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산업에서의 주도권 이전: 중국의 부상과 우리나라의 쇠퇴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Leadership Shifts in Smart Phone Industry: Rise of China and Falling Behind of Korea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6 no.2, 2018년, pp.95 - 128  

곽기호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  이은주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은 2000년대 중후반 본격 보급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빠른 채택, 피쳐폰에서 축적한 기술력 및 수직 통합 체제와 프리미엄 제품 포지셔닝에 기반한 공격적 제품 마케팅 전략에 힘입어 2011년 스마트폰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한지 불과 4년만인 2015년 중국에 추격을 허용하였다. 이와 같은 빠른 산업 주도권 이전 현상을 논의하기 위해 본 연구는 추격 사이클의 관점에서 중국 스마트폰 산업의 부상을 견인한 기술, 수요, 그리고 제도 정책적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중국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및 우리나라의 실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온 칩 업체의 등장과 스마트폰 아키텍처모듈화는 스마트폰 산업 진입에 대한 중국 기업의 기술적 장벽을 크게 낮춤과 동시에 체계적 역설계를 통한 기술 학습을 촉진하는 기술적 기회로 작용하였다. 또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저가 보급형 중심의 세계 시장 성장과 같은 수요적 기회는 중국기업의 시장 개척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세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의 통신 기술자립화와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의 노력은 중국 스마트폰 기업의 기술 역량 제고와 시장 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적 기회의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기회의 창에 대해 중국 기업은 외부 시스템 온 칩의 전략적 활용, 공격적인 저가 보급형 세분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폰 외주 생산 확대 또는 부품 내재화를 통한 성능 향상 등의 전략적 대응을 통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반면 우리나라는 과거 성공 전략 고수에 따른 저가 제품 출시 지연, 강력한 수직 통합 체계 구축으로 인한 부품 조달 변경을 통한 제품 개선과 원가 절감 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산업 주도권을 중국에 넘겨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산업 주도권 이전 현상에 대한 최신 실증을 추가함으로써 추격 사이클 이론의 발전과 심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우리나라 스마트폰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 수립에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mid and late 2000s, the smartphones has been widely diffused and Korea ranked first in global smartphone market in 2011 thanks to its rapid adoption of Android operating system, technology capability accumulated in featurephone development, vertical integration on smartphone production and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까지 증가하며 중국 스마트폰 산업 전체 점유율의 90%에 육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상기 4대 기업을 중심으로 세 가지 기회의 창에 대한 중국 스마트폰 산업의 전략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 이러한 삼각측정법의 활용은 스마트폰 산업 주도권 이전과 관련한 실증의 연쇄(Chain of Evidence)를 구축함으로써 본 연구의 신뢰성도 제고하는데 기여하였다(Yin, 2014). 또한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을 제고하고, 연구 결과의 분석적 일반화를 위해 추격 사이클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후발주자의 전략적 대응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산업 주도권 이전 현상을 분석하였다 (Andrade, 2009; Beverland and Lindgreen, 2010) 마지막으로 내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 주도권 이전 기간(2012년~2017년 상반기) 전반에 걸쳐 관련 자료를 충분히 수집⋅분석하고자 하였다(Beverland and Lindgreen, 2010; Yin, 2014).
  • 또한 화웨이는 자사가 직접 생산이 어렵거나, 외부에 뛰어난 공급사가 존재하는 부품의 경우, 강력하면서도 신속한 전략적 제휴 추진을 통해 원가를 낮추고 공급사슬의 효율 성을 극대화하고자하였다. 일례로 화웨이는 2012년 이후 터치패널의 공급사를 대만의 TPK에서 중국의 O-film으로 전환할 때, 자사가 보유하고 있던 관련 기술을 제공하고, 상당한 발주물량을 약속하는 조건으로 공급 가격을 크게 낮춤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제고하였다(박래정 and 남효정, 2013a).
  • 본 연구는 최근 스마트폰 산업에서 발생한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의 주도권 이전의 원인과 과정을 후발국 추격과 주도권 이전을 촉진하거나 견인하는 세 가지 기회의 창과 이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대응과 우리나라의 실책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텍과 같은 시스템 온 칩 업체의 지속적인 등장과 스마트폰 아키텍처의 모듈화는 중국 스마트폰 산업 진입에 대한 기술적 장벽을 크게 낮춤과 동시에 체계적 역설계를 통한 기술 학습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기술적 기회로 작용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ee and Malerba(2017)의 ‘추격 사이클 이론(Catch-up Cycle Theory)’에 기반하여 최근 빠르게 일어난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의 스마트폰 시장 주도권 이전의 원인과 그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미 추격 사이클 이론과 관련한 새로운 실증(Novel Evidence)과 경험적 설명(Empirically-grounded Explanation)을 위해 Giachetti and Marchi(2017)에서 휴대폰 산업의 주도권 이전을 논의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은 무엇인가?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기존의 피쳐폰(Feature Phone)이 가진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 외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진화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탑재하여 다양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E-mail, 문서 작성, 카메라, MP3 등의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김민식, 2002; 김지연 and 이동기, 2011; Giachett and Marchi, 2017).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은 2000년 겨울 핀란드 노키아가 개발한 심비안 OS를 탑재한 Nokia 9210이나(Kostianinen et al., 2011), 본격적인 시장은 2000년대 중후반 RIM의 블랙베리 (2004년)와 애플의 아이폰(2007년) 출시, 그리고 2008년의 구글 안드로이드 OS의 보급 이후 형성되었다(Giachett and Marchi, 2017; 권기덕 외, 2010).
우리나라는 후발주자임에도 스마트폰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인가? 5%)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서울 경제, 2010; 조선일보, 2009) 스마트폰 시장에 뒤늦게 진입하였다(그림 2). 그러나 우리나 라는 후발주자(Latecomer)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피쳐폰 시장에서 구축한 하드웨어 경쟁력과 수직 통합적 부품 공급사슬관리 역량의 활용을 통한 신속한 제품 개발1) , 통신 서비스 기업과의 오랜 관계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 및 구글과의 협력을 통한 모바일 생태계 편입 등 안드로이드 OS 채택 효과 극대화2) 를 통해 애플과 RIM, 노키아 등을 추격하 였다(Bloomberg, 2013; Giachetti and Marchi, 2017; 강승원 et al., 2014; 박남규 et al.
스마트폰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기존의 피쳐폰(Feature Phone)이 가진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 외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진화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탑재하여 다양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E-mail, 문서 작성, 카메라, MP3 등의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김민식, 2002; 김지연 and 이동기, 2011; Giachett and Marchi, 2017).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은 2000년 겨울 핀란드 노키아가 개발한 심비안 OS를 탑재한 Nokia 9210이나(Kostianin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