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레저활동 인구 및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소규모 부잔교 및 계류형 폰툰 플랫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연안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구조안전성 평가에 관련한 표준 규칙 및 상세 규칙에 대한 제정이 시급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기본적인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설계 시 참고할 수 있는 설계 기준을 제시하고, 설계안에 대한 구조안전성 평가 절차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전장 15 m 폰툰형 플랫폼의 구조설계 과정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10 m 이하 플랫폼의 경우, 간략한 구조계산서만으로도 검토가 가능하나, 10 m 이상의 플랫폼의 경우 상세 구조강도 검토가 뒷받침되어야만 기준에서 제시하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침에 부합할 수 있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설계안에 대한 구조강도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로서는 다양한 하중조건을 동시에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개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leisure industry, demand for small-scale flotation and mooring pontoon platform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tandard rules for the design and structural safety of such structures have become necessary. This paper provides criteria that can be referenced w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논문에서는 전장 15 m 폰툰형 플랫폼의 구조설계과정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10 m 이하 플랫폼의 경우, 간략한 구조계산서만으로도 검토가 가능하나, 10 m 이상의 플랫폼의 경우 상세 구조강도 검토가 뒷받침 되어야만 기준에서 제시하는 안전성확보를 위한 지침에 부합할 수 있다.
  • 앞서 언급한 메카플로트 분야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므로, 설계 및 구조안전성 평가에 관련한 다양한 기준들이 확립되어 있다 최근 레저활동 인구 및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소규모 부잔교 및 계류형 폰툰 플랫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관련 구조에 대한 설계 및 구조안전성 평가에 관련한 표준 규칙 및 상세 규칙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기본적인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설계 시 참고할 수 있는 설계 기준을 제시하고, 설계안에 대한 구조안전성 평가 절차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 향후 연구과제로서는 다양한 설계 조건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설계 시스템 개발이며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검토 및 절차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구조적 안정성 검토는 폰툰의 한쪽 부분에만, 1인당 평균 100 kg의 체중을 가진 20명이 한쪽 부체에 집중적으로 놓여있는 경우를 산정하였다. 본 해석에서 가정한 하중조건은 이 부체구조물을 운용하면서 발생할 수는 없겠지만, 본 부체구조물의 주요치수 특성상, 길이에 비해 폭이 과대하게 넓은 구조물인 점을 반영하여 보수적인 가정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 및 해양공간은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해상 및 해양공간은 오래 전부터 교통 및 물류 수송의 역할과 함께, 어업의 장소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었다. 특히 국토가 좁고 임해지대에 공업이 집중된 우리나라의 특성상 해양공간의 활용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보통 FRP형태의 부잔교의 설계 시 사용하는 전장의 크기는? 보통 FRP형태의 부잔교의 설계 시 전장을 12 m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며, 본 연구에 사용된 전장은 15 m로 대형화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설계에서는 격벽부재를 주로 활용하여, 예상된 설계하중을 충분히 만족하며, 예상치 못한 충격력이나, 하중에 대해서도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폰툰형태의 구조 배열을 이용하였다.
부잔교의 제작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재료 중 Choi et al.(2016)의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2016)는 부잔교의 제작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재료 중, 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부잔교 1-cell에 해당하는 부분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부잔교 바닥판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론으로서 고성능 콘크리트를 활용한 부잔교는 구조적 측면에서 가능함을 실험을 통하여 증빙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SYS Multiphysics User's manual(2016), Introduction of nonlinear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of plate buckling and ultimate strength, Vol. 3, pp. 85-110. 

  2. Choi, E. S., J. W. Lee, S. J. Kim and W. J. Kwark(2016), Performance Evaluation of Floating Bridge using the High Performance Concret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pp. 65-66. 

  3. Cheo, S. Y., S. Y. Park and S. H. Choi(2016), Residual life assessment of a concrete floating pier,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6, No. 5, pp. 31-39. 

  4. Dean, R. G. and R. A. Dalrymple(1991), Water wave mechanic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Singapore. 

  5. KFRA(2005), Design of fishing port facility, Chapter 13.2, pp. 157-158. 

  6. KR(2009), Guidelines of FRP rules and application Chapter 7, pp. 1-57. 

  7. Miguel, L. P., L. Gregorio and C. Luis(2005), A review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VLFS) for coastal and offshore uses, Ocean engineering, Vol. 109, pp. 677-690. 

  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3), Structural design of FRP boat, Note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o. 2013-227, pp. 7-22. 

  9. NORSOK N-001(2001), Integrity of offshore structures-Serviceability limit states, Chapter 7, pp. 19-21. 

  10. Park, S. W., T. K. Lee and S. Y. Hong(2005), A Study on Preliminary Structural Design of Pontoon Type VLFS,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2, No. 6, pp. 644-653. 

  11. Suzuki, H.(2005), Overview of Mega float: Concept, design criteria, analysis and design, Marine Structures, Vol. 18, pp. 111-132. 

  12. Wang, C. M., T. Y. Wu, Y. S. Choo, K. K. Ang, A. C. Toh, W. Y. Mao and A. M. Hee(2006), Minimizing differential deflection in a pontoon-type,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via gill cells, Marine Structures, Vol. 19, Issue 1, pp. 70-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