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돗물 음용 및 인식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 서울 수돗물 아리수에 대한 설문 결과
Investigation for analysis methods of water intake and perception on the tap water : the survey result on the seoul tap water, arisu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8 no.4, 2014년, pp.461 - 472  

허정림 (이대환경문제연구소) ,  방건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p water plays a critical role in our daily life by providing clean water for drinking as well as for residential use. Its importance, however, is often hidden and criticized in mass media because drinking the unprocessed tap water as a primary source of drinking water is very low comparing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로 서울시 수돗물에 대한 서울시민의 음용율 및 인식 결과를 제시하고, 음용율 조사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막연한 불신’에 대한 근본 원인이 실제로 근거 없는 막연한 불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문 조사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두 번째로 서울시 수돗물에 대한 서울시민의 음용율 및 인식 결과를 제시하고, 음용율 조사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막연한 불신’에 대한 근본 원인이 실제로 근거 없는 막연한 불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문 조사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돗물의 직접음용향상을 위한 수돗물 정책, 홍보 및 교육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수돗물 인식개선사업에서 공략해야할 정확한 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6. Reasons the Seoul citizens are not drinking the tap water from the first inquir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류의 출현 이래로 건강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기술은 무엇인가? 수돗물의 보급은 현대 시민생활의 공중위생 향상에 매우 큰 기여를 하였으며, 인류의 출현 이래로 건강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매스컴을 통한 다양한 정보와 수돗물 이외의 다양한 음용수의 출현은 시민들에게 또 다른 선택의 문제를 던져 주었고, 병물, 정수기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수돗물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없게 되었다.
서울시에서 아리수 사업을 시작한 이유는? 그러나 1990년대의 금강광역상수도에서 트리할로메탄의 수질기준초과, 1991년 낙동강 수계의 페놀유출사건, 1994년 칠서정수장 수돗물의 이취미 발생, 2001년 수돗물에서 바이러스 검출 등 최근 까지 지속적인 사고를 거치면서 수돗물의 음용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떨어진 수돗물의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서울시는 2001년 수돗물 고급화 전략에 착수하여 2007년 5000억 원을 투자해 수돗물에 대해 시민들의 인식을 전환하여 안심하고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아리수 사업’을 시작하였다. 또한 서울시내에 질 높은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부 서울 정수장에 개당 1000억 원이 넘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 시민들에게 좀 더 좋은 수질의 수돗물을 편리하게 이용함을 목적으로 47억 원의 예산을 들여 영등포 정수장에 1일 8만병 생산 규모의 아리수병물 생산 공장을 세웠다.
최근 수돗물 음용율이 낮아진 이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정수기와 병물의 보급률이 높지 않았던, 어떻게 보면, 선택의 폭이 약수와 수돗물 밖에 없었던 1990년대 이전 수돗물 음용율은 아마도 현재보다 훨씬 높았을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의 금강광역상수도에서 트리할로메탄의 수질기준초과, 1991년 낙동강 수계의 페놀유출사건, 1994년 칠서정수장 수돗물의 이취미 발생, 2001년 수돗물에서 바이러스 검출 등 최근 까지 지속적인 사고를 거치면서 수돗물의 음용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떨어진 수돗물의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서울시는 2001년 수돗물 고급화 전략에 착수하여 2007년 5000억 원을 투자해 수돗물에 대해 시민들의 인식을 전환하여 안심하고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아리수 사업’을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S.I. (2006).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Confid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0(2), 167-174. 

  2. Doria, M.F. (2006) Bottled water versus tap water: understanding consumers' preferences. Journal of Water and Health. 4, pp. 271-276 

  3. Doria, M.F., N. Pidgeion, and P.R. Hunter (2009). Perceptions of drinking water quality and risk and its effect on behaviour: A crossnational stud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5455-5464. 

  4. Huh, J.R. Choi, G.H., Park, S.S. (2010) A Survey of Seoul Citizens' Usage and Awareness of Tap Water.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24, 4, 78-93. 

  5. Huh, J.R. (2012). Study on the tap water drinking promotion with analysis of current status in Seoul citizen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6. Jang, J.Y., Yoon, J.Y., Cho, S.N., Kim, S.Y., (2011)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Perceptions of Tap Water among Seoul Citizen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15(5), 365-378. 

  7. Kim, J.A. (2003) World Ranking #8 of Korean Water and Water Source. Dong-a Ilbo, Mar. 7th, 2003. 

  8. Kim, S.T. (2005) A Study on the Media coverage of Public Issue: Focusing on Drinking-Water Issu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39, 40-68. 

  9. Mustel Group (2011). Metro VAncouver Drinking Water Research. 

  10. Park, D.H., Kim, S.M. (2007) A Consumers' Behavior Analysis of Municipal Water. Procedings of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2007, 347-350. 

  11. Tap Water Public Information Union (2011) An Abstract of 2011 Tap Water Satisfaction Survey Report of 2011. Ministry of Environment. 

  12. U.S. EPA (2003). Analysis and findings of the gallup organization's drinking water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4. 

  13. World Research (2005). Whole Nation's Public Opinion Report on Solution for Tap Water Distrust by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14. Yoon, T.I. (2005) Seoul Citizens' Perception on the Tap Water.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2005, 55-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