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산 후 여성의 융합적인 성역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the Converging Experience of Women's Gender Role after Childbirth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421 - 430  

이수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채린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신기수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출산 후 여성이 경험하는 성역할과 모성 역할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개인이 경험한 의미에 초점을 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출산 후 8주에서 1년 이내의 여성 17명이다. 참가자의 평균연령은 38.1세로 5명의 초산부와 12명의 경산부이었다. 참가자의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융합적인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 결과, 신체의 변화와 고통, 그저 힘이 듦, 기대와 현실의 차이, 남편과 사회로부터의 고립감, 모성이자 여성인 어머니를 생각함, 몸과 마음의 아픔이 승화됨, 여성과 모성의 융합과 해리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출산 후 여성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구성함으로 출산 후 여성의 역할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생애주기별 여성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여성의 다양한 성역할 규명이 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that focus on the meaning of what individuals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gender role of women after childbir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7 women who gave a birth from 8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o a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반면에 본 연구 참여자들은 임신 전 인식하였던 여성의 성 역할과 모성의 성역할을 해리시켜, 여성과 모성에 대한 정체성을 구별하고자 하였다. 모성으로의 정체성은 임신과 출산에 따른 호르몬의 생리적 변화와 여성이 속해 있는 사회 환경적 문화 그리고 아기를 양육하는 경험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성의 성역할이자 여성과 분리될 수 없는 전체 인격의 일부분이다[29].
  • 본 연구자들은 석사 또는 박사과정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한 자들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대상자, 우울증 산부와 고위험 임산부와의 상담경험을 비롯하여 10년 내외의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료수집에 앞서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여성으로서의 성역할에 대해 어떤 선입견을 갖고 있는지 반추해 보았으며 개방적이고 비구조적인 질문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토의를 하였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내적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54개의 주제와 20개의 주제모음에 따라 신체의 변화와 고통, 그저 힘이 듦, 기대와 현실의 차이, 남편과 사회로부터의 고립감, 모성이자 여성인 어머니를 생각함, 몸과 마음의 아픔이 승화됨 그리고 여성과 모성의 융합과 차이의 7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의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인이 경험하는 그대로의 의미에 중점을 두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여성들의 여성과 모성의 역할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함으로 츨산 후 여성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출산 후 여성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 환경적 변화는 개념에 따라 그 의미가 완전히 구분되어 있기 보다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 환경적 세 축이 긴밀하게 연관된 경험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을 경험한 산욕기 이후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의미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의 질문은 “당신이 출산후 여성으로서 경험한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성 역할은 무엇인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내적 경험을 탐색하고 여성이자 모성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그들의 경험을 이해함으로 출산 후 여성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또한 본 연구의 엄정성을 기하기위해서 Linclon & Guba [13]가 제시한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을 고려하면서 연구의 질을 관리하였다. 참여자와의 면담 시 제스처 등을 필사와 함께 기록함으로 생생하고 충실하게 사실적 가치를 보존하도록 하였다. 적용성과 중립성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출산 후 여성 3인에게 분석 결과를 점검하였으며 그 결과 분석 결과에 공감한다는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은 1960년대 자신의 성별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2] 되었으며 현재는 성적 지향, 즉 동성애나 양성애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3]. 성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전자와 호르몬을 비롯한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제시되고 있는데, 사회․환경적 요인은 영유아가 성장, 발달하는 과정 속에서 가족, 권위자 또는 대중매체 등의 영향력에 의해 성정체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본 논문에서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융합적인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 결과 도출된 것은 무엇인가? 1세로 5명의 초산부와 12명의 경산부이었다. 참가자의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융합적인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 결과, 신체의 변화와 고통, 그저 힘이 듦, 기대와 현실의 차이, 남편과 사회로부터의 고립감, 모성이자 여성인 어머니를 생각함, 몸과 마음의 아픔이 승화됨, 여성과 모성의 융합과 해리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출산 후 여성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구성함으로 출산 후 여성의 역할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에 대한 내적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고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출산 후 여성은 임신전과는 전혀 다른 신체적, 심리적, 사회 환경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여성의 역할에서 모성으로의 역할로 융합됨을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임신 전 인식하고 있었던 여성의 성역할과 출산 후 과업으로 주어진 모성의 성역할을 분리함으로 여성성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출산 후 여성과 모성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구조화함으로 출산 후 여성의 문제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A. Orshan. (2008). Maternity, newborn, and women's health nursing: comprehensive care across the lifespan. Philadelphis US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1041-1192 

  2. L. Messinger & D. F. Morrow. (2006). Case studies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expression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85-90. 

  3. N. R. Carlson & C. D. Heth. (2009).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ur (4th ed.), Toronto Canada: Pearson;1-720. 

  4. H. P. Halpern. (2015). Parents, gender ideology and gendered behavior as predictors of children's gender-role attitudes: A longitudinal exploration. Sex Roles. 74, 527. DOI:10.1007/s11199-015-0539-0 

  5. J. Money & P. Tucker. (1975). Sexual signatures: On being a man or a woman. Boston USA: Little;742-744. 

  6. S. A. Basow. (1992). Gender: Stereotypes and roles. Belmont USA: Thomson Brooks/Cole Publishing Co:1-447. 

  7. S. T. Fiske, A. J. C. Cuddy, P. S. Glick & J. Xu, (2002). J. A model of (often mixed) stereotype content: Competence and warmth respectively follow from perceived status and compet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878-890 

  8. M. Bertrand, E. Kamenica & J. Pan. (2015). Gender identity and relative income within household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0, (2), 571-614. DOI:10.1093/qje/qjv001 

  9. E. N. Glenn, G. Chang G & l. R. Forcey. (2016). Mothering: Ideology, experience, and agency. New York. London: Routledge;95-210. 

  10. R. T. Mercer. (1995). Becoming a mother: Research on maternal identity from Rubin to the present. New York USS: Springer Publishing Compan;1-388. 

  11. T. Mapp. (2008). Understanding phenomenology: the lived experience.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6, (5), 308-311. 

  12. P. F. Colaizzi.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onald S. Valle & mark King (eds.), Experiment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1-6. 

  13. E. G. Guba & Y. S. Lincoln.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 163-194. 

  14. J. W. Yang & I. S. Jung. (2018). Convergence effect of spouse'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rimipara.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 (1), 171-180. DOI:10.15207/JKCS.2018.9.1.171 

  15. S. C. Choi, J. Y. Kim & K. B. Kim. (2001). Analysis of "Adjumma"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in Korean cultur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 (2), 327-347. 

  16. K. S. Kim. (2018). The aspect of extension and use of kinship terms of address-in the center of uncle, aunt.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3, (1), 1-20. DOI:10.18855/lisoko.2018.43.1.001 

  17. A. L. Erickson. (2014). Mistresses and marriage: or, a short history of the Mrs. In History Workshop Journal. 78, (1), 39-57. DOI:10.1093/hwj/dbt002 

  18. S. Y. Son. (2014). A research on female role image from a female perspective-focusing on TV commercial cas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44, 231-241. 

  19. E. E. LeMasters. (1957). Parenthood as crisis. Marriage and family living. 19, (4), 352-355. 

  20. B. D. Doss & G. K. Rhoades. (2017).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mpact on couples' romantic relationship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13, 25-28. DOI:10.1016/j.copsyc.2016.04.003 

  21. M. Myrskyla & R. Margolis. (2014).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kids. Demography. 51, (5), 1843-1866. DOI:10.1007/s13524-014-0321-x 

  22. E. S. Kluwer. (2010). From partnership to parenthood: A review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Family Theory & Review. 2, (2), 105-125. 

  23. J. E. Stets & P. J. Burke. (2000). Identity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3, (3), 224-237 .DOI:10.2307/2695870 

  24. D. H. J. Morgan. (2014). Social theory and the Family (RLE Social Theory). Routledge. 

  25. S. H. Lee. (2011). Korean women's 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oral life histories. Issues in Feminism. 4, 59-99. 

  26. H. H. Jung. (2011). Women of Korean society. Feminism Theory. 25, 233-240. 

  27. G. W. Bonham. (2017). Women, wives, mothers: Values and options. New York. London: Routledge;17-30. 

  28. J. Y. Lee & H. Y. Kim. (2018). Development of mobile appication on breastfeed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risk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 (1), 357-364. DOI:10.15207/JKCS.2018.9.6.357 

  29. J. E. Crowley. (2014). Staying at home or working for pay? Attachment to modern mothering identities. Sociological Spectrum. 34, (2), 114-135. DOI:10.1080/02732173.2014.878605 

  30. C. B. Kim & K. S. Kim. (2017). The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Focus on the experience of family management style.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 (1), 257-271. DOI:10.15207.JKCS.2017.8.10.2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