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 개발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Mobile Phone Data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4, 2018년, pp.98 - 104  

곽호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교통정책본부) ,  송지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교통정책본부) ,  이인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교통정책본부) ,  이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교통정책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croscopic accident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o incorporate transportation safety into long-term transportation planning. In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exposure variable(e.g. a settled population) have been used as fundamental explanatory variable under the concept that each trip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는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류 특성 등의 요인으로부터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도로 구간 및 교차로 등 특정 도로 시설물에 기초한 미시적 분석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었으나, 이는 교통계획 단계부터 선제적으로 교통안전을 고려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모형 구축에 있어 유동인구 지표의 활용성 제시를 목적으로, 유동인구 지표를 노출 변수로 하는 단순회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모형의 적합도 비교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노출변수로 활용된 인구수, 가구수 자료에 대한 모형을 추가적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인구수 및 가구수 자료에 대한 개요는 Table 5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자료 기반의 유동인구 지표를 활용하여 도시 교통 안전 평가의 근거로 이용되는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 구축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사고 빈도수 예측에 대한 설명변수로 인구수, 가구수 등 사회경제지표와 관련된 변수들이 노출변수로서 활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출변수의 의미에 더 부합하는 유동인구 변수를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동통신 자료에 기반한 유동인구지표를 거시적 수준의 도시 교통 안전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 자료의 교통 분야 활용에 관한 연구와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동통신 자료에 기반한 유동인구지표를 거시적 수준의 도시 교통 안전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 자료의 교통 분야 활용에 관한 연구와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im et al.의 연구에서 존재인구란 무엇인가? 이에 Kim et al.의 연구에서는 특정 시간 및 공간 단위에 거주하거나활동하는 인구의 개념으로 존재인구를 정의하고, 이동통신 자료 전수화를 통해 존재인구를 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4). 
교통존 단위 또는 행정구역 단위의 거시적 교통사고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는 어디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인가? 최근 미국에서는 보다 선제적인 교통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교통 계획 수립 단계에서 교통안전을 고려하기 위한 법안(MAP-21)을 발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 단위 거시적 수준의 교통안전 평가 방안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에 교통존 단위 또는 행정구역 단위의 거시적 교통사고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교통 법규,단속, 교육 및 계도 등 장기적인 교통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1). 이러한 거시적 교통사고분석 모형에서는 통행 발생이 곧 사고 발생을 유발한다는 개념에 기초하여 분석 단위별 사회경제지표(인구수, 가구수 등)를 노출변수로 설정하여 가장 기본적인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유동인구 산정에 있어 이동통신 자료가 가지는 한계는 무엇인가? 에서는 유동인구 산정에 있어 이동통신 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통신이 발생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전수화 과정이 누락되어 실제 유동인구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3). 이에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Lee, M. Abdel-Aty and X. Jiang, "Multivariate Crash Modeling for Motor Vehicle and Non-motorized Modes at the Macroscopic Level", Accid. Anal. & Prev., Vol. 78, pp. 146-154, 2015. 

  2. J. H. Kim, Y. S. Ko and J. K. Kim, "Application and Implication of Mobile Big Data in Land and Transportation Fields", KRIHS Policy Brief, Vol. 499, pp. 1-6, 2015. 

  3. K. T. Kim, I. M. Lee, H-. C. Kwak and J. H. Min, "Application Study of Telecommunication Record Data in Floating Population Estimation", Seoul Studies, Vol. 16, No. 3, pp. 181-191, 2015. 

  4. K. T. Kim, I. Lee, H. C. Kwak and J. H. Min, "An Estimation of Occupancy Population Using the Expanded Mobile Phone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4, No. 3, pp. 222-233, 2016. 

  5. K. Kim, I. Lee, J. H. Min and H. C. Kwak, "Trip Generation Analysis Using Mobile Phone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8, No. 5, pp. 481-488, 2015. 

  6. A. Hadayeghi, A. S. Shalaby and B. N. Persaud,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Evaluating Safety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Transp. Res. Rec., Vol. 1840, pp. 87-95, 2003. 

  7. A. Naderan and J. Shahi, "Aggregate Crash Prediction Models: Introducing Crash Generation Concept", Accid. Anal. & Prev., Vol. 42, pp. 339-346, 2010. 

  8. A. Hadayeghi, A. S. Shalaby and B. N. Persaud, "Development of Planning Level Transportation Safety Tools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Poisson Regression", Accid. Anal. & Prev., Vol. 42, pp. 676-688, 2010. 

  9. T. Lee, H. C. Kwak, D-. K. Kim and S. Y. Kho, "Development of a Safety Performance Function for Expressway Tollg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3, No. 1, pp. 81-89, 2015. 

  10. S. K. Son, A. H. Cho and B. H. Park, "Truck Accident Models of Circular Intersections by Type of Accident and Conflict", J. Korean Soc. Saf., Vol. 32, No. 3, pp. 123-129, 2017. 

  11. S. S. Han and B. H. Park, "Accident Models of Circular Intersections by Weather Condition in Korea", J. Korea Soc. Saf., Vol. 27, No. 6, pp. 178-184, 2012. 

  12. S. P. Miaou,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k Accidents and Geometric Design of Road Sections: Poisson Versu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Accid. Anal. & Prev., Vol. 26, No. 4, pp. 471-482, 1994. 

  13. J. Fox,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s", Sage Publications, 1997. 

  14. B. K. Brimley, M. Saito and G. G. Schultz, "Calibration of Highway Safety Manual Safety Performance Function", Transp. Res. Rec., Vol. 2279, pp. 82-89, 2012. 

  15. D. L. McFadd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Washingt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