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503 - 512  

이용국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과) ,  최유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체육교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self-management whic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For this purpose, data from 328 students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locat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체육교과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것이며, 졸업 후 현직교사가 되어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2018년 경기, 강원, 충청지역에 위치한 교육대학교 재학생 35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이중 총 328명의 자료들을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란? 신뢰는 굳게 믿고 의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람과 사람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 결과이다. 교수신뢰란 교육환경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태도를 의미하며[4], 체육교수신뢰는 신체활동, 운동장, 체육관 등의 교과 특성을 가지는 체육수업 환경 속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친밀성, 수업구성, 운동능력, 지도방법, 공정성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태도로 정의된다[5].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은? 특히 예비초등교사에게 체육교과는 타 교과에 비해 고충이 많은 교과로 인식되고 있다.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은 학생의 소질이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는 교과, 기능만을 강조하여 체계적으로 지도하지 않는 교과, 실기 시범, 학생 통제, 교재교구 준비, 수업환경 조성 등의 이유로 초등교육 현장에서 수업하는 데 가장 부담스러운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다[1,2].
교육대학에서 예비초등교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사람은? 이러한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주로 ‘교수’ 변인에 의해 나타났다[3]. 교육대학에서 예비초등교사들에게 가장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교수이기 때문에 그들의 교수행동이 예비교사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3]. 즉 체육수업을 가르치는 ‘교수’의 전문성에 따라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이 상이하며, 이들의 인식은 표면적, 잠재적으로 초등체육 현장에 투영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J. H. Kim & J. S. Baek (2012). Search for Revitalizing of Physical Activity of the 1st and the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9(4), 85-104. 

  2. M. G. Han (2012).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would-be elementary school teachers(hereafter as teacher) for phys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49(1), 143-153. 

  3. K. N. Kim (2016). Effects of Profes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or Trus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0(2), 99-123. 

  4. S. J. Lee & J. S. Han (2004).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trust scale for adolescences.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8(3), 23-39. 

  5. K. S. Park & C. H. Par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6(4), 41-54. 

  6. J. H. Kim & O. J. Kim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trust Perceived by Their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5(2), 117-129. 

  7. E. J. Kim. S. H. Cho & N. Y. Choo (2017).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rust and Class Flow in Middle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4), 287-299. 

  8. T. H. Yu (2001). The Study of Teaching Style and it's Change Process in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8(1), 161-170. 

  9. S. J. Lee (2006). The Relations between the School Factors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1), 171-194. 

  10. J. S. Baek & Y. J. Kim (2013). An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 among Teacher Trust,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atisfaction on Cla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8(3), 131-142. 

  11. H. S. Cho, Y. A. Lee & H. M. Heoh (2009). The Effect Trust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s on the Class Attitude of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18(1), 741-750. 

  12. Y. L. Choi & J. H. Kim (2015). Subjectivity research on student-athletes' training attitud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4), 221-231. 

  13. J. H. Kim (2004). An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Attitude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3(6), 323-336. 

  14. J. H. Kim (2006). An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Attitude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2), 251-266. 

  15. J. P. Park & J. L. Park (2011).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5), 825-840. 

  16. S. Y. Kim (2010). An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on the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physical education attitud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19(2), 1005-1016. 

  17. C. H. Kim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Behavior, Students` Lesson Satisfaction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4(3), 41-54. 

  18. C. H. Kim & J. H. Song (2016). The Relation between Professors' Teaching Style and Subjec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5), 657-669. 

  19. K. S. Park (2011).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Class Climate and Class Flow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3), 363-371. 

  20. J. S. Baek & Y. J. Kim (2013). An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 among Teacher Trust,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atisfaction on Cla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8(3), 131-142. 

  21. C. S. Yoon & Y. K. Lee (2018). The Relationship among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Confidence in Physical Education,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Self-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4(1), 47-59. 

  22. S. Y. Lee & H. Y. Kim (2015). An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Physical Education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4(5), 1041-1057. 

  23. S. H. Hwang (2014). The Effect of Secondary Student s′Trust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the Student s′Passion for Sports, Identification and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5), 93-110. 

  24. E. J. Kim (2004). The Effects of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Communication Orientation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3), 123-151. 

  25. S. D. Kwon & H. J. Lee (2015).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in Middle School : Focused on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2013.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2), 287-314. 

  26. K. M. Elliott & D. Y. Shin (2002). Student satisfac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this important concept.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4(2), 197-209. 

  27. R. L. Oliver & J. E. Swan (1989). Consumer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equity and satisfaction in transactions: a field survey approach. The Journal of Marketing, 21-35. 

  28. S. Y. Shin & S. Y. Kwon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a Measurement Tool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107-132. 

  29. J. M. Jeon & D. H. Lee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aching Type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0(4), 101-113. 

  30. S. Y. Lim., C. H. Lee & S. W. Ahn (2017). An Analysis on Structural Model of perceived exercise ability, school physical class satisfacti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2), 233-251. 

  31. S. J. Cho & H. J. Kim (2017).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yp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5), 137-155. 

  32. P. H. Cho (2016). The Effect of Teachers' Enthusiasm as a View of Students on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1(3), 63-74. 

  33. S. U. Jeon (2013). The effect of university general physical education on social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 

  34. J. J. Song (2015).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needed for thesis. Kyeonggi: 21cbook. 

  35. B. R. Bae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oung-ram. 

  36. R. B. Kline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37.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38. Y. H. Kim (2003). Qualitative Analysis on Experiences of Low-Skill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0(1), 57-76. 

  39. C. H. Kim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Attitude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3), 289-304. 

  40. C. S. Yoon & Y. K. Lee (2016). An Explora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in Practice Professors of Athletics Majo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6), 297-311. 

  41. Y. W. Seo (2012). The effect the attitude of a subject, physical education, has on physical education class concentration and class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2. H. H. Baeck & S. H. Jun (2015). Difference of Self-management According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3(1), 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