무 6개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생육환경을 구명하여 합리적인 유지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개비자나무 자생지는 온난대 낙엽활엽수림에 속하며 해발고 148~835 m, 경사 12~32°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개비자나무 자생지의 입지특성, 토양환경, 식생구조 등을 파악하여 개비자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을 구명하고 지속적인 보전과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입지환경 조사

    조사지의 해발고, 경사, 방위를 측정하고, 생육하고 있는 개비자나무의 수고와 직경을 조사하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각 조사구 내에서 낙엽층을 제거한 후 토양을 채취하여 산도(pH)는 pH meter법, 유기물함량(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비자나무란 무엇인가?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는 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경기, 충북 이남의 계곡이나 숲의 습윤한 곳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다. 수고 3~6 m 정도로 자라며, 잎은 선형으로 두 줄로 배열하며, 주맥이 양면에 도드라지고 잎 뒷면에는 두 줄로 된 기공선이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개비자나무에 대한 연구는 어디서 밝혀졋는가? 개비자나무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화학적 성질, 항암성분에 대해 외국에서 먼저 밝혀졌다(Powell et al., 1972; Ohnamam and Holland, 1985; Edward, 1999).
유용자생식물로서 활용 가치가 대단히 높은 이유 중 하나는? , 1972; Ohnamam and Holland, 1985; Edward, 1999). 암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류는 유용자생식물을 이용한 항암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가운데 개비자나무에서 추출된 항암물질은 기존 항암제에 비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다고 보고되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상품화 가능한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Jingyi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0:351-371. 

  2. Braun, Blanquet J. 1964. Pflazensoziologie grundzud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USA). pp. 1-865. 

  3.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NY (USA). pp. 1-237. 

  4. Byun, J.G., K.I. Cheon, S.H. Oh, Y.M. Lee, J.W. jang and S.H. Joo.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6(2):214-226 (in Korean). 

  5. Cox, G.W. 1972.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m. C.. Brwon Compnay. IA (USA). pp. 1-232. 

  6. Curtis, J.T. and R.P. Mcl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l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9:161-166. 

  7. Edward, F.G. 1999. Cephalotaxus harringtonin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USA. p. 3. 

  8. Eom, B.C. and J.W. Kim. 2017. Phytocoenosen and distribution of a wild tea (Camellia sinensis (L.) Kuntze) population in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30(2):176-190 (in Korean). 

  9. Falk, D.A. and P. Olwell. 1992. Scientific and policy consideration in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Symposium Proceedings 94:287-315. 

  10. Fu, L., N. Li and R.M. Robert. 1999. Missouri Botanical Garden: In Wu Zheng-yi and Peter H. Raven (eds.), Beijing Science Press, St. Louis, USA. Flora of China 4:85-88. 

  11. Han, B.W., H.R. Na and J.O. Hyun. 2018.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Korean J. Plant Res. 31(2):162-194 (in Korean). 

  12. Holdridge, L.R. 1947. Determination of world plant formations from simple climatic data. Science 105(2727):367-368. 

  13. Hwang, J.H., S.T. Lee, N.C. Park, J.C. Choi, H.C. Shin, K.J. Lee and K.S. Lee. 2006.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after thinning in Quercus acuta stand. J. Korean For. Soc. 95(6):694-700 (in Korean). 

  14.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 Korean For. Soc 91(6):694-700 (in Korean) 

  15. Jingyi, H., A.P. Cheung, E. Wang, E. Struble, K. Fang, N. Nguyen and P. Liu. 2000. Stability-indicating LC assay of and impurity identification in homoharringtonine samples, J. Pharmaceut Biomed 22(3):541-554. 

  16. Jung, M.S. 2005. Biotic and abiotic factors affecting homoharringtonine contents of Cephalotaxus koreana Nakai.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pp. 1-47 (in Korean). 

  17. Jung, M.S., J.O. Hyun, W.Y. Lee, J.H. Lee and S.S. Ko, 2005. Variation of homoharringtonine contents from eight natural populations of Korean Native Plumyew Trees (Cephalotaxus koreana). J. Korean For. Soc. 96(6):397-401 (in Korean). 

  18. Jung, M.S., J.O. Hyoun, U. Lee, A.F. Yahya and E.S. Baik. 2009. Propagation of a new anticancer plant, Cephalotaxus koreana, by cutting. J. Korean For. Sco. 98(4):491-495 (in Korean). 

  19. Kim, E.H. 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ontice microrhyncha community in Mt. Jumbong. Department of Life Science. Master thesis, The Catholic Univ., Korea. pp. 1-65 (in Korean). 

  20. Kim, J.H., S.A. Park and C.Y. Yoon. 2018. Floristic study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31(2):149-161 (in Korea). 

  21. Kim, S.I., H.K. Choi, J.Y. Song, J.H. Kim and H.S. Lee. 2000. Analysis of alkaloid contents in korean plumyew (Cephalotaxus koreana): Variation with location and season. Korea J. Biotechnol. Bioeng. 15(5):434-437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http://www.nature.go.kr. 

  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http://www.kma.go.kr. 

  24. Nakane, K., H. Tsubota and M. Yamamoto, 1986. Cycling of soil carbon in a japanese red pine forest II. Changes occurring in the first year after a clear-felling. Ecological Research 1:47-58 

  25. National Forest Seed Variety Center. 2009. Research of Korea forest resources plant characteristics(1). Korea Forestry Service. Seoul, Korea. 

  26.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ustainability: Science 164(3877):262-270. 

  27. Oh, C.J. 2008. Vegetation structur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tea plant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populations in Korea. Department of Forestry,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 Korea. pp. 1-100 (in Korean). 

  28. Ohnamam, T. and J.F. Holland. 1985. Homoharringtonine as a new antileukemic agent. J. Clin Oncol 3(5):604-606. 

  29. Park, H.I., Y. Lee, H.C. Lee, C.W. Yun, G.S. Lee, G.R. Kwon, Y. Yeeh, D.S. Shin and W.H. Joo. 1996. Harringtonine and Homoharringtonine from Cephalotaxus koreana. Korea Biotechnol. Bioeng. 11(6):689-695 (in Korean). 

  30. Park, I.H., K.J. Lee and J.C. Jo. 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Korean J. Appiled Ecology 1(1):1-23 (in Korean). 

  31.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hiley Publishing Co., NY (USA). pp. 1-165. 

  32. Powell, R.G., D. Weisleder and C.R. Smith. 1972. Antitumor alkaloids from Cephalotaxus harringtonia structure and activity. J. Pharm Sci. 61(8):1227-1230. 

  33.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Illinois Press, IL (USA). pp. 1-125. 

  34. Shin, S.H., H.J. Kim and S.H. Kang. 2018.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Bulmyeong (Wanju-gun), Korea. Korean J. Plant Res. 31(1):56-70 (in Korea). 

  35. Son, H.J., S.C. Kim, D.H. Lee, S.J. Kwon, W.G. Park and Y.S. Kim. 2016.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Acer tegmentosum Maxim.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0(3):69-80. 

  36.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3655):250-259. 

  37.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ic in the korean peninsular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177-189 (in Korean). 

  38. Yoon, Y.S., K.A. Kim and K.O. Yoo. 2015.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8(1):64-7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