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Explor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63 - 71  

이현정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이용하여 현재 시점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3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내용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 연도, 학문 분야, 연구 주제,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 관련 연구가 처음 수행된 이후로 해당 주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문 분야별로는 교육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양적 연구 방법이 절대적으로 우세하게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에서 연구 주제, 학문 분야 및 방법론에 있어 범위를 넓히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by exploring trends of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arched for domestic articles in academic data base using key words related to th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 문화 수용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된 탐색적 성격을 갖는 연구로 내용 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발표 연도, 학문 분야, 연구 주제,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국내 초등 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관련 연구의 현황을 알아보고 보완점을 논의하며 이를 통해 이 분야에서의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성숙된 다문화사회를 이루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다 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실무적 측면에의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 한 연구를 개관하는 작업이 미흡한 상황에서 기존 연구 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초등학생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및 실천 현장에 프로그램 및 정책 관련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의 구체적인 시사점과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국내 연구 36편을 연구의 연도, 학문 분야,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및 관련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또 한 우리나라 청소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 관련 요인에 관한 개관 연구[25]가 있으나 대상이 중·고등학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전반에 관한 연구에 함의하는 바를 이끌어 내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의 시사점을 논하고 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용 분석이란? 선정된 논문들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내용 분석은 주어진 데이터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발견해내며, 더 나아가 향후 실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동향 파악 연구에 자주 사용되어지는 탐색적 성격을 가진 서술적 연구 방 법론이다[26].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내용분석은 우리나라 초등학생 대상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이해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매우 적절한 방법론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학교 환경의 어려움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어떤 문제로 이어지는가? 또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학교 폭력에 노출되는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이러한 어려움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우울증[5], 자아존중감 [6]과 같은 심리적 건강 및 사회성 발달과 정체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7] 자살과 같은 극단적 문제로까지 노출될 위험[8]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학교 환경에서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이는 어떤 것이 있는가? 2015년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친구들에게 차별받은 경험이 있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88.9%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3] 다문화 가정 자녀 중 학업 중단자 비율은 2012년 현재 1.9%로 친구나 선생님과의 관계가 학업 중단의 가장 큰 이유로 조사된 바 있다[4]. 또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학교 폭력에 노출되는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이러한 어려움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우울증[5], 자아존중감 [6]과 같은 심리적 건강 및 사회성 발달과 정체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7] 자살과 같은 극단적 문제로까지 노출될 위험[8]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Justice. (2018). Korean Immigration Service 2016. Ministry of Justice. http://www.kosis.kr 

  2. H. J. Kim. (2014). A stud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childr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2), 449-468. 

  3. H. S. Chung, Y. S. Kim, T. M. Yi, K. H. Ma, Y. J. Choi, G. P. Park, C. Y. Tong, J. M. Hwang & E. N. Lee. (2016).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4.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2). 2012 Field Survey of School Violen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http://www.survey.eduro.go.kr 

  5. H. W. Byeon & S. H. Cho. (2015).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xperience of depressive symptom in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QUEST Algorith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6), 67-76. 

  6. J. J. Jung & S. H. Moon. (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 experience of multicultural you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8), 265-289. 

  7. J. M. Kong. (2009).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octoral thesis. Sookmyeong Women's University, Korea. 

  8. J. Y. Lee & K. M. Kim. (2017).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living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South Korea: Gender difference. Journal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1(2), 119-129. 

  9. K. K. Kim & Y. J. Hwang. (2017).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9(1), 87-117. 

  10. J. Thijs & M. Verkuyten. (2013). Multiculturalism in the classroom: Ethnic attitudes and classmates' belief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7, 176-187. 

  11. S. A. Kim. (2013).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parental attachment, multicultural acceptance on internalizing and e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Adolescence Culture Forum, 36(6), 59-89. 

  12. A. C. Fletcher, A. Rollings & P. Nickerson. (2004). The extension of school-based inter-and intraracial children's friendship: Influences on psychosocial well-be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4, 272-285. 

  13. S. Kvernmo & S. Heyerdahl. (2003).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ethnic identity as predictors of behavior problems in arctic minority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2(1), 57-65. 

  14. J. Y. Choi & J. C. Kim. (2015).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that influ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2), 389-411. 

  15. S. J. Lee & J. Y. Chae. (2015).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6), 23-38. 

  16. C. G. Ellison & D. A. Powers. (1994). The contact hypothesis and racial attitudes among Black Americans. Social Science Quarterly, 75, 385-400. 

  17. K. I. Choi. (2016). The difference of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tiv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and perception of community. GRI Review, 18(2), 103-126. 

  18. M. A. Kim & I. O. Hwang. (2017). Effects of multicultural nurturing attitude of parents perceived by children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4, 33-56. 

  19. Y. M. Yang & J. S. Kim. (2015).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 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 Journal of Youth Welfare, 17(4), 309-328. 

  20. G. N. Lee, Y. E. Kim & K. Y. Lee. (2013).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3), 1-14. 

  21. M. J. Kim & O. B. C.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cultuarl acceptance inventory for Korean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7(4), 69-88. 

  22. J. H. Kim & I. S. C.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programs based on ethnomathematics and critical mathematic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4), 151-169. 

  23. S. M. Cho, J. S. Chun, S. H. Nam, K. H. Kan & M. J. S. (2012).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gram designed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nce. Family and Culture, 24(4), 103-134. 

  24. M. J. Kim & K. E. Kim. (2018).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research trends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1(1), 1-27. 

  25. S. K. Cha & H. W. Byeon. (2018).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teen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9(3), 211-216. 

  26. K. Krippendorff.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Newbur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7. U. Bronfenbrenner.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8. R. Crosnoe & M. K. Johnson. (2011). Research on adolesce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nual Review of Sociology, 37, 439-460. 

  29. D. Hughes & D. Johnson (2001). Correlates in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s racial socialization behavio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4), 981-955. 

  30. J. Pattnaik. (2003). Multicultural literach starts at home: Supposing parental involvem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80(1), 18-24. 

  31. S. Sinclair, E. Dunn & B. S. Lowery.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acial attitudes and children's implicit prejudic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1, 283-289. 

  32. M. Verkuyten & J. Thijs. (2002). Racist victimization among children in the Netherlands: the effect of ethnic group and school. Ethic and Racial Studies, 25(2), 310-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