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대사증후군 예측인자로서 혈중 Non H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 콜레스테롤 비의 의의
Significance of Non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o HDL-cholesterol Ratio as Predi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Elderl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3, 2018년, pp.245 - 252  

홍승복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임상병리과) ,  신경아 (신성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예측인자로서 혈중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실시한 65세 이상 노인을 1,5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기준에 따라 진단하였다. 복부비만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st Pacific Region에서 제시하는 아시아-태평양인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Non HDL-콜레스테롤은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대사증후군 예측력은 Non HDL-콜레스테롤보다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관련요인을 보정한 후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은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의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높았다. 또한 대사증후군 발병을 예측하는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의 적정 기준값은 2.8이었다.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사증후군 위험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실용적인 지표가 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of Non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o HDL-cholesterol ratio as a metabolic syndrome predictor for the elderly in Korea. 1,543 elderly persons aged 65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Gyeonggi Regional General Hospital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사망의 예측지표로서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을 평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의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예측인자로서 혈중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병 예측능과 적정 기준값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n HDL-콜레스테롤 측정의 장점은? 한편, 총 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의 차이로 계산되는 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non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Non HDL-콜레스테롤)은 최근에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평가하는 새로운 지표로 제안되었다[6-8].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중 이상지질혈증을 평가하는 지표는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있으며, Non HDL-콜레스테롤 측정은 지질 대사이상을 유발하는 초저밀도 지질 단백질(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중간 밀도 지질 단백질(intermediate density lipoprotein, ID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 지질 단백질(a) (Lipoprotein (a))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 Keys 등[9]은 24년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Non HDL-콜레스테롤과 관상동맥질환간의 관련성이 HDL-콜레스테롤보다 높다고 보고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내당능장애, 이상지질혈증, 복부비만의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이 군집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공통된 원인은 인슐린저항성으로 보고되고 있다[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년 남성 13.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간 두 지표가 임상에 적용하는데 겪는 어려움은? 그러나 이 지표들은 쉽게 적용 가능한 지표이기는 하나 국가와 인종, 성별, 연령 등의 차이에 따라 일관되게 임상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까지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사망의 예측지표로서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을 평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Non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비율의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Reaven GM.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syndrome X): an expanded definition. Annu Rev Med. 1993; 44:121-131. 

  2. Park HS, Lee SY, Kim SM, Han JH, Kim DJ.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es Care. 2006;29:933-934. 

  3. Lim JW, Kim SY, Ke SS, Cho BL. The prevalence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elderly in general population. Korean J Fam Med. 2011;32:128-134. https://doi.org/10.4082/2011;32:128. 

  4. Guize L, Thomas F, Pannier B, Bean K, Danchin N, Benetos A.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mortality in a French population of 62,000 subjects. Bull Acad Natl Med. 2006;190:685-697. 

  5. Miccoli R, Bianchi C, Odoguardi L, Penno G, Caricato F, Giovannitti MG, et al.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Italian adults according to ATP III definition.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5;15:250-254. 

  6. Kawamoto R, Oka Y, Tomita H, Kodama A. Non-HDL cholesterol as a predictor of carotid atherosclerosis in the elderly. J Atheroscler Thromb. 2005;12:143-148. 

  7. Cui Y, Blumenthal RS, Flaws JA, Whiteman MK, Langenberg P, Bachorik PS, et al.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Arch Intern Med. 2001;161:1413-1419. 

  8. Lu W, Resnick HE, Jablonski KA, Jones KL, Jain AK, Howard WJ, et al. Non-HDL cholesterol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es: the strong heart study. Diabetes Care. 2003;26:16-23. 

  9. Keys A, Karvonen MJ, Punsar S, Menotti A, Fidanza F, Farchi G. HDL serum cholesterol and 24-year mortality of men in Finland. Int J Epidemiol. 1984;13:428-435. 

  10. Menotti A, Spagnolo A, Scanga M, Dima F. Multivariate prediction of coronary deaths in a 10 year follow-up of an Italian occupational male cohort. Acta Cardiol. 1992;47:311-320. 

  11. Lee KH, Son JC, Kim BT, Choi BH, Hye JS, Cha CK, et al. Non-HDL Cholesterol as a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Korean J Obes. 2007;16:102-110. 

  12. Salazar MR, Carbajal HA, Espeche WG, Leiva Sisnieguez CE, Balbin E, Dulbecco CA, et al. Relation among the plasma triglyceride/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entration ratio, insulin resistance, and associat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men and women. Am J Cardiol. 2012;109:1749-1753. 

  13. Salazar MR, Carbajal HA, Espeche WG, Aizpurua M, Leiva Sisnieguez CE, Leiva Sisnieguez BC, et al. Use of the plasma triglyceride/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to identify cardiovascular disease in hypertensive subjects. J Am Soc Hypertens. 2014;8:724-731. 

  14. Jeppesen J, Hein HO, Suadicani P, Gyntelberg F. High triglycerides/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schemic electrocardiogram changes,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Am Heart J. 2003;145:103-108. 

  15. Burchfiel CM, Laws A, Benfante R, Goldberg RJ, Hwang LJ, Chiu D, et al. Combined effects of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on 18-year risk of atherosclerotic disease. Circulation. 1995;92:1430-1436. 

  16.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112:2735-2752.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p19-20. 

  18. Lee SW, Kim HC, Lee HS, Suh I. Thirty-year trends in mortality from cerebrovascular diseases in Korea. Korean Circ J. 2016;46:507-514. 

  19. Tsay YC, Chen CH, Pan WH. Ages at onset of 5 cardiometabolic diseases adjusting for nonsusceptibility: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syndrome. Am J Epidemiol. 2016;184:366-377. 

  20. Wilson PW, D'Agostino RB, Levy D, Belanger AM, Silbershatz H, Kannel WB. Predic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using risk factor categories. Circulation. 1998;97:1837-1847. 

  21. Baigent C, Blackwell L, Emberson J, Holland LE, Reith C, Bhala N,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more intensive lowering of LDL cholesterol: a meta-analysis of data from 170,000 participants in 26 randomised trials. Lancet. 2010;376:1670-1681. 

  22. Preiss D, Neely D. Biochemistry laboratories should routinely report non-HDL-cholesterol. Ann Clin Biochem. 2015;52(Pt 6):629-631. 

  23. Khan SH, Asif N, Ijaz A, Manzoor SM, Niazi NK, Fazal N. Status of non-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mong subjects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J Pak Med Assoc. 2018;68:554-558. 

  24. Di Angelantonio E, Sarwar N, Perry P, Kaptoge S, Ray KK, Thompson A, et al. Major lipids, apolipoproteins, and risk of vascular disease. JAMA. 2009;302:1993-2000. 

  25. Ginsberg HN, Zhang YL, Hernandez-Ono A. Regulation of plasma triglycerides in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Arch Med Res. 2005;36:232-240. 

  26. Marotta T, Russo BF, Ferrara LA. Triglyceride-to-HDL-cholesterol ratio and metabolic syndrome as contributors to cardiovascular risk in overweight patients. Obesity (Silver Spring). 2010;18:1608-1613. 

  27. McLaughlin T, Reaven G, Abbasi F, Lamendola C, Saad M, Waters D, et al. Is there a simple way to identify insulin-resistant individuals at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ardiol. 2005;96:399-404. 

  28. Kannel WB, Vasan RS, Keyes MJ, Sullivan LM, Robins SJ. Usefulness of the triglyceride-high-density lipoprotein versus the cholesterol-high-density lipoprotein ratio for predicting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metabolic risk (from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Am J Cardiol. 2008;101:497-501. 

  29. Kim-Dorner SJ, Deuster PA, Zeno SA, Remaley AT, Poth M. Should triglycerides and the triglycerides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be used as surrogates for insulin resistance? Metabolism. 2010;59:299-304. 

  30. Salazar MR, Carbajal HA, Espeche WG, Aizpurua M, Maciel PM, Reaven GM. Identification of cardiometabolic risk: visceral adiposity index versus triglyceride/HDL cholesterol ratio. Am J Med. 2014;127:152-157. 

  31. Song DK, Lee H, Sung YA, Oh JY. Triglycerides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can predic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young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Yonsei Med J. 2016;57:1404-1411. 

  32. Murguia-Romero M, Jimenez-Flores JR, Sigrist-Flores SC, Espinoza-Camacho MA, Jimenez-Morales M, Pina E, Mendez- Cruz AR, et al. Plasma triglyceride/HDL-cholesterol ratio,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metabolic risk in young adults. J Lipid Res. 2013;54:2795-2799. 

  33. Eckel RH, Yost TJ, Jensen DR. Alterations in lipoprotein lipase in insulin resistanc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5;19(Suppl 1):S16-21. 

  34. Grundy SM. Hypertriglyceridemia, atherogenic dyslipidemia,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l. 1998;81:18-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