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심부전 환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Perceptions regarding smartphone based self-car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 A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319 - 327  

손연정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  백경화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가관리에 대한 환자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만성심부전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였다. 환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면담 시 녹취한 자료를 기록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은 자가관리 보조, 일상생활 불편, 혼란스러운 건강정보, 개인정보노출에 대한 두려움이었고, 방해요인은 요금부담, 노화에 따른 사용의 어려움,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부족, 부정적 건강신념이었으며, 촉진요인은 이해가 쉬운 건강정보 전달, 의료진과 환자 간 의사소통 채널, 심리사회적지지, 개별화된 건강관리로 범주화 되었다. 그러므로 심부전 환자를 위한 모바일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시 심부전 환자의 요구도와 선호도에 대한 측면과 스마트폰 활용을 함에 있어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the perception regarding smartphone use for adhering to self-care in chronic heart failure patients. Eleve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art failure were included. Three focus groups were held with heart failure patients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심부전 환자의 스마트폰 활용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범주화된 3개의 주제와 12가지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결과에 의거하여 본 장에서는 심부전 환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한 경험과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만성 심부전 환자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이를 자가관리에 적용했을 때의 견해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기본적인 배경정보에 대한 탐색과 주요 질문을 통해 연구주제에 대해 최대한 효과적으로 접근하고자 Krueger와 Casey(2009)가제시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심부전 환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가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심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험 및 자가관리 시, 스마트폰 활용 및 적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만성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를 위한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향후 수요자 중심의 모바일 헬스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 환자에게 스마트폰 활용의 장점은? 첫째, 심부전 환자의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자가관리에 있어 스마트 폰은 자가관리를 보조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 잦은 알림메세지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서로 불일치하는 정보들을 대량 전달해줌으로서 환자로 하여금 올바른 건강정보를 이해하는 데 혼란을 초래하고, 개인정보가 노출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심부전이란? 심부전은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급사의 위험이 높은 중증 만성질환으로[1], 인구 고령화와 허혈성 심질환의 증가로 인해 매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심부전 발병 건수는 약 570만 건으로[1],특히 국내의 경우 일 기관에서 2009-2013년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심장기능상실(심부전, I50)’로 인한 건으로 2009년 9만4천명에서 2013년 11만5천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인구 10만명 당 연평균 4.
만성 심부전 환자들의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을 요인별로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환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면담 시 녹취한 자료를 기록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은 자가관리 보조, 일상생활 불편, 혼란스러운 건강정보, 개인정보노출에 대한 두려움이었고, 방해요인은 요금부담, 노화에 따른 사용의 어려움,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부족, 부정적 건강신념이었으며, 촉진요인은 이해가 쉬운 건강정보 전달, 의료진과 환자 간 의사소통 채널, 심리사회적지지, 개별화된 건강관리로 범주화 되었다. 그러므로 심부전 환자를 위한 모바일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시 심부전 환자의 요구도와 선호도에 대한 측면과 스마트폰 활용을 함에 있어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I. Cajita, K. T. Gleason & H. R. Han. (2016). A systematic review of mHealth-based heart failure intervention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1(3), 10-22. DOI : 10.1097/JCN.0000000000000305. 

  2. J. O. Choi. (2012). Trearment of advenced heart failure: beyond medical treatment, Korean Journal of Medicine, 82(6), 658-666. DOI : 10.3904/kjm.2012.82.6.658. 

  3. S. C. Inglis, H. Du, H. C. Dennison & P. M. Davidson. (2015). mHealth education intervention in heart failure (protocol),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1-14. DOI: 10.1002/14651858.CD011845. 

  4. B. Riegel, V. V. Dickson & K. M. Faulkner. (2016). The situation-specific theory of heart failure self-care : revised and updated,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1(3), 226-235. DOI : 10.1097/JCN.0000000000000244. 

  5. L. C. Abromsm, R. Whittaker, C. Free, J. M. van Alstyne & J. M. Schindler-Ruwisch. (2015). Developing and pretesing a text-messaging program for health behavior change : Recommended steps, JMIR Mhealth and Uhealth, 3(4), 1-11. DOI : 10.2196/mhealth.4917. 

  6. J. D. Piette et al. (2015). A mobile health intervention supporting heart failure patients and their informal caregivers: A randomized comparative effectiveness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7(6), 1-18. DOI : 10.2196/jmir.4550. 

  7. M. I. Cajita, T. R. Cajita & H. R. Han. (2016). Health literacy and heart failure :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1(2), 121-130. DOI : 10.1097/JCN.0000000000000229. 

  8. C. L. Gardner et al. (2016). Electronic physiologic and subjective data acquisition in home-dwelling heart failure patients: An assessment of patient use and perception of us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93, 42-48. DOI : 10.1016/j.ijmedinf.2016.06.001. 

  9. P. Athilingam, B. A. Jenkins, H. Zumpano & M. A. Labrador. (2018). Mobile technology to improve heart failure outcomes: Aproof of concept paper, Applied Nursing Research, 39, 26-33. DOI : 10.1016/j.apnr.2017.10.018. 

  10. M. W. Kreuter & R. J. Wray. (2003). Tailored and targeted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information relevance,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s, 27, 227-232. 

  11. T. Dekoekkoek, B. Given, C. W. Given, K. Ridenour, M. Schueller & S. I. Spoelstra. (2015). mHealth SMS text messaging interventions and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ing, 24, 2722-2735, DOI : 10.1111/jocn.12918. 

  12. Y. K. Bartlett et al. (2014). The SMART personalized self-management system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results of a realist evaluation, BMC Medical Informatics & Decision Making, 14, 1-13. DOI : 10.1186/s12911-014-0109-3. 

  13. T. M. Ruppar, P. S. Cooper, D. R. Mehr, J. M. Delgado & J. M. Dunbar-Jacob. (2016). Medication adherence interventions improve heart failure mortality and readmission rates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5(6), 1-19. DOI : 10.1161/JAHA.115.002606. 

  14. J. Polisena, K. Tran, K. Cimon, B. Hutton, S. McGill & K.Palmer. (2010). Home telemonitoring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16(2), 68-76. DOI : 10.1258/jtt.2009.090406. 

  15. M. Y. Kim, Y. H. Kang, D. L. Jung & G. J. Lee. (2013). 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1), 13-22. 

  16. S. J. Kim, H. J. Kim, K. J. Lee, S. O. Lee. (1999).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Seoul : Hyunmoonsa. 

  17. R. A. Krueger & M. A. Casey.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 Sage. 

  18. I. S. Yang. (2016).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negative emotional status on self-care adherence in symptomatic patients with heart failu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3), 302-313. DOI : 7475/kjan.2016.28.3.302. 

  19. J. W. Lee. (2010). Information gap status analysis proposal, Seoul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 S. H. Jung & W. T. Kim.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smartphone use for seniors: improvement plans in perspectives of bodily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erms, concepts and technologies, Design Convergence Study, 13,(2), 279-295. 

  21. D. R. Kim, K. H. Kang, B, L. Lee & K. H. Kim. (2018).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in elderly living alone: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ty, 9(4), 85-91. DOI : 10.15207/JKCS.2018.9.4.085. 

  22. H. N. Lim, B. L. Lee, T. H. Cha & K. H. Kim. A. (2018).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daily lif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of elderly living alone :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111-118. DOI : 10.15207/JKCS.2018.9.4.111. 

  23. H. K. Jin & H. J. Lee. (2016). The effects of reinforced walking exercise on dyspnea-fatigue symptoms, daily activities, walking abil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east failur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s Nursing, 28(3), 266-278. DOI : 10.7475/kjan.2016.28.3.266. 

  24. M. J. Kim & M. J. Kim. (2016). Concept analysis of volition for health behavior practic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6(5), 687-696. DOI : 10.4040/jkan.2016.46.5.687. 

  25. A. E. Rogers et al. (2000). Knowledge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for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qualitative study, BMJ, 321(7261), 605-607. 

  26. L. Hjelmfors, A. Sandgren, A. Stromberg., J. Martensson, T. Jaarsma & M. Friedrichsen. (2018). I was told that I would not die from heart failure: Patient perceptions of prognosis communication, Applied Nursing Research, 41, 41-45. DOI : 10.1016/j.apnr.2018.03.007. 

  27. M. Fry et al. (2016). The implications of living with heart failure; the impact on everyday life, family support, co-morbidities and access to healthcare: a secondary qualitative analysis, BMC Family Practice, 17(1), 139-146. DOI : 10.1186/s12875-016-0537-5. 

  28. J. Xu et al. (2018). Heart failure rehospitali zation and delayed decision making: the impact of self-care and depress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3(1), 30-39. DOI : 10.1097/JCN.00000000000004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