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낙동강 상류 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vulnerable period assessment method for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p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entropy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9, 2018년, pp.761 - 768  

김일환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이재범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양정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초록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지하수자원은 고갈되어가고 있다. 지하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유역 단위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유역 단위의 취약시기 평가는 취약 지역 평가와 소유역에 대한 취약시기 평가를 독립적으로 진행하여 각각의 지수를 산정하였다. 취약 지역 평가 지수를 표준화하여 독립적으로 진행한 취약시기 평가 지수에 적용하여 유역 단위의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방법을 낙동강 상류 지역인 봉화군, 안동시, 예천군, 문경시, 상주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상주의 8월이 0.278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동시는 1년 중 8개월간 5개 지역 중 지하수자원 관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자원의 시공간을 고려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water resources are becoming depleted due to climate change factors and non climate change factors. In order to effective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e developed a method for evaluating vulnerable periods of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in watershed areas. The watershed based vul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공간적인 차이에 대한 지하수자원의 취약성 평가는 많은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시간 차이에서 나타나는 지하수자원 취약성 평가 기법은 국내외로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Yang et al. (2017)에 발표한 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의 후속 연구로 지하수자원의 취약시기 평가 지수를 개발하였다. 취약시기에 대한 평가는 월 단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선정 유역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 및 취약한 시기를 평가하고, 각 월에 따라 가장 취약한 지역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의 발달은 지하수자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원활한 수문 순환이 유지되기 위해 서는 하천, 저수지 등의 지표수의 유지도 중요하지만 지하수 계로 함양된 지하수위의 유지도 매우 중요하다. 산업의 발달로 지표면의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여 불균형적인 수문 순환으로 인해 지하수자원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하수자원에 대한 위험성은 일차적으로는 지하수위의 하강으로 인하여 가용 지하수자원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지하수자원 취약성 지수 개발에 대한 기존의 선행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지하수자원 취약성 지수 개발도 수량과 수질 측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Yang and Kim, 2013). 수질 측면에서는 연안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해수 침투로 인해 지하수자원의 염해에 대해서 수치 모델을 통해 해수면 상승에 대해서 예측하여 취약성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Abd-Elhamid et al., 2016; Chang et al., 2016; Yang et al., 2018). 지하수자원의 수량 측면에서는 지하수위, 유역을 대표하는 지층 매개변수인 투수계수, 대수층의 매질 등과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함양량 등을 선정하여 취약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Seeboonruang, 2016; Dennis and Dennis, 2012).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하수자원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인자로 지역을 대표하는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사용하였다. 공간적인 차이에 대한 지하수자원의 취약성 평가는 많은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시간 차이에서 나타나는 지하수자원 취약성 평가 기법은 국내외로 전무한 실정이다.
지하수자원의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현상은 무엇인가? 기후변화, 산업의 활동으로 인해 지하수 자원은 수량과 수질 측면에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후 변화 중 강우는 지하수자원의 유지에 있어서 직접 영향을 주고 있다. 연간 내리는 총 강우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무강우일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d-elhamid, H. F., Abd-elaty, I., and Ramadan, E. M. (2016).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growth on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Eastern Nile Delta aquifer, Egypt." Proceedings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ngineering Sciences and Applications, Aswan, Egypt, January, 29-31. 

  2. Chang, S. W., Nemec, K., Kalin, L., and Clement, T. P. (2016).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on groundwater resources in a Barrier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2, No. 12. 

  3. Chung, E. S., Hong, W. P., Lee, K. S., and Burian, S. J. (2011). "Integrated use of a continuous simulation model and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for ranking urban watershed management alternativ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5, No. 2, pp. 641-659. 

  4. Dennis, I., and Dennis, R. (201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for South African aquifer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oundwater Special Edition 2012, Water South Africa, Vol. 38, No. 3, pp. 417-426. 

  5.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6. Kang, B. S., Lee, J. H., Chung, E. S., Kim, D. S., and Kim, Y. D. (2013). "A sensitivity analysis approach of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technique to rank flood mitigation projects." Journal of Korea Society Civil Engineering, Vol. 17, No. 6, pp. 1529-1539. 

  7. Kim, Y., and Chung, E. S. (2015). "Robust prioritiz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using the VIKOR method with objective weight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5, pp. 1167-1182. 

  8. Kim, Y., Chung, E. S., Jeon, S., and Kim, S. U. (2013). "Prioritizing the best sites for treated wastewater use in an urban watershed using fuzzy TOPSI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 73, pp. 23-32. 

  9. Kumar, D. M., and Shah, T. (2006). "Groundwater pollution and contamination in India: the emerging challenge." IWMI-TATA Water Policy Program Draft Paper-1, p. 14. 

  10.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and Tarantola, S. (2005).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ission, EUR 21682 EN, Institute for the Protection and Security of the Citizen, Joint Research Centre Ispra, Italy. 

  11. Okkonen, J., and Klove, B. (2011). "A sequential modeling approach to assess groundwater surface water resources in a snow dominated region of Finland." Journal of Hydrology, Vol. 411, No. 1-2, pp. 91-107. 

  12. Seeboonruang, U. (2016).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and vulnerability to drought of areas in Eastern Thailand."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75, No. 42. 

  13. Shannon, C. 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London and New York. 

  14. Son, M. W., Sung, J. Y., Chung, E. S., and Jun, K. S. (2011).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3, pp. 231-248. 

  15.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Fourth edition." Geneva, Switzerland, WHO. Progress on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2014 Update. WHO/UNICEF Joint Monitoring Programme for Water Supply and Sanitation, New York. 

  16. Yang, J. S., and Kim, I. H. (2012).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sing delphi metho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trend analysis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6, pp. 2245-2254. 

  17. Yang, J. S., Kim, S. U., Chung, E. S., and Kim, T. W. (2012). "Prioritization of water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Vol. 16, No. 3, pp. 801-814. 

  18. Yang, J. S., Lee, J. B., and Kim, I. H. (2017).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2, pp. 815-825. 

  19. Yang, J. S., Lee, J. B., and Kim, I. H. (2018).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eaw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6, pp. 515-5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