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호사설(星湖僿說)』의 형성 배경과 인용서목 분석
An Analysis on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Cited References 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 (星湖僿說)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7 no.4, 2016년, pp.411 - 441  

손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초록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대표적인 저술인 "성호사설"에 인용된 문헌 443종을 추출하여 인용문헌의 규모 및 문헌의 성격, 중국본의 비중, 최신본의 비중, 주제별 비중 등을 분석하였다. "성호사설" 인용문헌 443종을 살펴본 결과, 고려 조선본이 전체 23.3%, 중국본이 76.7%를 차지하였고, 중국본의 편찬시기를 살펴본 결과, 송대 이전 편찬본이 70% 이상을 차지한 반면, 명 청대 문헌은 2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의 주제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영역은 역사서류(歷史書類), 시문집류(詩文集類), 유교경전류(儒敎經典類), 소설필기류(小說筆記類)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호 이익은 이외에도 잡가류, 유가류, 지리류, 제도규정류, 서화음악류, 자전류, 전기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mposition background 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湖僿說), the representative work of Yi Ik(李瀷, pen name is Seongho 星湖, 1681-1763), then selected the 443 cited references in the book,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m such as the scales and characteristics of re...

주제어

참고문헌 (23)

  1. 李瀷. 1967. 星湖僿說. 서울: 慶熙出版社.(Yi, Ik. 1967. Seongho-saseol. Seoul: KyungHeeChulPanSa.) 

  2. 李瀷. 1997. 星湖全集. 서울: 민족문화추진회.(Yi, Ik. 1997. Seongho-jeonjib.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3. 李夏鎭. 2007. 六寓堂遺稿. 서울: 민족문화추진회.(Yi, Ha-Jin. 2007. Yugudang-yugo.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4. 김영선. 2003. 한국 유서의 서지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Young-Son. 2003. A Bibliographic Study on Yuso. Ph.D. Chung-Ang University.) 

  5. 김영진. 2004. 조선후기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Kim, Young-JIn. 2004. A Study of Ming and Qing Dynasty′s Short Pieces(小品) in the Late Joseon Period. Ph.D. Korea University.) 

  6. 김은슬. 2008. 한정록의 인용문헌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고문헌관리학과.(Kim, Eun-Seul. 2008. A Citation Analysis of Hanjeongnok. M.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7. 김채식. 2009.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Kim, Chae-Sik. 2009. A Study of Yi Kyukyeong′s Oju-Yeonmunjangjeon-Sango. Ph.D. Sungkyunkwan University.) 

  8. 김효진. 2012. 홍재전서의 인용문헌분석을 통한 정조의 독서 행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Hyo-Jin. 2012. A Study on Jeongjo′s reading behavior based on the citation analysis of HongJaeJeonSeo. M.A. Ewha Womans University.) 

  9. 윤재환. 2010. 매산 이하진의 삶과 문학 그리고 성호학의 형성. 서울: 문예원.(Yoon, Jae Hwan. 2010. A Study on the Poetry of Maesan Lee, Ha-Jin's. Seoul: MunYeWon.) 

  10. 민족문화추진회 편. 2007. 국역 성호전집. 서울: 민족문화추진회.(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2007. Korean Translations of Seongho-jeonjib.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11. 민족문화추진회 편. 2007. 신편 국역 성호사설. 파주: 한국학술정보.(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2007. (New Edition) Korean Translations of Seongho-saseol.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12. 최은숙. 1991. 지봉유설의 서지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Choi, Eun-Sook, 1991. A bibliogrphical Study on the Jibongryusol. M.A. Ewha Womans University.)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여주이씨 성호가문 전적.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2. Collection of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of Seongho's Yeoju Lee Family.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4. 강민구. 2016. 성호사설의 문헌 인용 양상에 대한 실증적 분석. 동방한문학, 67: 323-374.(Kang, Min-Gu. 2016. "An Empirical Analysis on Modality of References Cited in Seonghosaseol." Dong-Bang Korean Chinese Literature, 67: 323-374.) 

  15. 김소희. 2016. 성호사설의 이본에 대한 검토. 성호학보, 16.17: 203-257.(Kim, So-Hee. 2016. "A study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Seonghosaseol." Journal of the Seong Ho Studies, 16.17: 203-257.) 

  16. 김학수. 2005. 성호 이익의 학문연원. 성호학보, 1: 57-112.(Kim, Hak-Su. 2005. "Seongho Yi Ik's Academic Family Lines." Journal of the Seong Ho Studies, 1: 57-112.) 

  17. 노기춘. 2000. 산림경제의 인용문헌 분석고. 서지학연구, 19: 287-320.(Roh, Ki-Chun. 2000. "A study on the citation analysis of Sanlimkyungj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19: 287-320.) 

  18. 노기춘. 2006. 임원십육지 인용문헌 분석고. 서지학연구, 35: 231-271.(Roh, Ki-Chun. 2006. "A Study on Citation Analysis of Limwonsibyukji."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35: 231-271.) 

  19. 신인수. 1999. 연려실기술의 편찬자료에 관한 서지적 연구. 서지학보, 23: 113-161.(Shin, In Soo. 1999.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YenReoShillKiSul." SEOJIHAKBO, 23: 113-161.) 

  20. 윤재환. 2005. 매산 이하진의 시에 드러난 사실적 표현의 의미와 한계. 한문학보, 13: 207-235.(Yoon, Jae Hwan. 2005. "The meaning and Limit of realistic representation which appears in poem of Maesan Lee, Ha-Jin's." Han Mun Hak Bo, 13: 207-235.) 

  21. 이정효. 2013. 經書類抄의 인용방식에 관한 소고. 서지학연구, 54: 381-408. 

  22. 정만조. 2012. 성호학의 가문적 배경. 한국학논총, 37: 261-292.(Chung, Man-Jo. 2012.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learning of Seongho Yi-Ik." Korean Studies, 37: 261-292.) 

  23. 진재교. 2007. 이조 후기 차기체 필기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39: 387-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