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한 물/에탄올,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특성 연구 : 활동도계수모형 및 Generalized Maxwell Stefan 모형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Ethanol and Water/Isopropyl Alcohol Mixtures through Zeolite 4A Membranes: Activity Coefficient Model and Maxwell Stefan Model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4 no.3, 2018년, pp.239 - 248  

오웅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정재칠 ((주)파인텍) ,  이정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여정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이다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박영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현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이동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조철희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문종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에서 개발한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하여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단일 성분 및 혼합물의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분리막은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제막하였고, Si/Al 비율이 1인 LTA 구조에 $Na^+$를 이온교환하여 약 $4{\AA}$의 기공크기를 갖고 있으며, 강한 친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EM, porosimetry, BET, 압축강도계를 이용하였다. 다양한 온도 및 농도 조건 실험을 통해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이 물/에탄올(분리계수 3,000 이상) 및 물/이소프로필알코올(분리계수 1,500 이상) 혼합물로 부터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동도계수, Generalized Maxwell Stefan 모형 및 Dusty Gas 모형을 이용하여 단일성분 및 혼합물의 투과증발 거동을 모사하였으며,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상수추정을 통하여 분리층의 흡착 및 확산상수를 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ervaporation experiments of water, ethanol and IPA (Isopropyl alcohol) single components and water/ethanol, water/IPA mixtures were carried out using zeolite 4A membranes developed by Fine Tech Co. Ltd. Those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hydrothermal synthesis (growth in hydrothermal...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를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이 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코올로부터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CM, GMS 모형 및 DGM 등을 적용하여 제올라이트 분리막에서 단일 및 혼합 성분 투과증발 거동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GA를 이용한 상수추정(parameter estimation)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흡착상수 및 확산상수를 구하였고,추정된 상수를 개발된 모형에 적용하여 투과플럭스 및 선택도 등을 계산하였다.
  • ACM, GMS 모형 및 DGM 등을 적용하여 제올라이트 분리막에서 단일 및 혼합 성분 투과증발 거동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GA를 이용한 상수추정(parameter estimation)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흡착상수 및 확산상수를 구하였고,추정된 상수를 개발된 모형에 적용하여 투과플럭스 및 선택도 등을 계산하였다. 물/에탄올 혼합물의 경우 예측값과 실험값이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단일성분(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및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물의 경우 예측값과 실험값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분리막 모듈을 제외한 모든 배관을 히팅테입과 단열테입을 이용하여 감싸주었다. 공급부, 투과부, 잔류부의 온도 및 압력은 각각 K형 열전대(Thermocouple) 및 전자식 압력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장치(Data logger, GL840, GRAPHTEC,US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저장을 하였다.
  • 01 bar로 유지하였다. 단일성분 실험의 경우, 60, 70, 80, 90 ℃의 실험 조건에서 단위시간당 투과부의 냉각트랩에 포집된 성분들의 무게를 전자저울(CUW6200H,CAS, Korea)로 측정하여 투과량을 계산하였다. 이성분계 실험의 경우, 30분 간격으로 투과된 용액을 포집한 뒤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였고, PORAPAK Q 칼럼(Packed column,SUPELCO, 미국)이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YL 6100GC,Younglin Instrument, Korea)를 이용하여 공급부(혹은 잔류부)및 투과부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물과 에탄올을 약 50 : 50 wt%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4에는 시간에 따른 투과부와 잔류부의 물 농도의 변화를 온도별로 나타내었다.
  • 물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물과 에탄올을 약 60 : 40 wt%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투과부와 잔류부의 물 농도의 변화를 온도별로 Figure 6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에서 개발한 투과증발용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하여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단일 성분 및 혼합물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온도 및 농도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물/에탄올의 경우 최대 약 3,000의 분리계수, 물/이소프로필알코올의 경우 최대 약 1,500의 분리계수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의 4A 제올라이트 분리막 모듈을 이용하여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단일 성분 및 물/에탄올,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활동도계수모형(ACM, activity coefficient model), GMS(generalized Maxwell Stefan)모형 및 DGM (Dusty Gas Model)을이용하여 투과증발거동을 모사하였으며, GA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상수추정(parameter estimation)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흡착 및 확산 상수를 구하였다.
  • 상수추정은 MATLAB optimization toolbox의 genetic algorithm(GA)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xwell Stefan식을 이용하여 투과증발 되는 성분 i의 플럭스, 투과 조성비, 물에 대한 분리계수를 모사하였다. 다성분계의 농도조건, 온도 조건, 투과부에서의 압력조건(진공조건)을 Equation (11)에대입을 하면, SMAPE (Equation (22))를 통해 Equation (16) ~(18)의 온도의존성 상수를 얻을 수 있다.
  • 시료용액을 공급해주는 기어펌프(KMI-400K3, HIGENMotor, Korea), 순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rotameter,RMA-34-SSV, Dewyer, USA), 투과부의 진공을 유지해 주는 진공펌프(DTC-41, ULVAC, Japan), 그리고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투과된 시료를 포집할 수 있는 냉각 트랩으로 구성되어있다. 실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분리막 모듈을 제외한 모든 배관을 히팅테입과 단열테입을 이용하여 감싸주었다. 공급부, 투과부, 잔류부의 온도 및 압력은 각각 K형 열전대(Thermocouple) 및 전자식 압력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장치(Data logger, GL840, GRAPHTEC,US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저장을 하였다.
  • Figure 8에는 ACM, DGM 및 GMS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한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의 단일성분투과플럭스를 실험값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실험값과 예측값을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인 SMAPE에 대입한 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흡착 및 확산상수를 추정하였다. 최적화는 MATALB Global Optimization 툴박스에 들어있는 GA를 이용했다.
  • 단일성분 실험의 경우, 60, 70, 80, 90 ℃의 실험 조건에서 단위시간당 투과부의 냉각트랩에 포집된 성분들의 무게를 전자저울(CUW6200H,CAS, Korea)로 측정하여 투과량을 계산하였다. 이성분계 실험의 경우, 30분 간격으로 투과된 용액을 포집한 뒤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였고, PORAPAK Q 칼럼(Packed column,SUPELCO, 미국)이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YL 6100GC,Younglin Instrument, Korea)를 이용하여 공급부(혹은 잔류부)및 투과부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ure 3에는 각 성분들의 투과플럭스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온도별로 나타내었다. 그림에 나타나있는 메탄올과 부탄올의 투과플럭스는 기존 연구에서 진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24].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의 투과 플럭스가 다른 성분들의 투과플럭스에 비해 매우 높음을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용액은 증류수, 에탄올 그리고 이소프로필알코올이었다. 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은 삼전화학 제품(99.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흡착 등온식은 표현이 매우 간단하면서,흡착 등온식 중 가장 활용범위가 높은 랭뮤어 등온선(Langmuir isotherm)인 Equation (7)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에서 합성한 튜브형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하여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분리막은 Si/Al 비율이 1인 LTA 구조에 Na+를 이온교환하여 약 4Å의 기공크기를 갖고 있으며, 또한 강한 친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투과증발공정 실험장치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시료용액을 공급해주는 기어펌프(KMI-400K3, HIGENMotor, Korea), 순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rotameter,RMA-34-SSV, Dewyer, USA), 투과부의 진공을 유지해 주는 진공펌프(DTC-41, ULVAC, Japan), 그리고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투과된 시료를 포집할 수 있는 냉각 트랩으로 구성되어있다. 실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분리막 모듈을 제외한 모든 배관을 히팅테입과 단열테입을 이용하여 감싸주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용액은 증류수, 에탄올 그리고 이소프로필알코올이었다. 에탄올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은 삼전화학 제품(99.9%+)을 사용하였고, 증류수는 초순수제조장치(Pure Power1, (주)환경테크, Korea)를 이용하여 얻은 2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 본 분리막은 Si/Al 비율이 1인 LTA 구조에 Na+를 이온교환하여 약 4Å의 기공크기를 갖고 있으며, 또한 강한 친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튜브형 분리막은 (주)파인텍에서 자체 제작한 스테인리스 모듈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분리막과 모듈사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을 이용해 실링(sealing)을 하였다. 지지체를 포함한 분리막의 특성을 아래의 Table 1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 모든 계산 및 모사는 MATLAB 2018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상수는 symmetric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SMAPE)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 ) 그리고 △t는 시간차(h)이다. 분리계수는 Equation(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분리계수는 혼합되어있는 혼합용액에서 특정성분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낸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의 투과증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투과플럭스(permeate flux)와 분리계수(separation factor)를 사용하였다. 투과플럭스는 Equation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5 nm이므로,표면 확산(surface diffusion)이나 분자 체가름(molecular sieving) 등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층의 표면 확산을 통해 투과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GMS (generalized Maxwell Stefan) 식을 이용하였다. 이 식은 다성분계 물질전달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식이라 할 수 있다[21,22].
  • 는 성분 i의 포화수증기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도계수는 non random two liquid (NRTL) 모형(Equation(14))을 사용하였으며, 포화수증기압은 Antoine 방정식(Equation(15))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상수추정은 MATLAB optimization toolbox의 genetic algorithm(GA)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xwell Stefan식을 이용하여 투과증발 되는 성분 i의 플럭스, 투과 조성비, 물에 대한 분리계수를 모사하였다.
  • 실험값과 예측값을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인 SMAPE에 대입한 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흡착 및 확산상수를 추정하였다. 최적화는 MATALB Global Optimization 툴박스에 들어있는 GA를 이용했다. 대각선에서 가까울수록 예측값이 실험값을 잘 맞춘다는 것을 의미하며, 멀어질수록 예측값이 실험값을 잘 맞추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의 4A 제올라이트 분리막 모듈을 이용하여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단일 성분 및 물/에탄올,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활동도계수모형(ACM, activity coefficient model), GMS(generalized Maxwell Stefan)모형 및 DGM (Dusty Gas Model)을이용하여 투과증발거동을 모사하였으며, GA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상수추정(parameter estimation)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흡착 및 확산 상수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과증발의 의미는 무엇인가? 투과증발(pervaporation)은 투과(permeation)와 증발(evaporation)의 합성어로 분리막을 이용하여 혼합물에서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분리공정에 비해 에너지소비가 적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기존의 증류 공정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유기화합물의 분리에 적용되고 있다[1-5].
고분자 분리막의 단점은 무엇인가? 투과증발에 사용되는 친수성 분리막은 주로 물과 유기물의 혼합물에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친수성의 분리막 중 고분자 분리막은 물과 유기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투과증발공정에서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지만 농도나 온도 등 조업 조건 등의 제약이 크며 열적, 화학적, 기계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무기막은 기공크기에 따른 분자체 특성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열적, 기계적, 화학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9].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구조에 따른 종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재료, Si/Al 비율 및 합성방법에 따라 각각의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며, 구조에 따라 크게 FAU (Faujasite),LTA (Linde Type A)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FAU 제올라이트는 Si/Al 비율에 따라 X, Y, 초안정 Y 등으로 구분하며, 교환된 금속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10X, 10Y, 13X, 13Y 등으로 명명한다. LTA 제올라이트는 Si/Al 비율이 1 : 1로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갖으며, 금속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3A,4A, 5A 등으로 명명한다. 금속 양이온이 Na일 경우 기공의 크기가 약 4 Å을 갖게 되어 4A, 금속양이온이 K일 경우 기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3A, 금속 양이온이 Ca일 경우에는 기공의 크기가 증가하여 5A라 부른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inning, R. C., Lee, R. J., Jennings, J. F., and Martin, E. C., "Separation of Liquid Mixtures by Permeation," Ind. Eng. Chem., 53, 45-50 (1961). 

  2. Michales, A. S., Baddour, R. F., Bixler, H. J., and Choo, C. Y., "Conditioned Polyethylene as a Permselective Membrane. Separation of Isomeric Xylenes," Ind. Eng. Chem. Process Des. Dev., 1, 14-25 (1962). 

  3. Aptel, P., Cunny, J., Jozefowicz, J., Morel, G., and Neel, J., "Liquid Transport through Membranes Prepared by Grafting of Polar Monomers onto Poly (Tetrafluoroethylene) Films. I. Some Fractionations of Liquid Mixtures by Pervaporation," J. Appl. Polym. Sci., 16, 1061-1076 (1972). 

  4. Pereira, C. C., Habert, A. C., Nobrega, R., and Borges, C. P., "New Insights in the Removal of Dilu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Dilute Aqueous Solution by Pervaporation Process," J. Membr. Sci., 138, 227-235 (1998). 

  5. Hofmann, D., Fritz, L., and Paul, D., "Molecular Modelling of Pervaporation Separation of Binary Mixtures with Polymeric Membranes," J. Membr. Sci., 144, 145-159 (1998). 

  6. Lee, Y. M., "Pervaporation of Organic Liquid Mixtures through Polymer Membranes," Polymer, 13, 3-13 (1989). 

  7. Hong, Y. K., and Hong, W. H.,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Aqueous Isopropanol Solution Using Tubular Type PDMS/Ceramic Composite Membrane," Hwahak Konghak, 36, 524-524 (1998). 

  8. Rautenbach, R., and Albrecht, R., "The Separation Potential of Pervaporation : Part 1. Discussion of Transport Equations and Comparison with Reverse Osmosis," J. Membr. Sci., 25, 1-23 (1985). 

  9. Liu, Q., Noble, R. D., Falconer, J. L., and Funke, H. H., "Organics/Water Separation by Pervaporation with a Zeolite Membrane," J. Membr. Sci., 117, 163-174 (1996). 

  10. Ahn, H. S., Lee, H. R., and Lee, Y. T., "NaY Zeolite Membrane Pervaporation for Dehydration from Ethylacetate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Chem. Eng. Res., 43, 366-370 (2005). 

  11. Kita, H., Horii, K., Ohtoshi, Y., Tanaka, K., and Okamoto, K., "Synthesis of a Zeolite NaA Membrane for Pervaporation of Water/Organic Liquid Mixtures," J. Mater. Sci. Lett., 14, 206-208 (1995). 

  12. Won, W., Feng, X., and Lawless, D., "Pervaporation with Chitosan Membranes: Separation of Dimethylcarbonate/Methanol/Water Mixtures," J. Membr. Sci., 209, 493-508 (2002). 

  13. Bowen, T. C., Noble, R. D., and Falconer, J. L.,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Pervaporation through Zeolite Membranes," J. Membr. Sci., 245, 1-33 (2004). 

  14. Kasik A., and Lin, Y. S., "Organic Solvent Pervaporation Properties of MOF-5 Membranes," Sep. Purif. Technol., 121, 38-45 (2014). 

  15. Morigami, Y., Kondo, M., Abe, J., Kita, H., and Okamoto, K., "The First Large-Scale Pervaporation Plant Using Tubular-Type Module with Zeolite NaA Membrane," Sep. Purif. Technol., 25, 251-260 (2001). 

  16. Han, M., Kim, Y., Kim, Y., Chung, B., and Choi, G. W., "Bioethanol Production from Optimized Pretreatment of Cassava Stem," Korean J. Chem. Eng., 28, 119-125 (2011). 

  17. Noble, R. D., and Stern, S. A., Membrane Separations Technology:Principles and Applications, 1st ed., Elsevier Science, 도시, 93-197 (1995). 

  18. Mason, E. A., and Malinauskas, A. P., "Gas Transport in Porous Media : The Dustygas Model," Elsevier Science Ltd., New York, 30-50 (1983). 

  19. Tuchlenski, A., Uchytil, P., and Seidel-Morgenstern, A., "An Experimental Study of Combined Gas Phase and Surface Diffusion in Porous Glass," J. Membr. Sci., 140, 165-184 (1998). 

  20. Uchytil, P., "Gas Permeation in Ceramic Membranes Part 1. Theory and Testing of Ceramic Membranes," J. Membr. Sci., 97, 139-144 (1994). 

  21. Kapteijn, F., Moulijn, J. A., and Krishna, R., "The Generalized Maxwell-Stefan Model for Diffusional in Zeolites: Sorbate Molecules with Different Saturation Loadings," Chem. Eng. Sci., 55, 2923-2930 (2000). 

  22. Kapteijn, F., Bakker, W. J. W., Zheng, G., Poppe, J., and Moulijn, J. A., "Permeation and Separation of Light Hydrocarbons through a Silicalite-1 Membrane Application of the Generalized Maxwell-Stefan Equations," Chem. Eng. J., 57, 145-153 (1995). 

  23. Krishna, R., and van den Broeke, L. J. P., "The Maxwell-Stefan Description of Mass Transport Across Zeolite Membranes," Chem. Eng. J., 57, 155-162 (1995). 

  24. Oh, W. J., Jung, J. C., Yeo, J., Lee, J. H., Kim, H., Park, Y. C., Lee, D. H., Cho, C. H., and Moon, J. H., "Pervaporation of Binary Water/Methanol and Water/Butanol Mixtures through Zeolite 4A Membranes: Experiments and Modeling," Membr. J., 27, 487-49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