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민감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돌연변이 균주에서 glycine betaine의 저온 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ies of cold resistant glycine betaine effect on cold sensitive Bacillus subtilis mutant strai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4 no.3, 2018년, pp.200 - 207  

김도형 (배재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상수 (배재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높은 염분 농도에서 glycine betaine은 Bacillus subtilis 안으로 유입되어 세포 생장이 지속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온에서도 glycine betaine이 세포 생장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에서 Bacillus subtilis의 생장을 저해시키는 세포 대사 활동으로는 세포막 운송과 단백질 합성을 들 수 있다. 세포막 구조와 관련하여 저온에서 세포막 운송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들로는 bkdR과 des가 있고,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RNA helicase 유전자인 ydbR과 yqfR들은 저온 민감성을 보인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 저온 민감성 유전자 결손 세포들에 대한 glycine betaine의 효과를 조사하여 저온에서의 glycine betaine 생리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 glycine betaine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야생형 Bacillus subtilis와 ydbR과 yqfR 결손 균주의 저온생장에 큰 차이를 보였다($T_d$차이 190~686 min). 반면에 bkdR이나 des 결손균주의 경우에는 glycine betaine 존재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lycine betaine의 전구체인 choline으로 대치하여도 저온에서의 생장은 같은 결과를 보였다. Glycine betaine의 영향이 세포막 구조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 bkdR과 des 결손균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세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Triton X-100과 N-lauryl sarcosine 세제에 의해 bkdR 결손 균주가 야생형에 비해 더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bkdR 결손이 저온에서 막 구조를 변형하여 glycine betaine의 투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high salt concentration, glycine betaine is transported into Bacillus subtilis and growing rate of the cell is not suppressed. Also according to recent studies, cell growth is maintained normal growth rate at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results in a stress response of Bacillus subtilis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lycine betaine의 전구체인 choline으로 대치하여도 저온에서의 생장은 같은 결과를 보였다. Glycine betaine의 영향이 세포막 구조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 bkdR과 des 결손 균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세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Triton X-100과 N-lauryl sarcosine 세제에 의해 bkdR 결손 균주가 야생형에 비해 더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bkdR 결손이 저온에서 막 구조를 변형하여 glycine betaine의 투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세포막 구조와 관련하여 저온에서 세포막 운송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들로는 bkdR과 des가 있고,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RNA helicase 유전자인 ydbR과 yqfR들은 저온 민감성을 보인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 저온 민감성 유전자 결손 세포들에 대한 glycine betaine의 효과를 조사하여 저온에서의 glycine betaine 생리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 glycine betaine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야생형 Bacillus subtilis와 ydbR과 yqfR 결손 균주의 저온생장에 큰 차이를 보였다(Td차이 190~686 min).
  • Choline은 glycine betaine의 전구물질로 작용하며 Bacillus subtilis 세포 내로 흡수되어 glycine betaine을 생합성 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choline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glycine betaine과 같은 효과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온에서 choline이 Bacillus subtilis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온 민감성 유전자 bkdR과 des가 결손된 균주와 야생형 균주 JH642를 20°C에서 SMM broth로 진탕 배양하여 생장을 측정하였다.
  • , 2006). 따라서 저온 민감성 돌연변이로 세포막의 지질 성분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로 bkdR과 des와 RNA 구조 형성과 관련이 있는 RNA helicase 유전자인 ydbR과 yqfR을 대상으로 glycine betain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 이와 같은 glycine betaine의 저온에서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야생형 Bacillus subtilis와 저온에 민감한 생장을(37°C에서 15~20°C로 온도 변화에 민감성을 보이는 생장) 보이는 여러 돌연변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저온 조건에서 glycine betaine과 그 전구체인 choline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lycine betaine을 생산하지 못하는 Bacillus subtilis는 무엇을 통해 glycine betaine를 사용하는가? Bacillus subtilis는 glycine betaine을 생산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흡수하여 사용하거나 전구체인 choline으로부터 합성하여 사용한다(Bremer, 2002). Glycine betaine은 3개의 삼투압 유도성 수송 시스템인 Opu 수송체가 있는데, 이들은 OpuA, OpuC, OpuD로 glycine betaine를 수송한다(Bremer and Krämer, 2000; Bremer, 2002; Ziegler, 2010).
glycine betaine의 Bacillus subtilis 생장이 염 농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 1994). 이와 같이 세포 내에 축적된 물질들은 세포의 기능이나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세포 내의 삼투압을 유지시킨다(Krempf and Bremer, 1998; Bremer and Krämer, 2000). 따라서 glycine betaine은 Bacillus subtilis 생장이 염 농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가능하게 한다.
Opu 수송체에 의하여 수송된 glycine betaine는 무엇으로 작용해 다양한 염 농도 조건에서도 생장이 지속되는가? Glycine betaine은 3개의 삼투압 유도성 수송 시스템인 Opu 수송체가 있는데, 이들은 OpuA, OpuC, OpuD로 glycine betaine를 수송한다(Bremer and Krämer, 2000; Bremer, 2002; Ziegler, 2010). 이와 같이 Opu 수송체에 의하여 수송된 glycine betaine은 삼투보호제로 작용하여 다양한 염 농도 조건에서도 생장이 지속된다. 적절한 삼투보호제가 없을 경우 삼투조절이 가능한 proline를 합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yayauch H, Larijani B, Alonso A, and Goni FM. 2006. Detergent solubilization of phosphatidylcholine bilayers in the fluid state: influence of the acyl chain structure. Biochim. Biophys. Acta 1758, 190-196. 

  2. Altabe SG, Aguilar P, Caballero GM, and de Mendoza D. 2003. The Bacillus subtilis acyl lipid desaturase is a ${\Delta}5$ desaturase. J. Bacteriol. 185, 3228-3231. 

  3. Beckering CL, Steil L, Weber MHW, Volker U, and Marahiel MA. 2002.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the cold shock response in Bacillus subtilis. J. Bacteriol. 184, 6395-6402. 

  4. Boch J, Kempf B, and Bremer E. 1994. Osmoregulation in Bacillus subtilis: synthesis of the osmoprotectant glycine betaine from exogenously provided choline. J. Bacteriol. 176, 5364-5371. 

  5. Boch J, Kempf B, Schmid R, and Bremer E. 1996. Synthesis of the osmoprotectant glycine betaine in Bacillus subtilis: characterization of the gbsAB genes. J. Bacteriol. 178, 5121-5129. 

  6. Bremer E. 2002. Adaptation to changing osmolarity, pp. 385-391. In Sonenshein AL, Hoch JA, and Losick R. (eds.), Bacillus subtilis and its closest relatives. ASM Press, Washington, DC, USA. 

  7. Bremer E and Kramer R. 2000. Coping with osmotic challenges: osmoregulation through accumulation and release of compatible solutes in bacteria, pp. 79-97. In Storz G and Hengge-Aronis R. (eds.), Bacterial stress responses. ASM Press, Washington, DC, USA. 

  8. Brigulla M, Hoffmann T, Krisp A, Volker A, Bremer E, and Volker U. 2003. Chill induction of the SigB-dependent general stress response in Bacillus subtilis and its contribution to low-temperature adaptation. J. Bacteriol. 185, 4305-4314. 

  9. Brill J, Hoffmann T, Bleisteiner M, and Bremer E. 2011a. Osmotically controlled synthesis of the compatible solute proline is critical for cellular defense of Bacillus subtilis against high osmolarity. J. Bacteriol. 193, 5335-5346. 

  10. Brill J, Hoffmann T, Putzer H, and Bremer E. 2011b. T-box-mediated control of the anabolic proline biosynthetic genes of Bacillus subtilis. Microbiology 157, 977-987. 

  11. Budde I, Steil L, Scharf C, Volker U, and Bremer E. 2006. Adaptation of Bacillus subtilis to growth at low temperature: a combined transcriptomic and proteomic appraisal. Microbiology 152, 831-853. 

  12. Chen TH and Murata N. 2011. Glycinebetaine protects plants against abiotic stress: mechanism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Plant Cell Environ. 34, 1-20. 

  13. Cybulski LE, Albanesi D, Mansilla MC, Altabe S, Aguilar PS, and de Mendoza D. 2002. Mechanism of membrane fluidity optimization: isothermal control of the Bacillus subtilis acyl-lipid desaturase. Mol. Microbiol. 45, 379-388. 

  14. Debarbouille M, Gardan R, Arnaud M, and Rapoport G. 1999. Role of BkdR, a transcriptional activator of the sigL-dependent isoleucine and valine degradation pathway in Bacillus subtilis. J. Bacteriol. 181, 2059-2066. 

  15. Feller G and Gerday C. 2003. Psychrophilic enzymes: hot topics in cold adaptation. Nat. Rev. Microbiol. 1, 200-208. 

  16. Hoffmann T and Bremer E. 2011. Protection of Bacillus subtilis against cold stress via compatible-solute acquisition. J. Bacteriol. 193, 1552-1562. 

  17. Holtmann G, Bakker EP, Uozumi N, and Bremer E. 2003. KtrAB and KtrCD: two $K^+$ uptake systems in Bacillus subtilis and their role in adaptation to hypertonicity. J. Bacteriol. 185, 1289-1298. 

  18. Holtmann G and Bremer E. 2004. Thermoprotection of Bacillus subtilis by exogenously provided glycine betaine and structurally related compatible solutes: involvement of Opu transporters. J. Bacteriol. 186, 1683-1693. 

  19. Hunger K, Beckering CL, Wiegeshoff F, Graumann PL, and Marahiel MA. 2006. Cold-induced putative DEAD-box RNA helicase CshA and CshB are essential for cold adaptation and interact with cold shock protein B in Bacillus sutilis. J. Bacteriol. 188, 240-248. 

  20. Kaan T, Homuth G, Mader U, Bandow J, and Schweder T. 2002. Genome-wide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the Bacillus subtilis cold-shock response. Microbiology 148, 3441-3455. 

  21. Kappes RM, Kempf B, Kneip S, Boch J, Gade J, Meier-Wagner J, and Bremer E. 1999. Two evolutionarily closely related ABC transporters mediate the uptake of choline for synthesis of the osmoprotectant glycine betaine in Bacillus subtilis. Mol. Microbiol. 32, 203-216. 

  22. Kempf B and Bremer E. 1998. Uptake and synthesis of compatible solutes as microbial stress responses to high osmolality environments. Arch. Microbiol. 170, 319-330. 

  23. Kim DH and Lee SS. 2018. Cold shock sensitiv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mutants deleted for genes involved in fatty acid synthesis. Korean J. Microbiol. 54, 9-17. 

  24. Nau-Wagner G, Opper D, Rolbetzki A, Boch J, Kempf B, Hoffmann T, and Bremer E. 2012. Genetic control of osmoadaptive glycine betaine synthesis in Bacillus subtilis through the choline-sensing and glycine betaineresponsive GbsR repressor. J. Bacteriol. 194, 2703-2714. 

  25. Oh EH and Lee SS. 2010. Cold sensitive growth of deletion mutants of DEAD-box RNA helicase genes in Bacillus subtilis. Korean J. Microbiol. 46, 233-239. 

  26. Rodrigues DF and Tiedje JM. 2008. Coping with our cold planet. Appl. Environ. Microbiol. 74, 1677-1686. 

  27. Shivaji S and Prakash JS. 2010. How do bacteria sense and respond to low temperature? Arch. Microbiol. 192, 85-95. 

  28. Strocchi M, Ferrer M, Timmis KN, and Golyshin PN. 2006. Low temperature-induced systems failure in Escherichia coli: insights from rescue by cold-adapted chaperones. Proteomics 6, 193-206. 

  29. Whatmore AM, Chudek JA, and Reed RH. 1990. The effects of osmotic up shock on the intracellular solute pools of Bacillus subtilis. J. Gen. Microbiol. 136, 2527-2535. 

  30. Ziegler C, Bremer E, and Kramer R. 2010. The BCCT family of carriers: from physiology to crystal structure. Mol. Microbiol. 78, 1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