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 사용현황과 인식 분석을 통한 수돗물 직접 음용률 제고 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tap water drinking rate of Seoul city Tap water 'Arisu' through usage and recognition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399 - 404  

민새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의 음용률을 높이고, 지속적인 수질관리와 인식 제고를 위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외 탭 워터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던 선행연구와 그에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수질 관리 시스템 Point-of-Use, Point-of-Entry 두 가지 변수 중 Point-of-Use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내용을 근거로 아리수의 직접 음용률이 얼마나 향상될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는 사용자에게 오염된 수돗물을 단순히 정수작용을 거쳐 씻어내는 물로써 여과해준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기에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물로서 인식개선 시키기엔 무리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고, 이를 통해 Point-of-Use 시스템의 장점이 탭 워터 자체 수질의 신뢰도를 상승시키고 음용수로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연구되기를 기대하며 이는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의 범위에서 더 나아가 전국 상수도 관리에도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drinking rate of Arisu, the tap water in Seoul, and to propose new solution for continuous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raising awareness.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and based on the this contents I proceed this s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 Point-of-Use 시스템의 대표적인 사례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TAPP WATER 사례를 연구했다. TAPP WATER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깨끗하고 건강한 수돗물을 쉽게 마시는 것을 목표로 한다. TAPP WATER는 자신들이 제공하는 필터가 그 지역의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하며 TAPP WATER의 제품 TAPP 1은 유럽 및 북미 지역에서 처음으로 생산되는 워터필터로 누구나 설치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탭에서 직접 깨끗하고 신선한 물을 제공한다[14].
  • 본 연구는 국내외 Point-of-Use 수질 처리 시스템 사례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 수질처리 시스템이 수돗물의 음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앞으로 깨끗하고 건강한 물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마시고자 하는 시민들의 욕구는 더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 본 연구는 국내외 탭워터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던 제품디자인, 서비스를 조사하기 위해 논문과 학술지 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그것과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탭워터 수질관리 시스템 Point-of-Use, Point-of-Entry 두 가지 변수 중 Point-of-Use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의 다양한 수돗물 중 조금 더 집중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수돗물을 시민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고, 수돗물의 상수도 관리 시스템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를 더 널리 알려 시민의 삶에 더욱더 가까이 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연구 범위는 탭워터 수질관리 시스템 Point-of-Use, Point-of-Entry 두 가지 변수 중 Point-of-Use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의 다양한 수돗물 중 조금 더 집중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로 한정하였다. 연구 내용을 근거로 수돗물의 직접 음용률이 얼마나 향상될지에 대해 확인해 보고 탭워터 수질을 관리하는 데 있어 시민의 참여가 그들의 수질 신뢰도를 얼마나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 두 번째로, BRITA FILTER는 Filter for the Future라는 캠페인을 통해 첫 번째 TAPP WATER 사례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병의 사용을 지양하며 그 플라스틱 물병의 필요를 자회사의 다양한 수질 시스템으로 교체하여 깨끗하고 건강한 물을 지원하는 데 의지가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에 비교해 국내 POU기반 제품은 오염된 상수도관에서 나오는 물을 필터로 걸러내어 수돗물을 음용하기보다는 단순히 수돗물을 세척하는 물로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것에 목적이 있다. 더 깨끗한 물로 씻으라는 메시지를 남기는 제품들은 수돗물 그 자체 수질의 신뢰도를 하락시키며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물이라는 개념을 약화할 수 있는 상황이다.
  • 첫 번째 사례인 TAPP WATER는 플라스틱 물병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탭워터를 마셔야 한다는 메세지를 전달하며 TAPP 1을 통해 깨끗하고 건강한 수돗물을 마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민들의 '수돗물에 대해 믿을 수 없는 상태' 인식을 바꾸기 위한 서울시의 노력은 무엇인가? 하지만 에너지자원의 대량소비로 수질오염이 수면위로 떠오르며 시민들은 수돗물에 대해 믿을 수 없는 상태로 도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를 시민들이 믿고 마시게 하려고 품질개선에 힘쓰며, 다양한 홍보 방법을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인식을 심어주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 그 자체의 수질보다는 개인의 가정에 있는 상수도관의 신뢰성 부족으로 시민들의 직접 음용률은 제자리걸음 중이다.
수돗물이란? 플라스틱 물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대체 수요를 늘려야 하는 수돗물은, 상수도에서 나오는 물이란 뜻이다[4]. 하지만 에너지자원의 대량소비로 수질오염이 수면위로 떠오르며 시민들은 수돗물에 대해 믿을 수 없는 상태로 도달했다.
식수로 마시는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오늘날 수돗물은 가정 및 사회활동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재화로 자리를 잡았다[6]. 보통 식수로 마시는 형태는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것, 끓여서 마시는 것, 정수기를 사용하는 것, 먹는 샘물(생수)이나 약수, 우물, 지하수를 마시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래의 Table 1은 K-water (2015)에서 조사한 지방 상수도 21개 지자체의 지방 상수도 고객만족도 조사표로, 총 표본 수 12,600명의 수돗물 음용률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돗물 총 음용률은 49%이며 이 중 그대로 마시는 비율이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Y. Yoo. (2010).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Adult Water Intake. Master'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of Public Health. 

  2. J. H. Park, S. Y. Lim, H. G. Jang & J. I. Kim. (2017). Smart tumbler WATER4U for water intak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5-467. 

  3. M. H. Jang. (2017). PET bottle War, Korea is not an exception. Radio Free Asia(Online.) https://www.rfa.org 

  4.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B%8F%97%EB%AC%BC 

  5. S. H. Won. (2017). Seoul City puts 15.3 billion won in PR, only 4.9% of direct drinking. sisa-news(Online). www.sisa-news.com 

  6. K. H. Choi & J. K. Cho. (2014). Case Study on The Jeollacbuk-do Local Water Supply Efficiency by using DEA and Malmquist Index.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2), 571-580. DOI: 10.14400/JDC.2014.12.12.571 

  7. S. O. Lee. (2016). Study for the Improvement plan of drinking rate through the use state of tap water and recognition analysis of the Nonsan citizens. Master's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8. G. S. Jang. (2014). Why do not you drink tap water? ... "Because of the old water pipe". nocut-news.(Online). http://www.nocutnews.co.kr 

  9. G. S. Lee & K. D. Lee. (2015). A Study on the Factor Quality Evaluation of the Drinking Water Servic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3(3), 19-29. DOI: 10.144000/JDC.2015.13.3.19 

  10. S. Y. Kim. (2014). Korean tap water technology export possible level ... Water quality distrust. dongA.com(Online). http://www.enws.donga.com 

  11. http://www.mae.gov.nl.ca/waterres/training/adww/treatmentalternatives/pres11_willard_deon_point_of_use.pdf 

  12. https://www.freedrinkingwater.com/whole-house/water-filter-knowledge-base/difference-between-poe-pou-water-filtration.htm 

  13. https://www.marketsandmarkets.com/PressReleases/point-of-use-water-treatment-systems.asp 

  14. https://tappwater.co/en/nosotros/ 

  15. https://www.brita.com/filtered-life/ 

  16. http://vitaspa.co.kr/ 

  17. http://bodyluv.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