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미자본(癸未字本) 『사시찬요(四時纂要)』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Gyemi Metal Type Sasichanyo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2, 2018년, pp.25 - 58  

남권희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대상본인 계미자본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조선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太宗)의 명에 의하여, 주조(鑄造)된 활자인 계미자(癸未字)(1403-1420)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서(農書)이다. 이제까지 동북아에서 알려진 "사시찬요(四時纂要)"의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 농가잡록(農家雜錄)이 수록되어 있고, 그 주제는 '농업', '농 부산품 가공', '의약 위생', '기구수리 보관', '상업 경영'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시찬요(四時纂要)"를 소개하고 분석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파악한 후에 나아가 판본간의 비교, 계미자 소자(小字)의 자형(字形), 조판기술(組版技術)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특히 책의 인면(印面)을 중심으로 글자를 소자(小字), 특소자(特小字), 극소자(極小字)로 구분하여 그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agriculutral book Gyemi Metal Type Sasichanyo which was produced in Jujaso(鑄字所), by early Joseon dynasty's king Taejo(太宗). It is the most advanced edition of Sasichanyo("四時纂要") among whole east-northern Asia, wh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시찬요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본인 계미자본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조선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太宗)의 명에 의하여, 주조(鑄造)된 활자인 계미자(癸未字)(1403-1420)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서(農書)이다. 이제까지 동북아에서 알려진 "사시찬요(四時纂要)"의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 농가잡록(農家雜錄)이 수록되어 있고, 그 주제는 '농업', '농 부산품 가공', '의약 위생', '기구수리 보관', '상업 경영' 등이다.
조선시대 초기, 계미자 인쇄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이상과 같은 여러 현상의 분설을 통하여 계미자 소자본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 판본은 동북아 농업사를 보완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조선시대 중앙주도의 금속활자 인쇄에 있어서 그 기술적 수준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이 개국한 후에 국가차원의 제도 정비, 학문적 기반조성, 농업생산의 확대 등을 통하여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수행하는 방법의 수단이 되는 관련 문헌의 편찬과 보급차원에서 금속활자 인쇄가 그 역할을 맡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미자를 통한 출판활동은 고려시대의 뛰어난 금속 활자 주조와 조판, 인출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고 이후 세종에 의하여 기술적 개량을 거듭한 끝에 본격적인 단계로 발전할 수 있었다.
사시찬요의 내용과 주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본인 계미자본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조선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太宗)의 명에 의하여, 주조(鑄造)된 활자인 계미자(癸未字)(1403-1420)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서(農書)이다. 이제까지 동북아에서 알려진 "사시찬요(四時纂要)"의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 농가잡록(農家雜錄)이 수록되어 있고, 그 주제는 '농업', '농 부산품 가공', '의약 위생', '기구수리 보관', '상업 경영'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시찬요(四時纂要)"를 소개하고 분석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파악한 후에 나아가 판본간의 비교, 계미자 소자(小字)의 자형(字形), 조판기술(組版技術)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특히 책의 인면(印面)을 중심으로 글자를 소자(小字), 특소자(特小字), 극소자(極小字)로 구분하여 그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Sung-Soo. 2017. An Analytic Study on the Publication of Gyemi Metal Movable-Type Woodblock-Printed Version -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etal Movable-Type Printing and Print Culture in East Asia II. Seong nam: AKS. 

  2. Fujimoto, Yukio. 2017.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Gyemi metal movable-type Sibchilsachangogumtongyo 11 and 12 in Japan - The Origin and Creativity of Metal Movable-Type Printing Culture II. Seong nam: AKS. 

  3. Fujimoto, Yukio. 2017.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Gyemi Metal Movable-type Chandohojujurye 1 and 2 in Japan -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etal Movable- Type Printing and Print Culture in East Asia II. Seong nam: AKS. 

  4. Son, Bo-Gi. 1970. Printing History of Korea - Culture History of Korea III ;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RIKS Korea University. 

  5. Ok, Young-Jeong. 2017. Metal Movable-Type Printing in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and Singanyupunyeokgeosamgjangmunseon -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etal Movable-Type Printing and Print Culture in East Asia II. Seong nam: AKS. 

  6. Yoon, Byung-Tae. 1992. "Movable Type Printing Culture of Joseon Dynasty." Essays in Celebartion of Hangsim Yoon Byung Tae ; Essays of Korean Bibliography. 

  7. Lee, Seung-Chul. 2017. A Study on the typeface of Gyemi Metal Movable-Type -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etal Movable-Type Printing and Print Culture in East Asia II. Seong nam: AKS. 

  8. Cho, Byung-Sun. 1992. "A Study About Which Books Did the Letters of Gyemi Metal Movable-type Came From." Quarterly Seojihakbo, No.7. 

  9. Cho, Byung-Sun. 1993. "A Study on the Number and Origination of Small Letters of Gyemi Metal Movable-Type." Quarterly Seojihakbo, No.11. 

  10. 조병순. 1990. "癸未字本 組版術의 殘影과 印出能力 ; 계미자본 조판술의 잔영과 인출능력. "季刊書誌學報" 第1號. 

  11. Cho, Byung-Sun. 1996. "A Study on Goryeoseojeokwon Metal Movable-Type Based on the Typesetting of Gyemi metal movable-type." Quarterly Seojihakbo, No.18. 

  12. 天野元之助. 1995. "唐の韓鄂 "四時纂要について"." 東洋史硏究, 第24卷 第2號. 

  13. Chun, Hye-Bong. 1994. "An Analysis on Gyemi Metal Movable-Type Version Songjop-yojunchongryu." Gyujanggak, No.16. 

  14. Chun, Hye-Bong. 1974. "A Comprehensive Study on National Treasures and Newly Discovered Books Related Gyemi Metal Movable-Type and Its Version." Seojihak, No.6. 

  15. Chun, Hye-Bong. 1986. "An Analysis of Sipchilsachangogumtongyo." Gyujanggak, No.9(1986). 

  16. Kim, Du-Jong. 1974. The Early Printing history of Korea. Seoul: Tamgudang. 

  17. 渡部武. 1982. "四時纂要 譯注稿 ; 中國古歲時記の硏究その二". 東京: 安田學園. 

  18. Min, Seong-Gi. 1988. A Study on the Agriculture of Joseon Dynasty. Seoul: Iljogak. 

  19. 石聲漢 著, 渡部武 譯. 1984. "中國農書が語る2100年 ; 中國古代農書評介". 東京: 思索社. 

  20. Son, Bo-gi. 1982. The Early Korean Typography. Seoul: Bojinjae. 

  21. Chun, Hye-Bong. 1990. The Printing History of Books. Seoul: Beomwoosa. 

  22. Han-e, Mouqiyu Annotation. 1981. Contrast and Annotation of SiShiZuanYao, Beijing; Nongyi press. 

  23. Gan gaku. 1961. Sizisanyo (reprited edition). Tokyo: YamamotoShote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