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실험에 의한 가동보 기립각도 변화에 대한 토사의 퇴적 과정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sedimentation processes by variation of standing angle in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9, 2018년, pp.795 - 802  

이경수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장창래 (한국교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보의 기립각도를 고려한 유사의 퇴적과 델타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였다. 가동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는 배수의 영향으로 유속이 느려지면서 퇴적이 되고 델타가 형성되며 하류로 이동하였다. 각 실험조건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델타의 이동속도는 델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저하게 감소하고, 보에 접근하였다. 무차원 델타의 높이($h_d/h$)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델타의 이동속도($S_D/V_0$)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델타의 높이($h_d$)가 증가할수록 수심(h)은 감소하였다. 델타의 유효높이($h_w$)가 크기 때문에 델타의 체적($V_{xD}$)은 증가하지만 배수(backwater)의 영향을 받아 델타의 이동속도($S_D$)와 퇴적량은 감소하였다. 수로 경사가 일정할 때,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체적($V_{xD}$)이 증가하고, 델타의 전면부 길이비($h_d/{\Delta}S$)는 1에 가깝다. 같은 유량조건인 경우에 가동보의 기립 각도가 가장 클 때, 시간당 델타의 퇴적량($Q_s$)은 가장 작았다. 따라서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의 발달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the delta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by considering the standing angle of the weir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The delta migration speed decreases rapidly with time. As the ratio of delta height to wa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2014)와 Lee et al. (2016)에서 연구한 국내 중, 소하천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IPM weir)를 대상으로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보의 기립각도의 변화를 고려한 보 상류에서 토사의 퇴적과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델타의 종방향 지형은 어떻게 형성되나? 댐 및 보와 같은 하천을 횡단하는 수리구조물에 의해 배수(backwater)의 영향에 의하여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려지는 곳에서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에 의하여 급격하게 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이나 그 형태를 델타(delta)라고 한다(Morris and Fan, 1997). 델타의 종방향 지형은 굵은 유사 입자로 퇴적된 정상퇴적층(Topset bed), 급경사면을 형성한 전부퇴적층(Foreset bed), 실트나 가는 입자가 퇴적된 저부퇴적층(Bottomset bed)로 형성된다. 하천에서 댐 및 보에 의해 형성된 저수지는 델타에 의하여 저류용량이 감소하고, 유효수명뿐만 아니라 편익(benefits)을 제한하게 된다(Graf, 1984; Fan and Morris, 1997).
저수지 퇴사가 형성될 때 무엇에 영향을 받나? 저수지 퇴사는 유역으로부터 생성되는 유사량, 이송능력, 퇴적형태 등에 따라 변화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특히 하천의 특성, 빈도별 홍수량, 저수지의 지형 특성 및 운영, 응집능, 밀도류, 그리고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주로 영향을 받으며 사수역, 포착률, 유입수문곡선, 유입 유사량, 유사특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Julien, 1995).
저수지 퇴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델타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댐 및 보 상류의 하상변동, 그리고 구조물 주변에서의 세굴 및 퇴적 분야에 국한되어 실험 및 수치모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저수지내 델타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하거나 델타의 발달 메카니즘 분석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저수지 퇴사는 유역으로부터 생성되는 유사량, 이송능력, 퇴적형태 등에 따라 변화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특히 하천의 특성, 빈도별 홍수량, 저수지의 지형 특성 및 운영, 응집능, 밀도류, 그리고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주로 영향을 받으며 사수역, 포착률, 유입수문곡선, 유입 유사량, 유사특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Julie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shida, K., Sawai, K., and Shieh, C. L. (1987). "A study on the delta formation process in a laterally wide basin-laboratory study of delta formation caused by bed load." Annals of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30, B-2, 475-491 (in Japanese). 

  2. Ashida, K., Sawai, K., and Shieh, C. L. (1988). "A study on the delta formation process in a laterally wide basin-laboratory study of the influence on the delta formation process associated with suspended load and longshore current." Annals of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31, B-2, 477-487 (in Japanese). 

  3. Ashida, K., Sawai, K., and Shieh, C. L. (1989). "A study on the delta formation process in a laterally wide basin-sim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delta with/without channels on its plain." Annals of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32, B-2, 553-570 (in Japanese). 

  4. Chang, H. H. (1982). "Fluvial hydraulics of deltas and alluvial fan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8, No. 11, pp. 1282-1295. 

  5. Cho, H. J., and Kang, H. S. (2013). "Effects of control of dam sedimentation by a hydraulic structure in a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No. 46, No. 12, pp. 1157-1167. 

  6. Fan, J., and Morris, G. (1992). "Reservoir sedimentation. I: Delta and density current deposit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8, No. 3, pp. 354-369. 

  7. Graf, W. H. (1984). "Storage losses in reservoirs." Water Power and Dam Construction, Vol. 36, No. 4, pp. 37-40. 

  8. Hotchkiss, R. and Parker, G. (1988). Reservoir sediment sluicing - Laboratory study. Hydraulic Engineering, pp. 1073-1078. 

  9. Hotchkiss, R. and Parker, G. (1990). "Laboratory modelling of reservoir sedimentation and sluicing: scale consideration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of Transport and Suspension, ASCE, pp. 14B.25-14B.30. 

  10. Hotchkiss, R. H., and Parker, G. (1991). "Shock fitting of aggradational profiles due to backwater."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7, No. 9, pp. 1129-1144. 

  11. Julien, P. Y. (1995). Erosion and sedim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12. Lee, K. S. (2018). Development of discharge coefficient of movable weir and analysis of the sediment processes upstream from the weir. Ph. 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p. 64-68. 

  13. Lee, K. S., Jang, C.-L., and Lee, N. J. (2016). "Analysis of submerge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No. 49, No. 7, pp. 615-623. 

  14. Lee, K.S., Jang, C.-L., Lee, N.J., and Ahn, S.J. (2014).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No. 47, No. 11, pp. 1007-1015. 

  15. Lee, K. S., Jang, C.-L., Son, K. I., and Hwang, M. H. (2013). "Numerical analysis of the sediment pass-through from the Sangju weir and the Gumi weir by using CCHE2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No. 29, No. 6, pp. 813-824. 

  16. Mahmood, K. (1987). Reservoir sedimentation: Impact, extent and mitigation. Technical Paper No.71,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17. Morris, G. L., and Fan, J. (1997).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McGraw-Hill, NY, pp. 10.1-10.5. 

  18. Soni, J. P., Ranga Raju, K. G., and Garde, R. J. (1980). "Aggradation in streams due to overloading."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6, No. 1, pp. 117-132. 

  19. Toniolo, H., and Parker, G. (2003). "1D numerical modeling of reservoir sedimentation." Proceedings IAHR Symposium on River, Coastal and Estuarine Morphodynamics, Barcelona, Spain, pp. 457-468. 

  20. Wright, L. D., and Coleman, J. M. (1974). "Mississippi river mouth processes: Effluent dynamics and morphologic development." The Journal of Geology, Vol. 82, No. 6, pp. 751-778. 

  21. Yang, C. T., and Ahn, J. (2009). Xiaolangdi reservoir scouring and silting mechanism and numerical simulation study. Yellow River Engineering Consulting Company, Chin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